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서승재(1997년 9월 4일~)는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다. 그는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을 주 종목으로 하며, 왼손잡이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2023년 BWF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두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선수로는 24년 만에 대회 2관왕을 달성하는 위업을 세웠다. 또한 같은 해 BWF 월드 투어 파이널스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023년 BWF 올해의 남자 선수로 선정되는 등 2023년 한 해 동안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그는 2017년 수디르만 컵에서 한국 대표팀의 네 번째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2. 초기 생활 및 배경
서승재 선수는 1997년 9월 4일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태어났으며, 전라북도 부안군을 거주지로 두고 있다. 그는 원광대학교에 재학하며 선수 활동을 이어갔다. 학창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 2015년 태국 주니어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2관왕을 차지하는 등 일찍이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그의 키는 1.82 m이다.
3. 경력
서승재 선수는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며 경험을 쌓았고, 시니어 무대 데뷔 이후에도 꾸준히 성적을 내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주요 선수로 성장했다. 특히 2023년에는 경력의 정점을 찍으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이후 파트너십 변화와 새로운 도전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3.1. 주니어 경력
서승재 선수는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경력을 쌓았다. 2012년 세계 주니어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혼합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이듬해 2013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혼합 단체전 금메달과 남자 복식 동메달을 차지했다. 아시아 주니어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3년, 2014년, 2015년 혼합 단체전에서 세 차례 은메달을 목에 걸었으며, 2015년에는 남자 단식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에는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2014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하여 남자 단식 9위에 오르는 성적을 기록했다.
3.2. 시니어 초년 경력 및 국제 데뷔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서승재 선수는 빠르게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2017년 5월 오스트레일리아 골드코스트에서 열린 2017년 수디르만 컵에 대한민국 대표팀 일원으로 참가하여 팀의 4번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같은 해 8월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1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김재환과 함께 남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BWF 그랑프리 및 BWF 월드 투어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성과를 냈다. 2017년 대만 오픈과 코리아 마스터스 혼합 복식에서 김하나와 함께 우승했으며, 미국 오픈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김하나와의 혼합 복식 최고 랭킹은 5위였다. 2017년 코리아 마스터스 남자 복식에서는 김원호와 짝을 이뤄 우승했다. 2018년에는 최솔규와 남자 복식 파트너십을 시작하여 코리아 마스터스, 노르웨이 인터내셔널, 아일랜드 오픈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혼합 복식에서는 채유정과 함께 2018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우승했다.
2019년에는 최솔규와 남자 복식에서 베트남 오픈과 홍콩 오픈에서 우승했다. 특히 홍콩 오픈에서는 세계 랭킹 4위의 가무라 다케시/소노다 케이고 조를 꺾고, 준결승에서 세계 6위 엔도 히로유키/와타나베 유타 조를 격파했으며, 결승에서는 세계 2위 모하맛 아흐산/헨드라 세티아완 조를 물리치고 노시드 우승을 차지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최솔규와의 남자 복식 최고 랭킹은 7위였다.
q=Tokyo, Japan|position=left
서승재 선수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 남자 복식(파트너 최솔규)과 혼합 복식(파트너 채유정) 두 종목에 출전했다. 남자 복식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여 9위에, 혼합 복식에서는 8강에서 탈락하여 5위에 그쳤다. 올림픽 이후 2021년 수디르만 컵과 토마스 컵에 참가했으나, 대한민국 팀은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이 해에는 단 두 번의 BWF 월드 투어 대회에만 출전했다.
2022년부터는 강민혁과 새로운 남자 복식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들은 파트너 결성 직후인 2022년 코리아 오픈에서 우승하며 주목받았다. 이 대회에서 세계 랭킹이 더 높은 사트위크사이라지 란키레디/치라그 셰티 조, 모하맛 아흐산/헨드라 세티아완 조, 그리고 결승 상대인 파자르 알피안/무하마드 리안 아르디안토 조를 꺾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2022년 토마스 컵에서도 강민혁과 함께 모든 경기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2022년 한 해 동안 일본 오픈, 말레이시아 오픈, 프랑스 오픈 등에서 초반 탈락하며 기복 있는 성적을 보였다. 한편, 혼합 복식에서는 채유정과 다시 호흡을 맞춰 2022년 인도네시아 마스터스에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2022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정나은/김원호 조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인도네시아 오픈에서는 준결승에, 2022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3.3. 2023년 돌파구: 세계 선수권 및 월드 투어 파이널스
2023년은 서승재 선수에게 있어 최고의 해였다. 그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2023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혼합 복식과 남자 복식 모두 우승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정시웨이/황야충 조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복식에서는 홈 이점을 가진 킴 아스트루프/안데르스 스카루프 라스무센 조를 꺾고 우승했다. 이로써 그는 한국 선수로는 24년 만에 세계 선수권 2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그는 또한 2023년 중국 오픈에서 혼합 복식 우승을 차지하며 첫 슈퍼 1000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대회 8강에서도 정시웨이/황야충 조를 다시 한번 꺾었다. 이러한 눈부신 활약을 인정받아 서승재 선수는 2023년 BWF 올해의 남자 선수로 선정되었다. 연말에는 BWF 월드 투어 파이널스 남자 복식에서 량웨이컹/왕창 조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하며 2023년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강민혁과의 남자 복식 최고 랭킹은 2024년 2월 20일 기준 2위였으며, 채유정과의 혼합 복식 최고 랭킹은 2024년 3월 12일 기준 2위였다.
2023년에 그는 다음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말레이시아 마스터스 남자 복식 우승 (강민혁과 함께, 1회전에서 세계 1위 파자르 알피안/무하마드 리안 아르디안토 조를 꺾음)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남자 복식 우승 (강민혁과 함께, 준준결승에서 세계 1위 파자르 알피안/무하마드 리안 아르디안토 조를 꺾고, 준결승에서 전주 챔피언 리양/왕치린 조를, 결승에서 세계 5위 호키 타쿠로/고바야시 유고 조를 꺾음)
- 코리아 마스터스 혼합 복식 우승 (채유정과 함께)
- 독일 오픈 남자 복식 준우승 (강민혁과 함께)
- 전영 오픈 혼합 복식 준우승 (채유정과 함께)
- 태국 마스터스 혼합 복식 준우승 (채유정과 함께)
3.4. 최근 활동 및 파트너십 변화
2024년에도 서승재 선수는 꾸준히 활약을 이어갔다. 1월 인도 오픈 남자 복식에서 강민혁과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일본 오픈과 코리아 오픈 남자 복식에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홍콩 오픈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다.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혼합 복식에서는 채유정과 은메달을 획득했다.
강민혁 선수가 병역 의무로 인해 잠시 활동을 중단하게 되면서, 서승재 선수는 새로운 파트너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2024년 11월 코리아 마스터스에서는 기동주와 짝을 이뤄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진용/김원호 조에게 아쉽게 패배했다.
그 후 진용과 파트너십을 맺고 재팬 마스터스와 중국 마스터스에 참가했다. 특히 진용과의 두 번째 월드 투어 대회인 중국 마스터스에서 파자르 알피안/무하마드 리안 아르디안토, 호키 타쿠로/고바야시 유고, 사트위크사이라지 란키레디/치라그 셰티 등 세계 정상급 선수들을 연달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조합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2025년 시즌은 김원호와 함께 시작했다. 1월 말레이시아 오픈 남자 복식에서 제2시드 량웨이컹/왕창 조와 사트위크사이라지 란키레디/치라그 셰티 조를 꺾는 등 파죽지세로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파트너와 함께 상위 대회 2연속 우승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어서 인도 오픈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고, 태국 마스터스에서는 진용과 함께 다시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4. 주요 성과 및 기록
서승재 선수가 국제 대회에서 획득한 주요 메달 및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4.1. 세계 선수권 대회
서승재 선수는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총 2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남자 복식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결과 |
---|---|---|---|---|---|
2023 | 코펜하겐 | 강민혁 | 킴 아스트루프 안데르스 스카루프 라스무센 | 14-21, 21-15, 21-17 | 금메달 |
- 혼합 복식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결과 |
---|---|---|---|---|---|
2023 | 코펜하겐 | 채유정 | 정시웨이 황야충 | 21-17, 10-21, 21-18 | 금메달 |
4.2. 종합 스포츠 대회 (아시안 게임, 유니버시아드)
서승재 선수는 종합 스포츠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아시안 게임
-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혼합 복식 동메달 (채유정과 함께)
-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단체전 동메달
- 유니버시아드
- 2017년 타이베이 하계 유니버시아드 남자 복식 금메달 (김재환과 함께)
- 기타 단체전 대회
- 수디르만 컵: 2017년 금메달, 2023년 은메달, 2021년 동메달
- 아시아 배드민턴 단체 선수권 대회: 2018년 남자 단체전 동메달, 2024년 남자 단체전 동메달
4.3. BWF 월드 투어 및 그랑프리
BWF 월드 투어는 2017년 3월 19일에 발표되어 2018년에 시행된 BWF가 주관하는 엘리트 배드민턴 대회 시리즈이다. BWF 월드 투어는 월드 투어 파이널스, 슈퍼 1000, 슈퍼 750, 슈퍼 500, 슈퍼 300, 그리고 BWF 투어 슈퍼 100 등 여러 단계로 나뉜다. BWF 그랑프리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되었던 대회로, 그랑프리와 그랑프리 골드 두 가지 단계로 나뉘었다.
- BWF 월드 투어 남자 복식 (12회 우승, 7회 준우승)
연도 | 대회 | 등급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결과 |
---|---|---|---|---|---|---|
2018 | 코리아 마스터스 | 슈퍼 300 | 최솔규 | 리 포웨이 왕치린 | 21-12, 17-21, 21-18 | 우승 |
2019 | 스페인 마스터스 | 슈퍼 300 | 김원호 | 리양 왕치린 | 8-21, 21-23 | 준우승 |
2019 | 대만 오픈 | 슈퍼 300 | 최솔규 | 고 브이 솀 탄 위 키옹 | 19-21, 21-15, 21-23 | 준우승 |
2019 | 베트남 오픈 | 슈퍼 100 | 최솔규 | 나성승 왕찬 | 18-21, 21-16, 21-14 | 우승 |
2019 | 홍콩 오픈 | 슈퍼 500 | 최솔규 | 모하맛 아흐산 헨드라 세티아완 | 13-21, 21-12, 21-13 | 우승 |
2019 | 사이드 모디 인터내셔널 | 슈퍼 300 | 최솔규 | 허지팅 탄창 | 18-21, 19-21 | 준우승 |
2022 | 코리아 오픈 | 슈퍼 500 | 강민혁 | 파자르 알피안 무하마드 리안 아르디안토 | 19-21, 21-15, 21-18 | 우승 |
2023 | 독일 오픈 | 슈퍼 300 | 강민혁 | 최솔규 김원호 | 19-21, 21-18, 19-21 | 준우승 |
2023 | 말레이시아 마스터스 | 슈퍼 500 | 강민혁 | 만 웨이 충 티 카이 원 | 21-15, 22-24, 21-19 | 우승 |
2023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슈퍼 500 | 강민혁 | 호키 타쿠로 고바야시 유고 | 21-17, 21-17 | 우승 |
2023 | BWF 월드 투어 파이널스 | 월드 투어 파이널스 | 강민혁 | 량웨이컹 왕창 | 21-17, 22-20 | 우승 |
2024 | 인도 오픈 | 슈퍼 750 | 강민혁 | 사트위크사이라지 란키레디 치라그 셰티 | 15-21, 21-11, 21-18 | 우승 |
2024 | 일본 오픈 | 슈퍼 750 | 강민혁 | 고 씨 페이 누르 이즈딘 | 19-21, 15-21 | 준우승 |
2024 | 코리아 오픈 | 슈퍼 500 | 강민혁 | 레오 롤리 카르난도 바가스 마울라나 | 21-18, 9-21, 8-21 | 준우승 |
2024 | 홍콩 오픈 | 슈퍼 500 | 강민혁 | 사바르 카르야만 구타마 무하마드 레자 파흘레비 이스파하니 | 21-13, 21-17 | 우승 |
2024 | 중국 마스터스 | 슈퍼 750 | 진용 | 사바르 카르야만 구타마 무하마드 레자 파흘레비 이스파하니 | 21-16, 21-16 | 우승 |
2025 | 말레이시아 오픈 | 슈퍼 1000 | 김원호 | 천보양 류이 | 19-21, 21-12, 21-12 | 우승 |
2025 | 인도 오픈 | 슈퍼 750 | 김원호 | 고 씨 페이 누르 이즈딘 | 15-21, 21-13, 16-21 | 준우승 |
2025 | 태국 마스터스 | 슈퍼 300 | 진용 | 무하마드 쇼히불 피크리 다니엘 마르틴 | 21-18, 21-17 | 우승 |
- BWF 월드 투어 혼합 복식 (6회 우승, 9회 준우승)
연도 | 대회 | 등급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결과 |
---|---|---|---|---|---|---|
2018 | 뉴질랜드 오픈 | 슈퍼 300 | 채유정 | 왕치린 리자신 | 19-21, 21-14, 19-21 | 준우승 |
2018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슈퍼 300 | 채유정 | 찬펑순 고류잉 | 21-12, 23-21 | 우승 |
2018 | 프랑스 오픈 | 슈퍼 750 | 채유정 | 정시웨이 황야충 | 19-21, 14-21 | 준우승 |
2019 | 스페인 마스터스 | 슈퍼 300 | 채유정 | 왕치린 청치야 | 21-18, 21-15 | 우승 |
2019 | 독일 오픈 | 슈퍼 300 | 채유정 | 하피즈 파이잘 글로리아 에마누엘 위자야 | 21-17, 21-11 | 우승 |
2019 | 대만 오픈 | 슈퍼 300 | 채유정 | 탕춘만 셰잉쉐 | 18-21, 10-21 | 준우승 |
2020 | 태국 오픈 | 슈퍼 1000 | 채유정 | 데차폴 푸아바라누크로 삽시리 타에라타나차이 | 16-21, 20-22 | 준우승 |
2020 | BWF 월드 투어 파이널스 | 월드 투어 파이널스 | 채유정 | 데차폴 푸아바라누크로 삽시리 타에라타나차이 | 18-21, 21-8, 8-21 | 준우승 |
2022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슈퍼 300 | 채유정 | 김원호 정나은 | 21-9, 21-17 | 우승 |
2023 | 태국 마스터스 | 슈퍼 300 | 채유정 | 펑옌저 황둥핑 | 21-18, 15-21, 12-21 | 준우승 |
2023 | 전영 오픈 | 슈퍼 1000 | 채유정 | 정시웨이 황야충 | 16-21, 21-16, 12-21 | 준우승 |
2023 | 중국 오픈 | 슈퍼 1000 | 채유정 | 톰 지켈 델핀 델루 | 21-19, 21-12 | 우승 |
2023 | 코리아 마스터스 | 슈퍼 300 | 채유정 | 장전방 웨이 야신 | 21-14, 21-15 | 우승 |
2023 | 중국 마스터스 | 슈퍼 750 | 채유정 | 정시웨이 황야충 | 10-21, 11-21 | 준우승 |
2024 | 프랑스 오픈 | 슈퍼 750 | 채유정 | 펑옌저 황둥핑 | 16-21, 16-21 | 준우승 |
- BWF 그랑프리 남자 복식 (1회 우승, 2회 준우승)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결과 |
---|---|---|---|---|---|
2017 | 캐나다 오픈 | 김원호 | 피터 브릭스 톰 울펜덴 | 20-22, 21-16, 19-21 | 준우승 |
2017 | 마카오 오픈 | 김원호 | 와휴 나야카 아데 유수프 | 13-21, 14-21 | 준우승 |
2017 | 코리아 마스터스 | 김원호 | 정재욱 김기정 | 21-15, 21-16 | 우승 |
- BWF 그랑프리 혼합 복식 (3회 우승, 1회 준우승)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결과 |
---|---|---|---|---|---|
2017 | 대만 오픈 | 김하나 | 왕치린 리자신 | 22-20, 21-10 | 우승 |
2017 | 미국 오픈 | 김하나 | 김원호 신승찬 | 16-21, 21-14, 21-11 | 우승 |
2017 | 마카오 오픈 | 김하나 | 정시웨이 황야충 | 14-21, 11-21 | 준우승 |
2017 | 코리아 마스터스 | 김하나 | 최솔규 채유정 | 17-21, 21-13, 21-18 | 우승 |
4.4. 기타 국제 대회
서승재 선수는 BWF 인터내셔널 챌린지/시리즈 등 기타 국제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 남자 복식 (2회 우승)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결과 |
---|---|---|---|---|---|
2018 | 노르웨이 인터내셔널 | 최솔규 | 마스 에밀 크리스텐센 크리스토퍼 크누센 | 21-12, 21-13 | 우승 |
2018 | 아일랜드 오픈 | 최솔규 | 잭 맥그리거 시아 프린글 | 21-17, 21-12 | 우승 |
5. 수상 및 인정
서승재 선수는 그의 뛰어난 실력과 공헌을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다. 특히 2023년의 눈부신 활약을 바탕으로 BWF가 수여하는 2023년 BWF 올해의 남자 선수로 선정되었다.
6. 유산 및 영향
서승재 선수는 2023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2관왕을 달성하며 한국 배드민턴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세웠다. 이는 한국 선수로는 24년 만의 쾌거로, 그의 우승은 한국 배드민턴의 위상을 다시 한번 드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또한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모두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량을 선보이며, 그를 '전천후 선수'로 평가받게 했다. 그의 꾸준한 도전과 파트너십 변화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경기력은 후배 선수들에게 큰 귀감이 되고 있다. 서승재 선수는 단순히 우승을 넘어, 한국 배드민턴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활약 또한 기대되는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