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오지환은 1990년 3월 12일 전라북도군산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KBO 리그 LG 트윈스 소속의 유격수이다. 그는 좌투우타의 스위치 히터로, 고교 야구 시절부터 뛰어난 유격수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프로 데뷔 후 LG 트윈스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으며, 특히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소속팀의 우승을 이끌고 MVP로 선정되는 등 중요한 활약을 펼쳤다. 또한 국가대표로서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와 아시안 게임, 올림픽,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 야구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선수 경력은 뛰어난 수비와 장타력을 겸비한 유격수로 평가받는 동시에, 특정 사건으로 인한 논란을 겪기도 했다.
2. 어린 시절 및 배경
오지환은 개인적인 배경과 학창 시절을 통해 야구 선수로서의 기반을 다졌다.
2.1. 출생 및 가족
오지환은 1990년 3월 12일 전라북도군산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사촌 동생인 오정환 또한 KBO 리그 KIA 타이거즈에서 내야수로 활동하고 있다.
2.2. 학력
오지환은 군산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자양중학교에 진학했다. 이후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경희대학교에서 수학했다.
3. 아마추어 경력
오지환은 프로 데뷔 전 학창 시절부터 뛰어난 야구 실력을 선보였다.
3.1. 고교 시절
오지환은 서울 소재 경기고등학교에 재학하며 뛰어난 유격수 유망주로 주목받았으며, 당시 안치홍과 함께 한국 고교 야구 리그의 최고 유격수 유망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는 우타자였으나 3학년 때 스위치 히터로 전향을 시도했다. 또한 그는 팀의 1선발 투수로서 마운드에 오르는 강속구 투수이기도 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는 투타 겸업으로 맹활약하며 LG 트윈스의 1차 지명을 받았다.
3.2.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2008년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개최된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주니어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어 참가했다. 그는 안치홍, 박건우, 허경민, 정수빈 등과 함께 팀의 주장과 4번 타자를 맡아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오지환은 이 대회에서 내야수, 지명타자, 그리고 구원 투수로 팀의 8경기 전 경기에 출전하며 다재다능함을 보였다. 특히 지명타자로서 올스타 토너먼트 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 대회에서 타자로서 타율 0.393 (28타수 11안타), 9타점, 8득점, 5도루, 5볼넷을 기록했으며, 투수로서 1경기 2.2이닝 동안 2자책점, 2탈삼진, 평균자책점 6.75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통산 다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4. 프로 경력
오지환은 2009년 KBO 리그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줄곧 한 팀에서 활약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4.1. LG 트윈스 입단 및 초기 활동
오지환은 2009년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LG 트윈스의 1차 지명을 받으며 프로 무대에 입성했다. 아마추어 시절 투타 겸업으로 활약했지만, LG 트윈스에서는 그를 유격수로 육성하기로 결정하여 2009년 시즌의 대부분을 2군에서 보냈다. 2009년 9월 12일 프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이 경기에서 7회 초 SK 와이번스의 투수 게리 글로버를 상대로 대타로 출전하여 삼진으로 물러났다. 2009년 시즌에는 총 5경기에 출전하여 9타석에서 1안타를 기록하고 5개의 삼진을 당했다.
이후 2010년 3월 27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개막전에서 주전 유격수로 출전하여 첫 타석에서 윤성환을 상대로 3점 홈런을 터뜨렸다. 이 경기에서 그는 4타수 2안타 3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7대5 승리를 이끌었다. 당시 박종훈 감독은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꾸준히 기용했고, 오지환의 호수비와 실책이 팀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감독의 신뢰를 얻게 되었다. 그는 2010년 시즌 올스타전에 감독 추천으로 처음 출전했다. 2010년 시즌 오지환은 리그에서 137개의 삼진으로 최다 삼진을 기록했지만, 13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리그 유격수 중 가장 많은 홈런을 쳤다. 또한 61타점을 기록하여 단일 시즌 팀 역사상 유격수 최다 타점을 달성하며 주전 유격수 자리를 굳혔다.
4.2. 주요 활약과 FA 계약
2011년 시즌에는 부상으로 인해 경기 출장 수가 크게 줄었고, 성적 또한 전년도에 비해 하락했다. 그러나 2012년에는 연봉이 전년도의 절반 이하로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 시즌 133경기 전 경기에 출전하며 성공적으로 부활했다. 이후로도 꾸준히 유격수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의 중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2016년에는 잠실 야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유격수 중 최초로 20홈런을 달성했다. 2022년에는 역시 잠실 야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유격수 중 최초로 20-20 클럽 (20홈런-20도루)에 가입하며 호타준족의 면모를 과시했다.
2019년 시즌을 마친 후 첫 번째 FA 자격을 취득했으며, LG 트윈스와 4년 총액 40.00 억 KRW에 재계약하며 잔류했다. 2023년 시즌을 마친 후 두 번째 FA 자격을 얻은 오지환은 2024년부터 2029년까지 6년간 총액 124.00 억 KRW에 LG 트윈스와 다시 계약을 맺으며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이 계약은 그 해 1월 LG와 합의했던 내용과 동일했다.
특히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2차전부터 4차전까지 3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하는 등 맹활약하며 팀의 우승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한국시리즈 종료 후 진행된 기자단 투표에서 총 93표 중 80표를 획득하여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이는 LG 트윈스 소속 타자로는 역사상 최초의 한국시리즈 MVP 기록이다.
4.3. 등번호
오지환의 선수 경력 동안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9 (2009년)
- 7 (2010년 ~ 2011년)
- 52 (2012년)
- 2 (2013년 ~ 2018년)
- 10 (2019년 ~ 현재)
5. 국가대표 경력
오지환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서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국위를 선양했다.
2010년 대만타이중에서 개최된 대륙간컵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어 출전했다.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6위를 기록했으며, 오지환은 타율 0.250 (24타수 6안타), 1홈런, 4타점, 4득점을 기록했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참가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병역특례 혜택을 받았다.
이후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과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야구 국가대표팀에도 선발되어 대한민국의 국제 대회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6. 개인 생활
오지환은 2019년부터 김영은 씨와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다.
7. 수상 및 주요 기록
- 2008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올스타 (지명타자 부문)
-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야구 금메달
- 2023년 한국시리즈 MVP
8.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실책 |
---|---|---|---|---|---|---|---|---|---|---|---|---|---|---|---|---|---|---|
2009 | LG | 0.111 | 5 | 9 | 1 | 1 | 0 | 0 | 0 | 1 | 1 | 0 | 0 | 1 | 0 | 5 | 0 | 1 |
2010 | 0.241 | 125 | 352 | 59 | 85 | 13 | 6 | 13 | 149 | 61 | 13 | 2 | 44 | 7 | 137 | 1 | 27 | |
2011 | 0.212 | 63 | 156 | 17 | 33 | 7 | 0 | 2 | 46 | 15 | 5 | 2 | 19 | 1 | 57 | 2 | 10 | |
2012 | 0.249 | 133 | 462 | 66 | 115 | 22 | 2 | 12 | 177 | 53 | 23 | 14 | 55 | 6 | 122 | 6 | 5 | |
2013 | 0.256 | 124 | 441 | 81 | 113 | 20 | 8 | 9 | 176 | 47 | 30 | 7 | 54 | 9 | 113 | 7 | 20 | |
2014 | 0.262 | 113 | 397 | 72 | 104 | 20 | 8 | 8 | 164 | 56 | 28 | 12 | 51 | 7 | 102 | 8 | 20 | |
2015 | 0.278 | 138 | 497 | 76 | 138 | 41 | 4 | 11 | 220 | 56 | 25 | 10 | 59 | 4 | 121 | 2 | 15 | |
2016 | 0.280 | 121 | 393 | 73 | 110 | 14 | 5 | 20 | 194 | 78 | 17 | 9 | 65 | 7 | 97 | 7 | 17 | |
2017 | 0.272 | 92 | 300 | 43 | 85 | 13 | 4 | 8 | 136 | 37 | 10 | 5 | 45 | 5 | 105 | 8 | 11 | |
2018 | 0.278 | 144 | 533 | 93 | 148 | 26 | 2 | 11 | 211 | 71 | 10 | 5 | 59 | 7 | 146 | 6 | 24 | |
2019 | 0.252 | 134 | 473 | 63 | 119 | 23 | 5 | 9 | 179 | 53 | 27 | 5 | 57 | 7 | 113 | 7 | 12 | |
2020 | 0.300 | 141 | 591 | 95 | 158 | 41 | 7 | 10 | 243 | 71 | 20 | 8 | 45 | 9 | 116 | 4 | 15 | |
2021 | 0.254 | 134 | 464 | 62 | 118 | 19 | 2 | 8 | 165 | 57 | 12 | 6 | 54 | 5 | 82 | 11 | 13 | |
2022 | 0.269 | 142 | 494 | 75 | 133 | 16 | 4 | 25 | 232 | 87 | 20 | 7 | 62 | 7 | 107 | 11 | 16 | |
2023 | 0.268 | 126 | 422 | 65 | 113 | 24 | 43 | 8 | 167 | 62 | 16 | 7 | 64 | 8 | 82 | 4 | 14 | |
통산 | 15시즌 | 0.265 | 1624 | 5954 | 945 | 1579 | 299 | 60 | 154 | 2460 | 807 | 256 | 99 | 734 | 89 | 1505 | 84 | 240 |
9. 평가 및 논란
오지환은 선수로서의 뛰어난 기량과 더불어 일부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9.1. 긍정적 평가
오지환은 KBO 리그에서 손꼽히는 유격수 중 한 명으로, 특히 안정적인 수비 능력과 더불어 장타력을 겸비한 공격형 유격수로 평가받는다. 고교 시절부터 강속구 투수이자 유격수 유망주로 큰 기대를 모았으며, 프로 데뷔 초 박종훈 감독으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아 꾸준히 기용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다. 그는 잠실 야구장을 홈 구장으로 쓰는 유격수 중 최초로 20홈런과 20-20 클럽을 달성하는 등 호타준족의 능력을 입증했다. 또한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고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는 등, 팀의 오랜 숙원이었던 우승 달성에 크게 기여하며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리더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9.2. 주요 논란
오지환은 2016년 시즌 종료 후 경찰 야구단에 지원했으나, 당시 몸에 있던 문신 때문에 입단 테스트에서 불합격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로 인해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논란이 일었으며, 결과적으로 그의 입대가 연기되었다. 이후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병역특례 혜택을 받게 되었다.
10. 외부 링크
- [http://www.koreabaseball.com/Record/Player/HitterDetail/Basic.aspx?playerId=79109 통산 기록]
- [https://statiz.sporki.com/player/?m=playerinfo&p_no=10475 오지환 - 플레이로그]
- [http://cafe.naver.com/ojhtwins 공식 팬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