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김재환 선수는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학업과 배드민턴 경력을 병행하며 성장했으며,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1. 출생 및 성장 과정
김재환 선수는 1996년 8월 13일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태어났다.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신장은 1.79 m이다. 주 사용 손은 오른손이다.
1.2. 학력
그는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이후 원광대학교에서 수학했다. 이러한 학업 과정은 그의 선수 경력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3. 초기 경력 개발
김재환은 주니어 선수 시절부터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그는 세계 주니어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배드민턴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특히 2013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혼합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그의 재능을 입증했다. 2012년 일본 지바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혼합 단체전 동메달을, 2014년 말레이시아 알로르 스타르에서는 남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3년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에서 혼합 단체전 은메달을, 2014년 대만 타이베이에서는 혼합 단체전과 남자 복식에서 각각 은메달을, 혼합 복식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외에도 2016년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배드민턴 아시아 단체 선수권 대회 남자 단체전 동메달, 2017년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열린 배드민턴 아시아 혼합 단체 선수권 대회 혼합 단체전 은메달, 2022년 말레이시아 셀랑고르에서 열린 배드민턴 아시아 단체 선수권 대회 남자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며 팀 기여도도 높았다. 이러한 주니어 및 초기 성인 단체전 성과는 그가 성인 무대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발판이 되었다.
2. 주요 활동 및 성과
김재환 선수는 주니어 시절부터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고, 성인 무대에서도 꾸준히 주요 성과를 달성하며 한국 배드민턴의 주축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1. 주니어 경력
김재환 선수는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 배드민턴 무대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 세계 주니어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 2013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대회에서 혼합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일본 지바에서 열린 대회에서 혼합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말레이시아 알로르 스타르에서 열린 대회 남자 복식에서 김정호와 조를 이루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태국의 키티누퐁 케드렌, 데차폴 푸아바라누크로에게 14-21, 18-21로 패배)
- 배드민턴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2013년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에서 혼합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대만 타이베이에서 혼합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대만 타이베이에서 남자 복식에서 김정호와 조를 이루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중국의 황카이샹, 정시웨이에게 16-21, 14-21로 패배)
- 2014년 대만 타이베이에서 혼합 복식에서 김혜정과 조를 이루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중국의 황카이샹, 첸칭천에게 9-21, 19-21로 패배)
2.2. 성인 경력 주요 대회
성인 무대 데뷔 이후, 김재환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2.2.1. 하계 유니버시아드
김재환은 2017년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201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배드민턴 남자 복식에 참가하여 서승재와 함께 금메달을 획득했다. 타이베이 체육관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일본의 카츠키 타마테, 켄야 미츠하시 조를 21-12, 21-19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2.2. 세계 대학 선수권 대회
2016년 러시아 모스크바주 라멘스코예에서 열린 세계 대학 선수권 대회에서 최솔규와 남자 복식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스포츠 팰리스 "보리소글렙스키"에서 대만의 리제훼이, 리양 조를 상대로 19-21, 21-14, 21-17의 스코어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16 | 스포츠 팰리스 "보리소글렙스키", 라멘스코예, 러시아 | 최솔규 | 대만 리제훼이 대만 리양 | 19-21, 21-14, 21-17 | 금메달 |
2.2.3. BWF 그랑프리/그랑프리 골드
BWF 그랑프리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의 승인을 받아 진행된 배드민턴 토너먼트 시리즈로, 그랑프리와 그랑프리 골드의 두 단계로 나뉘었다. 김재환은 이 시리즈에서 중요한 우승을 기록했다.
- 2016년 코리아 마스터스 (그랑프리 골드) 남자 복식에서 고성현과 조를 이루어 우승했다. 대만의 리제훼이, 리양 조를 21-19, 21-18로 물리치고 정상에 올랐다.
| 연도 | 토너먼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16 | 코리아 마스터스 | 고성현 | 대만 리제훼이 대만 리양 | 21-19, 21-18 | 우승 |
2.2.4. BWF 인터내셔널 챌린지/시리즈
김재환은 BWF 인터내셔널 챌린지 및 시리즈 대회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며 2번의 우승과 4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 연도 | 토너먼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19 | 오사카 인터내셔널 | 강민혁 | 대한민국 고성현 대한민국 신백철 | 13-21, 16-21 | 준우승 |
| 2019 | 베트남 인터내셔널 | 강민혁 | 인도네시아 케나스 아디 하리안토 인도네시아 리안 아궁 사푸트로 | 19-21, 21-15, 18-21 | 준우승 |
| 2019 | 몽골 인터내셔널 | 강민혁 | 대한민국 김원호 대한민국 박경훈 | 21-14, 27-29, 14-21 | 준우승 |
| 2019 | 인도네시아 인터내셔널 | 강민혁 | 인도네시아 무함마드 파흐리카르 인도네시아 암리 샤나위 | 21-17, 11-21, 21-15 | 우승 |
| 2022 | 이탈리아 인터내셔널 | 윤대일 | 대만 수칭헝 대만 예훙웨이 | 21-14, 21-19 | 우승 |
| 2023 (II) | 인도네시아 인터내셔널 | 기동주 | 일본 켄야 미츠하시 일본 히로키 오카무라 | 22-20, 16-21, 8-21 | 준우승 |
3. 세계 랭킹
김재환 선수는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높은 랭킹을 유지했다. 그의 최고 세계 랭킹은 다음과 같다.
- 남자 복식 최고 랭킹: 38위 (2020년 2월 18일 기준)
- 혼합 복식 최고 랭킹: 46위 (2017년 11월 16일 기준)
2022년 2월 22일 기준 남자 복식 세계 랭킹은 48위이다.
4. 개인 생활
김재환 선수의 공개된 구체적인 개인 생활 정보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