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첸제게이는 1992년 1월 4일 가봉의 포르장티에서 가봉인 아버지 디외도네 은둠부(Dieudonné N'Doumbou디외도네 은둠부프랑스어)와 저장성 출신 하카족 중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아버지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유학하던 시절 만나 결혼했다.
첸제게이는 어린 시절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가 나중에 이를 포기하고 아버지의 혈통을 따라 가봉 국적을 취득했다. 그는 6세 때 포르장티에 위치한 AS 소가라에 입단하며 축구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12세가 되던 해 프랑스로 이주하여 FC 카르팡트라(FC CarpentrasFC 카르팡트라프랑스어) 유소년팀에 입단했다. 카르팡트라에서 활동하던 시기, 그의 아버지는 첸제게이의 축구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프랑스에 거주하는 친구에게 맡기며 축구 경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1.1. 유소년 경력
2005년, 첸제게이는 FC 마르티그(FC MartiguesFC 마르티그프랑스어) 청소년팀에 입단했다. 1년 뒤인 2006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스카우터의 제안을 받아 마르세유의 입단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고 마르세유의 청소년팀에 합류했다. 그는 마르세유 U-17 팀의 주장을 맡았으며, 2008-09 시즌 프랑스 U-17 청소년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2. 프로 경력
첸제게이는 프랑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유럽 여러 클럽을 거쳐 중국 슈퍼리그에서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2.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09년 11월 18일, 첸제게이는 자신의 첫 프로 축구 선수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계약은 그의 기존 유소년 계약이 만료된 후인 2011년 7월 1일에 발효되었다. 그는 2010년 1월 9일, 18세 생일로부터 5일 뒤에 쿠프 드 프랑스 64강전에서 아마추어 클럽 트렐리삭 FC를 상대로 2대 0으로 승리한 경기에 출전하여 마티외 발뷔에나와 교체되어 88분에 투입되며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군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임대 생활을 마치고 마르세유로 복귀하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B팀에서 활동했으며, 이 팀은 당시 프랑스 5부 리그에 소속되어 있었다. 2016년 8월에는 마르세유 1군 벤치 명단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결국 팀을 떠나게 되었다.
2.2. 임대 및 유럽 클럽 경력
2011년 8월 10일, 첸제게이는 당시 프랑스 3부 리그에 속해 있던 US 오를레앙으로 한 시즌 동안 임대되었다. 그는 한 시즌 후 마르세유로 복귀하여 B팀에 배정되었고, 2013년 6월 30일 다시 오를레앙으로 임대되었다. 임대 기간이 끝난 뒤 그는 마르세유 B팀으로 돌아왔다.
2016년 8월, 첸제게이는 벨기에 3부 리그 소속의 FCV 덴더르 EH(FCV Dender EHFCV 덴더르 EH네덜란드어)로 이적했다. 이어서 2018년 7월에는 불가리아 1부 리그 클럽인 FC 베레야(ФК ВереяFC 베레야불가리아어)로 팀을 옮겼다.
2.3. 중국 슈퍼리그 경력
2019년 2월, 첸제게이는 불가리아의 FC 베레야를 떠나 중국 슈퍼리그의 상하이 선화에 입단했다. 이 이적과 함께 그는 가봉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회복했다. 2019년 12월 6일, 그는 상하이 선화 소속으로 2019년 중국 FA컵 우승을 달성하며 선수 경력에서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상하이 선화에서 4시즌 동안 활약한 후, 2023년 1월 17일에 또 다른 중국 슈퍼리그 클럽인 저장 FC로 이적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첸제게이는 2009년 11월, 당시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이었던 알랭 지레스(Alain Giresse알랭 지레스프랑스어)에 의해 처음으로 가봉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다. 이는 그가 프로 데뷔를 하기 전의 일이었다.
2011년 2월, 그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의 친선 경기를 통해 가봉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같은 해 11월, 모로코에서 개최된 2011년 U-23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 가봉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에 가봉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발탁되어 대회에 참가했다. 또한, 그는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도 참가하여 가봉 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첸제게이는 가봉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총 11경기를 뛰었다.
4. 국적 변경 및 자격
2019년 2월, 첸제게이는 가봉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이는 그가 과거에 보유했던 중국 국적을 회복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FIFA 규정에 따르면, 선수가 이미 한 국가의 국가대표팀에서 공식 경기에 출전한 경우 다른 국가의 국가대표팀으로 변경하여 출전할 수 없다. 첸제게이는 이미 가봉 국가대표팀에서 공식 경기에 출전했기 때문에, 비록 중국 국적을 취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선발될 자격이 없다. 이러한 규정으로 인해 그의 국가대표 경력은 사실상 막을 내렸다.
5. 통계
2024년 11월 15일 기준
구단 | 시즌 | 리그 | 국내컵대회 | 리그컵대회 | 대륙간대회 | 합계 | ||||||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2009-10 | 리그 1 | 0 | 0 | 2 | 0 | 0 | 0 | 0 | 0 | 2 | 0 |
2010-1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2011-1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2012-1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2013-14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2014-15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합계 | 0 | 0 | 2 | 0 | 0 | 0 | 0 | 0 | 2 | 0 | ||
오를레앙 (임대) | 2011-12 | 샹피오나 나시오날 | 21 | 3 | 0 | 0 | - | - | 21 | 3 | ||
2012-13 | 10 | 0 | 0 | 0 | - | - | 10 | 0 | ||||
합계 | 31 | 3 | 0 | 0 | 0 | 0 | 0 | 0 | 31 | 3 | ||
마르세유 B | 2012-13 | 샹피오나 나시오날 3 | 3 | 0 | - | - | - | 3 | 0 | |||
2013-14 | 25 | 2 | - | - | - | 25 | 2 | |||||
2014-15 | 14 | 2 | - | - | - | 14 | 2 | |||||
합계 | 42 | 4 | 0 | 0 | 0 | 0 | 0 | 0 | 42 | 0 | ||
FCV 덴더르 EH | 2016-17 | 에이르스터 나티오날러 | 11 | 0 | 0 | 0 | - | - | 11 | 0 | ||
2017-18 | 17 | 2 | 0 | 0 | - | - | 17 | 2 | ||||
합계 | 28 | 2 | 0 | 0 | 0 | 0 | 0 | 0 | 28 | 2 | ||
FC 베레야 | 2018-19 | 파르바리가 | 15 | 0 | 0 | 0 | - | - | 15 | 0 | ||
상하이 선화 | 2019 | 중국 슈퍼리그 | 24 | 1 | 3 | 1 | - | - | 27 | 2 | ||
2020 | 19 | 1 | 1 | 0 | - | 4 | 0 | 24 | 1 | |||
2021 | 9 | 0 | 6 | 0 | - | - | 15 | 0 | ||||
2022 | 29 | 1 | 0 | 0 | - | - | 29 | 1 | ||||
합계 | 81 | 3 | 10 | 1 | 0 | 0 | 4 | 0 | 95 | 4 | ||
저장 FC | 2023 | 중국 슈퍼리그 | 25 | 0 | 2 | 0 | - | 2 | 0 | 29 | 0 | |
2024 | 19 | 0 | 1 | 0 | - | 4 | 0 | 24 | 0 | |||
합계 | 44 | 0 | 3 | 0 | 0 | 0 | 6 | 0 | 53 | 0 | ||
통산 기록 | 226 | 12 | 15 | 1 | 0 | 0 | 10 | 0 | 251 | 9 |
6. 수상 경력
상하이 선화
- 중국 FA컵: 2019
7. 관련 항목
- 중국 귀화 선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