1. 개요
허경민(許敬民, 許敬民ホ・ギョンミン일본어, 1990년 8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현재 KBO 리그 KT 위즈 소속의 내야수이다. 주로 3루수로 활약하며, 우투우타이다. 광주광역시 출신으로,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9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두산 베어스의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단했다. 2012년 4월 8일 프로 데뷔 이후 두산 베어스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하며 여러 차례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2015년 WBSC 프리미어 12와 2019년 WBSC 프리미어 12에서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가대표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024 시즌 종료 후 KT 위즈로 이적하며 새로운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 생애 및 경력
허경민은 어린 시절부터 야구에 두각을 나타내며 아마추어 무대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프로 입단 후에는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친 뒤 두산 베어스의 주전 선수로 성장하여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이후 KT 위즈로 이적하며 선수 경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2.1. 어린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허경민은 1990년 8월 26일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송정동초등학교, 광주충장중학교를 거쳐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시절 그는 안치홍, 김상수, 오지환과 함께 한국 고교 야구 리그의 '빅 4 유격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2008년에는 제23회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어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한국은 통산 다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허경민은 8경기 모두 선발 유격수로 출전하여 타율 0.200 (30타수 6안타), 2타점, 5득점을 기록했다.
2.2. 프로 경력
허경민은 2009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두산 베어스에 전체 15순위로 지명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2.1. 프로 입단 및 군 복무
2009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했지만, 해당 시즌은 2군에서 보냈다. 2009 시즌 종료 후 2년간의 의무 병역을 이행하기 위해 경찰 야구단에 입단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활동했다. 2011년 가을에 전역하여 두산 베어스로 복귀했다.
2.2.2. 두산 베어스 시절
2012년 두산 베어스에 복귀한 허경민은 그해 4월 8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시즌 초반에는 주로 유격수로 활약했으나, 점차 타격 부진에 빠지면서 김재호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다. 그러나 2012년 KBO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3차전과 4차전에서는 대주자로 기용되어 2득점을 올리기도 했다.
2013년부터는 이원석 등과 함께 3루수로 병행 출전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9월 22일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헨리 소사를 상대로 프로 첫 홈런을 기록했다. 2013년 KBO 포스트시즌에서는 12타수 4안타 1볼넷 1사구 1도루 1득점, 타율 및 장타율 0.333, 출루율 0.429를 기록했다. 2013년 시즌 종료 후에는 입단 당시 사용하던 등번호 6번을 13번으로 변경했다.
2014년 5월 25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는 5타수 4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하며 3루타, 2루타, 단타를 모두 쳐냈다. 6회 타석에서 좌익수 플라이로 물러나 사이클링 히트 달성에는 실패했다.

2015년 시즌 초반에는 내야 백업 선수였으나, 잭 러츠의 방출과 최주환의 부진으로 기회를 잡으며 1번 타자로 자리매김했다. 8월 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시즌 첫 홈런을 기록하며 수훈선수 인터뷰를 가졌다. 9월 18일에는 유격수로 선발 출전한 1회에 야마이코 나바로를 상대로 삼중살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5년 KBO 포스트시즌에서는 10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의 모든 경기에 출전했다. 플레이오프 3차전과 한국시리즈 5차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안타를 기록하며 총 23안타를 쳐내, 팀의 단일 시즌 포스트시즌 최다 안타 신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활약은 두산 베어스가 14년 만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16년 7월 16일 KBO 올스타전에서 열린 '번트왕' 이벤트에서는 23점을 기록하며 참가 선수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시즌 종료 후에는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최종 엔트리에 선발되었다.
2016년에도 KBO 포스트시즌에서 맹활약했다.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는 3안타와 함께 뛰어난 주루 플레이(무사 1, 2루 상황에서 2루 주자로 나선 허경민이 이종욱의 좌중간 타구를 보고 3루로 진루했고, 상대 투수 임창민의 고의사구로 만루가 된 후 오재원의 희생플라이로 홈에 들어와 득점)로 승리에 기여했다. 3차전에서는 3타점을 기록했으며, 4차전에서는 역전 2점 2루타를 터뜨렸다.
2018년에는 주로 1번 타자로 출전하며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19년 정규 시즌 최종전인 10월 1일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팀이 3점 뒤진 8회말 2사 2, 3루 상황에 타석에 들어서 2점 적시타를 쳐냈다. 직후 김인태의 적시타로 자신도 홈에 들어와 동점을 만들었고, 결국 9회말 팀이 끝내기 승리를 거두며 두산 베어스는 정규 시즌 2연패를 달성했다.
2020년 4월 29일 LG 트윈스와의 시범 경기에서는 2년 만에 유격수로 선발 출전했다. 7월 1일 키움 히어로즈전부터 25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생애 첫 KBO 월간 MVP를 수상했다.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취득하여 두산 베어스와 4+3년 총액 85.00 억 KRW에 잔류 계약을 맺었다.
2021년에도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4월 17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안타를 기록하며 역대 105번째로 통산 1000안타를 달성했다. 이후에도 팀의 리드오프로서 꾸준한 성적을 유지했으며, 박건우와 함께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국가대표팀 예비 엔트리에 선발되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2.2.3. KT 위즈 시절
2024년 시즌 종료 후 두 번째 FA 권리를 행사했으며, KT 위즈와 계약을 체결했다. KT 위즈와는 4년 총액 40.00 억 KRW에 계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2.3. 국가대표 경력
허경민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성인 국가대표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했다.
- 2008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금메달
- 2009년 야구 월드컵**: 9위 (9타수 무안타, 2득점)
- 2010년 대륙간컵**: 6위 (15타수 4안타, 2타점, 3득점)
- 2011년 야구 월드컵**: 6위 (39타수 10안타, 2타점, 3득점)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부상당한 박석민의 대체 선수로 선발되어 참가했으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비 엔트리에 선발되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3. 개인사
허경민의 공개된 개인적인 정보는 많지 않다. 그는 1990년 8월 26일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4. 기록 및 수상
허경민은 프로 경력 동안 꾸준한 활약을 바탕으로 여러 기록을 달성하고 다양한 수상 경력을 쌓았다.
4.1. 통산 기록
허경민의 연도별 타격 성적 및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12 | 두산 | 0.266 | 92 | 154 | 28 | 41 | 8 | 0 | 0 | 49 | 14 | 9 | 8 | 7 | 5 | 17 | 7 | 5 |
2013 | 0.298 | 75 | 228 | 35 | 68 | 9 | 1 | 1 | 82 | 25 | 14 | 4 | 27 | 9 | 14 | 7 | 7 | |
2014 | 0.247 | 105 | 198 | 33 | 49 | 8 | 1 | 0 | 59 | 10 | 6 | 4 | 21 | 6 | 21 | 7 | 3 | |
2015 | 0.317 | 117 | 404 | 64 | 128 | 20 | 2 | 1 | 155 | 41 | 8 | 3 | 31 | 7 | 42 | 11 | 13 | |
2016 | 0.286 | 144 | 538 | 96 | 154 | 24 | 4 | 7 | 207 | 81 | 6 | 6 | 49 | 14 | 58 | 14 | 8 | |
2017 | 0.257 | 130 | 369 | 50 | 95 | 22 | 1 | 3 | 128 | 40 | 8 | 4 | 29 | 10 | 48 | 15 | 5 | |
2018 | 0.324 | 133 | 516 | 85 | 167 | 30 | 5 | 10 | 237 | 79 | 20 | 4 | 32 | 16 | 52 | 15 | 0 | |
2019 | 0.288 | 133 | 475 | 71 | 137 | 25 | 1 | 4 | 176 | 60 | 11 | 5 | 34 | 17 | 36 | 16 | 8 | |
2020 | 0.332 | 117 | 437 | 70 | 145 | 25 | 1 | 7 | 193 | 58 | 14 | 6 | 35 | 5 | 28 | 10 | 9 | |
2021 | 0.278 | 136 | 468 | 61 | 130 | 24 | 1 | 5 | 171 | 59 | 5 | 7 | 36 | 8 | 35 | 21 | 8 | |
2022 | 0.289 | 121 | 432 | 59 | 125 | 23 | 0 | 8 | 172 | 60 | 10 | 3 | 36 | 16 | 40 | 12 | 9 | |
2023 | 0.268 | 130 | 429 | 44 | 115 | 23 | 1 | 7 | 161 | 48 | 9 | 3 | 35 | 6 | 26 | 6 | 5 | |
2024 | 0.309 | 115 | 417 | 69 | 129 | 28 | 0 | 7 | 178 | 61 | 5 | 1 | 36 | 18 | 25 | 8 | 5 | |
통산 | 13시즌 | 0.293 | 1548 | 5065 | 765 | 1483 | 269 | 18 | 60 | 1968 | 636 | 125 | 58 | 408 | 137 | 442 | 149 | 92 |
4.2. 주요 수상 내역
- 팀 우승**
- 2015년 한국시리즈 우승 (두산 베어스)
- 2016년 한국시리즈 우승 (두산 베어스)
- 2019년 정규 시즌 우승 (두산 베어스)
- 개인 수상**
- 2018년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 2020년 7월 KBO 월간 MVP
- 주요 기록 달성**
- 2012년 4월 14일: 프로 첫 안타 (대 넥센 히어로즈전, 잠실 야구장, 8회말 김영민 상대로 좌월 2루타)
- 2013년 9월 22일: 프로 첫 홈런 (대 KIA 타이거즈전, 잠실 야구장, 2회말 헨리 소사 상대로 중월 솔로 홈런)
- 2021년 4월 17일: 통산 1000안타 달성 (역대 105번째)
5. 등번호
허경민이 프로 구단에서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40 (2009년)
- 6 (2012년 ~ 2013년)
- 13 (2014년 ~ 현재)
6. 출신 학교
- 송정동초등학교
- 광주충장중학교
- 광주제일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