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키릴 세묘노비치 모스칼렌코(Кирилл Семёнович Москаленко키릴 세묘노비치 모스칼렌코러시아어; Кирило Семенович Москаленко키릴로 세메노비치 모스칼렌코우크라이나어)는 1902년 5월 11일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노슬라프 주 그리시노 마을(현재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포크롭스크군)에서 태어나 1985년 6월 17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한 소련의 저명한 군인이다. 그는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으며, 전후에는 모스크바 군관구 사령관과 전략 로켓군 총사령관을 역임했다. 특히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라브렌티 베리야 체포 작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55년 소련 원수 계급에 올랐다. 그는 두 차례 소비에트 연방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소련 군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모스칼렌코는 우크라이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학업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2.1. 출생과 가족
키릴 세묘노비치 모스칼렌코는 1902년 5월 11일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노슬라프 주 바흐무트 군의 그리시노 마을(현재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주 포크롭스크 군)에서 우크라이나 농민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2.2. 교육
그는 4년제 초등 농촌 학교와 2년제 부속 학교를 졸업했으며,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1917년부터 1919년까지 바흐무트에 있는 농업 학교에서 공부했으나, 러시아 내전 발발로 학업을 중단해야 했다. 1922년 하르코프 통합 적군 지휘관 학교의 포병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후 레닌그라드의 적군 포병 아카데미에서 지휘관 고급 훈련 과정을 수료했다. 또한 모스크바주에 위치한 펠릭스 제르진스키 군사 아카데미의 고위 지휘관 고급 훈련 학부를 졸업했다. 하르코프에서 학업을 하는 동안, 그는 학교의 일원으로서 돈강 및 돈바스 지역의 반군과의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다.
3. 군 경력
모스칼렌코는 러시아 내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그리고 전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요 직책을 수행하며 소련 군대의 발전에 기여했다.
3.1. 러시아 내전 및 전간기
고향으로 돌아온 모스칼렌코는 농촌 혁명 위원회에서 일했다. 그의 마을이 안톤 데니킨 장군의 의용군에 의해 점령되자, 그는 처형 위협 때문에 몸을 숨겼다. 1920년 8월 붉은 군대가 마을을 점령한 후, 그는 붉은 군대에 입대했다. 모스칼렌코는 제1기병군 소속으로 내전에 참전하여 표트르 브랑겔 장군과 네스토르 마흐노 아타만의 부대에 맞서 싸웠다.
1922년부터 1932년까지 그는 제6기병사단과 제1기병군에서 복무하며 기병 포병 대대 소대장을 지냈다. 아르마비르에서 복무하는 동안 북캅카스 지역의 정치적 반군 진압 작전에 참여했다. 1923년 9월, 그는 군 부대와 함께 브랸스크로 전출되었다. 1924년부터는 포병 중대장으로 복무했으며, 이후 훈련 중대장, 포병 대대장, 그리고 1928년부터는 포병 연대 참모장을 역임했다.
1932년부터는 치타 근처의 특수 적기 극동군 소속 특수 기병 사단의 참모장과 사단장을 지냈다. 1934년부터는 기병 연대장으로 복무했다. 1935년에는 연해주에서 제23전차여단을 지휘했으며, 1936년부터는 키예프 군관구 소속 제45기계화군단에서 복무했다.
3.2. 제2차 세계 대전

겨울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제51소총사단의 포병 지휘관으로 참전하여 붉은 군기 훈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키시너우와 티라스폴에서 각각 제35소총군단과 제2기계화군단의 포병 참모장을 역임했다.
3.2.1. 동부 전선에서의 주요 전투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되었을 때, 모스칼렌코는 루츠크에 주둔한 대전차 여단의 지휘관이었다. 1941년 6월부터 1942년 3월까지 그는 제1대전차여단, 제15소총군단, 제6군, 그리고 이후 제6기병군단을 지휘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루츠크, 볼로디미르-볼린스키, 리우네, 토르친, 노보흐라드-볼린스키, 말린에서의 방어 전투에 참여했다. 모스칼렌코는 키예프 방어전에 참여하여 테테레우강, 프리피야티강, 드니프로강, 데스나강 근처에서 전투를 벌였다. 한 달간의 연속된 전투에서 적의 주공 방향에 있던 그의 여단은 300대 이상의 적 전차를 파괴했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 용기, 그리고 용맹함으로 그는 1941년 7월 23일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
1941년 12월, 그는 남서부 전선군 제6군 부사령관 및 육군 사령관 대리로 임명되었다. 모스칼렌코가 지휘하는 제6군은 바르벤코보-로조바야 공세에 참여하여 이줌과 로조바를 해방했다. 1942년 2월 12일, 그는 제6기병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42년 3월부터 7월까지 제38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중, 그는 제1전차군을 지휘하며 1942년 7월부터 8월까지 스탈린그라드 외곽 방어 전투에 참여했다. 1942년 8월, 그는 1942년 10월까지 제1근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방어 초기 단계에서 제1전차군은 12일 연속으로 거의 끊임없이 적을 공격하며 진격을 저지했다. 모스칼렌코에 따르면, 칼라치온돈에서 그의 군대는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장군의 제6군의 스탈린그라드 진격을 저지하여 깊이 있는 방어를 조직하고 예비군을 충원할 한 달의 시간을 벌었다고 한다. 이후 그는 1942년 7월부터 8월까지 제1전차군 사령관, 1942년 8월부터 10월까지 제1근위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최종적으로 보로네시 전선군과 별개로 운영되던 제40군의 지휘를 맡아 1943년 10월까지 그 직위를 유지했다.
모스칼렌코는 겨울 반격과 쿠르스크 전투에서 그의 부대를 이끌었다. 그는 오스트로고시스크-로소시 작전, 제3차 하르코프 전투, 그리고 드니프로강 전투에 참여했다. 드니프로강 도하 및 서안 교두보 확보에서의 영웅적인 활약과 용기로 그는 소비에트 연방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1943년 10월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모스칼렌코는 제38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독일군을 우크라이나,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몰아내는 데 기여했다.
3.2.2. 기타 주요 작전 참여
모스칼렌코의 제38군은 1944년 4월 카메네츠-포돌스키를 해방했으며, 프로스크로보-체르노비츠 작전에 참여한 후 체코슬로바키아 제1군단과 함께 슬로바키아를 공격했다. 카르파티아 작전 후 야슬로-고를리츠 작전을 수행하여 독일군의 봄의 각성 작전을 분쇄하는 데 기여했으며, 프라하 공세에 참여하여 프라하에서 종전을 맞이했다. 체코슬로바키아 해방에 대한 공로로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3.3. 전후 경력

전쟁 후, 모스칼렌코는 카르파티아 군관구로 전출된 제38군을 지휘했다. 1948년 8월부터 그는 모스크바 군관구의 방공군 사령관으로 복무했다. 1953년 모스크바 군관구 총사령관으로 임명되기 전까지 그는 모스크바 군관구에서 다양한 직책을 수행했다. 모스칼렌코는 1960년까지 모스크바 군관구에 머물렀으며, 이후 전략 로켓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62년 4월 이유 없이 해임된 후, 그는 국방부 총감이라는 명예직으로 옮겨졌다. 1983년 12월부터는 소련 국방부 총감단 소속으로 활동했다.
4. 정치적 개입 및 주요 사건
모스칼렌코는 군 경력 외에도 소련의 중요한 정치적 사건에 깊이 관여했다.
4.1. 베리야 체포 사건
1953년 6월 26일, 소련 공산당 서기 니키타 흐루쇼프는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와 키릴 모스칼렌코와 함께 소련의 초대 부총리 라브렌티 베리야를 비밀리에 체포했다. 이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간부회와 소련 각료회의 합동 회의 중에 이루어졌다. 주코프는 크렘린에 총을 휴대할 수 없었지만, 모스칼렌코는 베리야를 체포하기 위해 총을 몰래 크렘린으로 들여보냈다. 이후 6개월 동안 모스칼렌코는 로만 루덴코와 함께 "베리야 사건"을 조사했다. 1953년 12월, 소련 대법원은 5일간의 심리 끝에 베리야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베리야는 12월 23일 총살되었다. 다른 설에 따르면, 베리야는 모스크바에 있는 그의 주거지에 대한 군사 공격 중 기관총에 맞아 사망했다고도 한다.
5. 최고 군사 직위 및 평가
모스칼렌코는 소련 원수 계급에 오르며 최고 군사 직위를 획득했지만, 그의 경력은 비판적인 시각에서도 평가되었다.
5.1. 소련 원수 진급
베리야 체포 작전의 결과로, 1955년 3월 11일 모스칼렌코는 다른 5명의 지휘관과 함께 소련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다. 모스칼렌코는 전쟁 중 흐루쇼프와 함께 복무했기 때문에 그의 매우 빠른 진급은 흐루쇼프에게 빚진 바가 컸다. 소련군 발전 및 강화에 대한 공로로 그는 1978년 두 번째 소비에트 연방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5.2. 흐루쇼프의 비판 및 해임
흐루쇼프는 그의 회고록에서 모스칼렌코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모스칼렌코는 최고의 인물이자 최악의 인물이 될 수 있었다. 전쟁 중에 나는 그가 조국 방어에 헌신적이고 나쁘지 않은 군인이었기 때문에 스탈린에게 그를 높이 추천했다. 나쁜 점은 그가 폭력적인 성미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무례함을 넘어 정신적으로 불안정했다. 그는 부하들을 학대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말은 '너 이 반역자, 악당, 인민의 적! 너는 군법회의에 회부되어야 해! 총살당해야 해!'였다. 그의 통제할 수 없는 성미는 그를 매우 변덕스러운 사람으로 만들었고,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이용될 수 있었다."
흐루쇼프는 또한 1957년 자신이 주코프 원수를 해임하기로 결정했을 때, 모스칼렌코가 주코프를 맹렬히 비난하는 것에 충격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스칼렌코는 1962년 4월까지 직책을 유지하다가 아무런 이유 없이 해임되었고, 중요하지 않은 명예직인 국방부 총감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모스크바에 주재하던 프랑스 언론인 미셸 타튀는 그의 몰락이 쿠바 미사일 위기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했다.
"쿠바에 소련 미사일을 설치하기로 한 결정은 전략 로켓군 총사령관인 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신의 장비를 온전히 보존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쿠바와 같이 매우 노출된 장소로 핵탄두를 탑재한 가장 비밀스러운 무기를 운송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5.2.1. 군사 계급 역사
- 대령 (1938년 8월 16일)
- 여단장 (1940년 4월 15일)
- 포병 소장 (1940년 6월 6일)
- 중장 (1943년 1월 19일)
- 상장 (1943년 9월 19일)
- 대장 (1953년 8월 3일)
- 소련 원수 (1955년 3월 11일)
6. 사망
모스칼렌코는 1985년 6월 17일 모스크바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q=Novodevichy Cemetery|position=right
7. 훈장 및 영예
모스칼렌코는 생전에 다양한 국내외 훈장과 영예를 수여받았다.
7.1. 소련 내 훈장 및 포상
훈장 및 포상 | 수여 횟수 및 날짜 |
---|---|
![]()
![]() 소비에트 연방영웅 | 2회 (황금별 훈장 No. 2002: 1943년 10월 23일, 황금별 훈장 No. 105: 1978년 2월 21일) |
![]() 레닌 훈장 | 7회 (1941년 7월 22일, 1943년 10월 23일, 1945년 11월 6일, 1962년 3월 7일, 1972년 5월 10일, 1978년 2월 21일, 1982년 5월 10일) |
![]() 10월 혁명 훈장 | 1회 (1968년 2월 22일) |
![]() 붉은 군기 훈장 | 5회 (1940년 4월 7일, 1943년 8월 27일, 1944년 11월 3일, 1950년 11월 15일, 1954년 1월 28일) |
![]() 수보로프 훈장 1급 | 2회 (1943년 1월 28일, 1943년 5월 23일) |
![]() 쿠투조프 훈장 1급 | 2회 (1944년 5월 29일, 1944년 8월 25일) |
보흐단 흐멜니츠키 훈장 1급 | 1회 (1944년 1월 10일) |
애국 전쟁 훈장 1급 | 1회 (1985년 4월 6일) |
조국을 위한 봉사 훈장 3급 | 1회 (1975년 4월 30일) |
![]() 스탈린그라드 방어전 메달 | 1회 (1942년) |
프라하 해방 메달 | 1회 (1945년) |
![]() 키예프 방어전 메달 | 1회 (1961년) |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메달 | 1회 (1945년)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65년)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75년) |
1941년-1945년 대조국전쟁 승리 4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85년) |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69년) |
![]() 소련군 참전용사 메달 | 1회 (1976년) |
![]() 전투 우애 강화 메달 | 1회 (1979년) |
![]() 노농 적군 2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38년) |
소련군 및 해군 3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48년) |
![]() 소련군 4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58년) |
![]() 소련군 5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68년) |
![]() 소련군 6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78년) |
![]() 키예프 1500주년 기념 메달 | 1회 (1982년) |
7.2. 해외 훈장 및 영예
훈장 및 영예 | 국가 |
---|---|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 체코슬로바키아 (1969년) |
![]() 클레멘트 고트발트 훈장 | 체코슬로바키아 |
백사자 훈장 1급 | 체코슬로바키아 |
백사자 군사 훈장 "승리" 1급 | 체코슬로바키아 |
![]()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훈장 1939-1945 | 체코슬로바키아 |
![]() 우정 훈장 | 체코슬로바키아 |
군사 기념 메달 | 체코슬로바키아 |
![]() "무기 우애 강화" 메달, 황금 등급 | 체코슬로바키아 |
![]() 체코슬로바키아 자유 군사 훈장 황금별 | 체코슬로바키아 |
![]() "두클라 고개 전투 기념" 메달 | 체코슬로바키아 |
![]() 수흐바타르 훈장 | 몽골 인민 공화국 |
"몽골 인민군 50주년" 메달 | 몽골 |
"몽골 인민군 60주년" 메달 | 몽골 |
폴란드 재건 훈장 기사십자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그룬발트 십자 훈장 2급 | 폴란드 |
![]() 무기 우애 메달 | 폴란드 |
승리와 자유 메달 1945 | 폴란드 |
오데르-나이세-발트해 메달 | 폴란드 |
![]()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 훈장 1급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 | 영국 |
8. 유산 및 기념
모스칼렌코의 업적은 다양한 기념 사업을 통해 기려졌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그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재평가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8.1. 기념 사업 및 명칭
폴타바 통신 군사 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는 티라스폴 시의 명예 시민이었으며, 포크롭스크, 호를리우카, 빈니차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포크롭스크에는 그를 기리는 청동 흉상도 세워져 있다.
8.2. 역사적 재평가 및 논란
2023년 5월 26일, 키이우 시의회는 우크라이나 탈공산화법에 따라 모스칼렌코의 "키이우 시 명예 시민" 칭호를 박탈했다. 이는 소련 시대 인물에 대한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평가와 탈공산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