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헨리 소사 에스더(Henry Sosa Esther영어, 1985년 7월 28일 ~ )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야구 투수로, 현재 멕시칸 리그 콘스피라도레스 데 케레타로 소속이다. 그는 MLB의 휴스턴 애스트로스, KBO 리그의 KIA 타이거즈,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그리고 CPBL의 푸방 가디언스와 라쿠텐 몽키스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뛰어난 구위와 꾸준한 선발 등판으로 여러 팀의 핵심 투수로 자리매김했으며, 특히 KBO 리그와 CPBL에서는 외국인 선수로서 인상 깊은 성적을 기록했다.
2. 어린 시절 및 배경
헨리 소사는 1985년 7월 28일 도미니카 공화국의 엘 세이보주에서 태어났다. 2004년 4월 2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로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3. 프로 경력
헨리 소사는 MLB, KBO 리그, CPBL, 그리고 멕시칸 리그와 독립 리그를 거치며 다양한 팀에서 활약했다. 그의 프로 경력은 주로 선발 투수로서의 꾸준한 기여와 각 리그에서의 적응 능력으로 특징지어진다.
3.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마이너 리그 시절
소사는 2006년 루키 리그의 AZL 자이언츠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이 해 9경기(6선발)에 등판하여 2승 1패, ERA 3.90을 기록했고, 32.1이닝 동안 41개의 삼진을 잡아냈다. 2007년에는 A팀 오거스타 그린재키츠와 상위 싱글 A팀 산호세 자이언츠에서 뛰었다. 그린재키츠에서는 13경기(10선발)에서 6승 0패, ERA 0.73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고, 산호세 자이언츠에서는 14선발 등판하여 5승 5패, ERA 4.38을 기록했다. 이 두 팀에서 총 27경기(24선발)에 등판하여 11승 5패, ERA 2.58을 달성했고, 125.2이닝 동안 139개의 삼진을 잡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이 시즌에는 모국인 도미니카 윈터 리그의 에스트레야스 데 오리엔테에서도 뛰었다. 2008년에는 다시 오거스타 그린재키츠와 산호세 자이언츠에서 뛰며 57.2이닝 동안 3승 4패, ERA 4.21을 기록했다.
3.2. 휴스턴 애스트로스 시절
2011년 7월 19일, 소사는 제이슨 스토펠과 함께 제프 케핑어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휴스턴 애스트로스로 이적했다. 그는 2011년 8월 10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선발 등판하여 6이닝 4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지만, 8월 25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6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첫 승리를 거뒀다. 메이저 리그에서 총 10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3승 5패, ERA 5.23의 성적을 남겼다.
3.3. KIA 타이거즈 시절
2012년 5월 24일, 소사는 KBO 리그 KIA 타이거즈와 계약하며 당시 호라시오 라미레스의 대체 외국인 투수로 합류했다. 그는 2012년 9월 28일, 한화 이글스를 상대로 150구 완봉승을 거두며 팀 역사상 최초로 4경기 연속 완투를 달성하는 기록적인 투구를 선보였다. 이 해 23경기(23선발)에서 9승 8패, ERA 3.54를 기록했다. 2013년에도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으나, 29경기(28선발)에서 9승 9패, ERA 5.47을 기록하며 제구력 난조를 보였고, 시즌 종료 후 팀에서 방출되었다.
3.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마이너 리그 시절
KIA 타이거즈에서 방출된 후, 소사는 2013년 12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고 트리플 A 소속팀인 앨버커키 아이소토프스에 배정되었다. 그는 아이소토프스에서 7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승 2패, ERA 3.72, 27탈삼진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4년 5월 16일 제프 베넷의 영입으로 인해 방출되었다.
3.5. 넥센 히어로즈 시절
2014년 5월 15일, 소사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마이너 리그에서 활동하던 중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와 계약하며 브랜던 나이트의 대체 투수로 한국 무대에 복귀했다. 그는 복귀 시즌에 10승 2패를 기록하며 KBO 리그 데뷔 후 첫 두 자릿수 승수를 달성했고, 승률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같은 해 2014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6.1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승리 투수 요건을 갖췄으나, 경기 후반 강정호의 실책과 손승락의 블론 세이브로 팀이 역전패하는 아쉬움을 맛봤다. 시즌 종료 후 넥센 히어로즈와의 재계약 협상에서 거액을 요구하며 협상이 결렬되었고, 팀을 떠나게 되었다.
3.6. LG 트윈스 시절
2014년 12월 8일, 소사는 KBO 리그 LG 트윈스와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그는 2015년과 2016년 두 시즌 연속으로 10승을 달성하며 팀의 주요 선발 투수로 활약했다. 2017년에는 한국 프로야구에서 개인 최다인 11승을 기록했으며, 이 시기부터 더스틴 니퍼트와 함께 KBO 리그를 대표하는 베테랑 외국인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2018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LG 트윈스 소속으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꾸준히 활약했다.
3.7. 푸방 가디언스 시절 (첫 번째)
2019년 1월 13일, 소사는 CPBL의 푸방 가디언스와 계약했다. 그는 첫 CPBL 시즌에 12경기에 등판하여 8승 2패, ERA 1.56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3.8. SK 와이번스 시절
2019년 6월 3일, 소사는 푸방 가디언스와의 보유권 양도 계약을 통해 KBO 리그 SK 와이번스로 이적하며 다시 한국 무대에 복귀했다. 그는 브록 다익손의 대체 외국인 투수로 영입되었으며, SK에서 9승을 기록했지만, 시즌 종료 후 다시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3.9. 푸방 가디언스 시절 (두 번째)
2019년 시즌 종료 후, 소사는 2020년 시즌을 앞두고 다시 푸방 가디언스에 재입단했다. 2020년 9월에는 5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전승을 기록하고 ERA 1.66의 호성적으로 CPBL 월간 MVP에 선정되었다. 그는 한 시즌 동안 선발 로테이션을 꾸준히 지키며 리그 최다인 29경기 선발 등판, 4완투, 15승, ERA 3.38을 기록했다. 또한, 투수 중 가장 높은 WAR인 5.61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투수로 활약했다.
2021년 3월 14일, 소사는 푸방 가디언스의 개막전 선발 투수로 나섰다. 그러나 3월 21일 라쿠텐 몽키스와의 경기에서 투구 도중 왼쪽 무릎 통증으로 쓰러졌고, 부상으로 인해 이튿날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4월 19일, 그는 전방 십자 인대 수술을 받았으며, 결국 7월 12일 푸방 가디언스에서 방출되었다. 2021년에는 2경기에 등판하여 1승을 기록했고 ERA 1.80을 마크했다.
3.10. 라쿠텐 몽키스 시절
2022년 1월 8일, 소사는 CPBL의 라쿠텐 몽키스와 계약했다. 그는 팀에서 5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2승 3패, ERA 2.73을 기록하며 33이닝 동안 11개의 삼진을 잡아냈다. 그러나 7월 7일, 멕시칸 리그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 본인의 요청으로 라쿠텐 몽키스에서 방출되었다.
3.11. 멕시칸 리그 시절
라쿠텐 몽키스에서 방출된 후, 헨리 소사는 2022년 7월 13일 멕시칸 리그의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와 계약했다. 그는 이 팀에서 5경기(4선발)에 등판하여 1승 1패, ERA 6.75를 기록했으며 20이닝 동안 15개의 삼진을 잡아냈다. 2023년 1월 19일,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에서 방출되었다.
2023년 6월 27일, 소사는 같은 리그의 캄페체 파이리츠에 입단했다. 그는 캄페체 소속으로 7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ERA 3.94를 기록했고, 32.0이닝 동안 25개의 삼진을 잡아냈으나, 8월 5일 팀에서 방출되었다.
3.12. 독립 리그 시절
2023년 8월 12일, 헨리 소사는 애틀랜틱 리그의 스파이어 시티 고스트 하운즈와 계약하며 독립 리그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이 팀에서 5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ERA 5.53을 기록했으며, 27.2이닝 동안 26개의 삼진을 잡아냈다. 그러나 9월 9일, 고스트 하운즈에서 방출되었다.
3.13. 콘스피라도레스 데 케레타로 시절
2024년 2월 5일, 소사는 멕시칸 리그의 콘스피라도레스 데 케레타로와 계약을 맺었다. 그는 2024년 시즌 20경기(12선발)에 등판하여 6승 4패, ERA 6.63을 기록했고, 73.1이닝 동안 64개의 삼진을 잡아냈다.
4. 주요 경력 및 수상
소사는 다양한 리그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 KBO 리그 승률왕: 2014년
- CPBL 월간 MVP: 2019년 3월-4월, 2020년 9월
5. 개인적인 특징 및 일화
헨리 소사는 야구 실력 외에도 한국에 대한 남다른 애정으로 팬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다.
5.1. 개인적인 선호 및 일화
소사는 한국 음식을 매우 좋아하며, 특히 굴비를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꼽았다. KIA 타이거즈 시절에는 한 번에 굴비 30마리를 먹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또한, 그는 한국을 매우 사랑하는 외국인 선수로 알려져 있다. 2014년 당시 NC 다이노스 소속 투수였던 애덤 윌크가 트위터에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게시물을 올리자, 소사는 즉시 '애덤이 거짓 정보를 퍼뜨리고 있다. 한국은 살기 좋은 나라다'라는 말로 한국을 옹호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넥센 히어로즈와 대체 외국인 선수로 계약하며 한국에 다시 오게 된 것을 매우 기뻐했다고 밝혔다.
5.2. 별명
헨리 소사에게는 그의 투구 내용에 따라 여러 별명이 붙여졌다.
- 투구 내용이 좋지 않을 때는 발음이 비슷한 '맙소사'로 불렸다.
- 뛰어난 투구를 펼칠 때는 그가 마치 사이언처럼 강력하다는 의미로 '소사이언'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6. 등번호
헨리 소사는 프로 경력 동안 여러 등번호를 사용했다.
- 65 (2011년)
- 98 (2012년)
- 58 (2013년)
- 92 (2014년)
- 50 (2015년 ~ 2018년)
- 44 (2019년, 2020년 ~ 2021년)
- 61 (2019년 시즌 중)
- 40 (2022년)
7. 연봉
헨리 소사는 KBO 리그에서 활동하며 다음과 같은 연봉 계약을 맺었다.
- 2012년: 2.10 만 USD (계약금 5.00 만 USD, 연봉 16.00 만 USD)
- 2013년: 30.00 만 USD (계약금 5.00 만 USD, 연봉 25.00 만 USD)
- 2014년: 20.00 만 USD (계약금 5.00 만 USD, 연봉 15.00 만 USD, 옵션 별도)
- 2015년: 60.00 만 USD (계약금 20.00 만 USD, 연봉 40.00 만 USD)
- 2016년 ~ 2017년: 90.00 만 USD (계약금 40.00 만 USD, 연봉 50.00 만 USD)
- 2018년: 120.00 만 USD
8. 경력 통계
헨리 소사의 연도별 투구 및 수비 성적은 다음과 같다.
8.1. 연도별 투구 성적
연도 | 소속 | 등 판 | 선 발 | 완 투 | 완 봉 | 무 사 구 | 승 리 | 패 전 | 세 이 브 | 홀 드 | 승 률 | 타 자 | 투 구 회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사 구 | 탈 삼 진 | 폭 투 | 보 크 | 실 점 | 자 책 | 평 자 책 | W H I P |
---|---|---|---|---|---|---|---|---|---|---|---|---|---|---|---|---|---|---|---|---|---|---|---|---|---|
2011 | HOU | 10 | 10 | 0 | 0 | 0 | 3 | 5 | 0 | 0 | .375 | 231 | 53.1 | 54 | 7 | 23 | 1 | 3 | 38 | 3 | 1 | 31 | 31 | 5.23 | 1.44 |
2012 | KIA | 23 | 23 | 4 | 1 | 0 | 9 | 8 | 0 | 0 | .529 | 614 | 147.1 | 137 | 9 | 39 | 1 | 8 | 104 | 3 | 1 | 62 | 58 | 3.54 | 1.20 |
2013 | 29 | 28 | 0 | 0 | 0 | 9 | 9 | 0 | 1 | .500 | 748 | 164.2 | 196 | 11 | 68 | 3 | 9 | 143 | 10 | 1 | 111 | 100 | 5.47 | 1.60 | |
2014 | 넥센 | 20 | 20 | 0 | 0 | 0 | 10 | 2 | 0 | 0 | .833 | 537 | 125.0 | 140 | 18 | 45 | 0 | 3 | 98 | 3 | 0 | 66 | 64 | 4.61 | 1.48 |
2015 | LG | 32 | 30 | 2 | 1 | 1 | 10 | 12 | 0 | 1 | .455 | 809 | 194.1 | 199 | 16 | 36 | 0 | 5 | 177 | 6 | 1 | 102 | 87 | 4.03 | 1.21 |
2016 | 33 | 33 | 0 | 0 | 0 | 10 | 9 | 0 | 0 | .526 | 870 | 199.0 | 258 | 12 | 38 | 2 | 9 | 107 | 6 | 0 | 121 | 114 | 5.16 | 1.49 | |
2017 | 30 | 29 | 2 | 1 | 0 | 11 | 11 | 1 | 0 | .500 | 769 | 185.0 | 189 | 11 | 38 | 0 | 3 | 153 | 3 | 0 | 86 | 80 | 3.88 | 1.22 | |
2018 | 27 | 27 | 1 | 1 | 0 | 9 | 9 | 0 | 0 | .500 | 760 | 181.1 | 192 | 16 | 28 | 0 | 4 | 181 | 6 | 0 | 83 | 71 | 3.52 | 1.22 | |
2019 | 富邦 | 12 | 12 | 2 | 1 | 1 | 8 | 2 | 0 | 0 | .800 | 325 | 86.2 | 60 | 5 | 10 | 0 | 0 | 85 | 5 | 0 | 17 | 15 | 1.56 | 0.81 |
SK | 16 | 16 | 0 | 0 | 0 | 9 | 3 | 0 | 0 | .750 | 387 | 94.1 | 85 | 15 | 23 | 0 | 2 | 96 | 3 | 1 | 42 | 40 | 3.82 | 1.14 | |
'19 합계 | 28 | 28 | 2 | 1 | 1 | 17 | 5 | 0 | 0 | .773 | 712 | 181.0 | 145 | 20 | 33 | 0 | 2 | 181 | 8 | 1 | 59 | 55 | 2.73 | 1.09 | |
2020 | 푸방 | 29 | 29 | 4 | 1 | 3 | 15 | 5 | 0 | 0 | 0.750 | 828 | 194.1 | 230 | 12 | 37 | 0 | 4 | 172 | 6 | 1 | 90 | 73 | 3.38 | 1.37 |
2021 | 2 | 2 | 0 | 0 | 0 | 1 | 0 | 0 | 0 | 1.000 | 41 | 10.0 | 13 | 0 | 1 | 0 | 0 | 10 | 0 | 0 | 4 | 2 | 1.80 | 1.40 |
- 2021년 시즌 종료 기준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8.2. 연도별 수비 성적
연도 | 구단 | 투수 | |||||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2019 | 푸방 | 12 | 0 | 9 | 0 | 0 | 1.000 |
2020 | 29 | 13 | 19 | 2 | 1 | .941 | |
CPBL 합계 | 41 | 13 | 28 | 2 | 1 | .953 |
- 2020년 시즌 종료 기준
8.3. 리그별 통산 기록
리그 | 등 판 | 선 발 | 완 투 | 완 봉 | 승 리 | 패 전 | 세 이 브 | 홀 드 | 승 률 | 타 자 | 투 구 회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탈 삼 진 | 사 구 | 폭 투 | 보 크 | 실 점 | 자 책 | 평 자 책 ! W H I P | ||
---|---|---|---|---|---|---|---|---|---|---|---|---|---|---|---|---|---|---|---|---|---|---|---|---|
MLB | 10 | 10 | 0 | 0 | 3 | 5 | 0 | 0 | .375 | 231 | 53.1 | 54 | 7 | 23 | 1 | 38 | 3 | 1 | 3 | 31 | 31 | 5.23 | 1.44 | |
KBO | 210 | 206 | 9 | 4 | 77 | 66 | 1 | 2 | .538 | 5494 | 1291.1 | 1396 | 108 | 315 | 6 | 1057 | 38 | 3 | 673 | 614 | 4.28 | 1.33 | ||
CPBL | 43 | 43 | 6 | 2 | 24 | 7 | 0 | 0 | .774 | 1194 | 291.0 | 303 | 17 | 48 | 0 | 267 | 11 | 1 | 111 | 90 | 2.78 | 1.21 |
- 2021년 시즌 종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