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힐라 리만(Hilla Limann영어, 1934년 12월 12일 ~ 1998년 1월 23일)은 가나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1979년부터 1981년까지 가나의 제8대 대통령을 역임했습니다. 그는 대통령직에 오르기 전 토고의 로메와 스위스의 제네바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했습니다. 리만은 가나 제3공화국의 유일한 대통령으로, 경제적으로는 중도적 입장을 취하며 민주주의적 가치와 범아프리카주의를 강력히 지지했습니다.
그의 재임 기간은 제리 롤링스가 주도한 군사 쿠데타로 인해 단축되었으며, 이는 가나의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리만은 쿠데타 이후에도 정치적 활동을 이어갔으며,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헌신을 바탕으로 힐라 리만 재단이 설립되어 그의 유산을 기리고 있습니다. 그는 또한 영국의 세인트 마이클 앤드 세인트 조지 훈장과 유고슬라비아의 유고슬라비아 대성성 훈장을 수여받았습니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힐라 리만의 초기 생애와 교육은 그의 외교 및 정치 경력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1. 출생 및 어린 시절
리만의 본래 성은 바비니(Babini영어)였으며, 그는 1934년 12월 12일 북부 골드코스트 (영국 식민지)의 어퍼웨스트주 시살라 서부 구에 위치한 그월루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많지 않지만, 그는 가나의 북부 지역에서 성장했습니다.
2.2. 교육
리만은 1949년 타말레에 있는 정부 중학교에서 기초 교육을 마쳤습니다. 이후 1957년부터 1960년까지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습니다. 그는 또한 프랑스의 소르본 대학교에서 프랑스어 학위를 취득했으며, 런던 대학교에서 역사학 학사 학위(BA Hons영어)를, 그리고 파리 대학교에서 정치학 및 헌법 박사 학위(Ph.D.영어)를 받으며 학문적 깊이를 더했습니다.
3. 외교 경력
리만은 대통령이 되기 전 다양한 외교 직책을 수행하며 국제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았습니다.
1965년부터 1968년까지 가나 외교부 유럽 담당 부서장으로 근무했습니다. 1967년에는 가나의 1969년 헌법 초안을 작성한 헌법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습니다. 1968년에는 토고의 로메에 있는 가나 대사관에서 공관장/공식 비서로 임명되었습니다. 1971년에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가나 상임 대표부의 참사관으로 일했습니다. 1975년 6월에는 가나로 돌아와 외교부 유럽, 미주 및 동남아시아 담당 부서장 직책을 맡았습니다.
4. 정치 경력
리만의 정치 경력은 가나의 민주주의 전환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대통령 재임 기간은 가나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4.1. 대통령 선출 및 재임
1979년 제리 롤링스가 주도한 군사 쿠데타 이후, 힐라 리만은 인민국민당 (가나) 후보로 출마하여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는 전 가나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를 따르는 지지자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습니다. 당시 집권 중이던 최고군사평의회 (가나)에 의해 알하지 이모루 에갈라가 실격 처리된 후, 리만은 선거에 출마하여 2차 투표에서 62%의 득표율로 승리했습니다.
그는 1979년 9월 24일 대통령으로 취임했습니다. 리만은 경제적으로는 중도적 입장을 취했고, 민주주의적 가치와 범아프리카주의를 강력히 지지했습니다.
4.2. 재임 기간 중 정책 및 사건
리만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 그는 민주적 원칙을 확립하고 법치주의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1979년 정권 이양식 이후, 군사 정보 요원들은 이전 군사혁명평의회 (가나) 구성원들의 불안정한 활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리만 박사는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는 그들을 구금할 법적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결정은 결국 대통령직을 상실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이후 롤링스 행정부로부터 수년간 굴욕과 소외를 겪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는 그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4.3. 정권 전복과 이후 정치 활동
힐라 리만 대통령은 1981년 12월 31일 제리 롤링스가 주도한 군사 쿠데타에 의해 축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그는 가나 제3공화국의 유일한 대통령으로 기록되었습니다.
1992년, 그를 축출했던 임시국방평의회의 군사 통치가 끝나자 리만 박사는 다시 정치에 참여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설립한 새로운 정당인 인민국민회의 (가나)의 후보로 그 해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습니다. 이 선거에서 그는 6.7%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가나의 은크루마주의 정치 운동에서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5. 개인사
리만은 만성적인 건강 문제를 겪었습니다. 그는 부인 풀레라 리만(Fulera Limann영어)과 일곱 자녀를 두었습니다. 자녀들의 이름은 라리바 몬티아(Lariba Montia영어, 결혼 전 성 리만), 바바 리만(Baba Limann영어), 시비 안단(Sibi Andan영어, 결혼 전 성 리만), 리다 리만(Lida Limann영어), 다니 리만(Daani Limann영어), 질라 리만(Zilla Limann영어), 살마 리만(Salma Limann영어)입니다.
6. 사망 및 장례
힐라 리만은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인해 1998년 1월 23일 자연사했습니다. 그의 장례식은 1998년 3월 1일 자정, 그의 고향인 어퍼웨스트주 시살라 구의 그월루에서 비공개로 치러졌습니다.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알하지 마하마 이드리수가 이끄는 정부 대표단이 유족과 함께 애도하기 위해 참석했습니다.
7. 유산 및 기념 사업
힐라 리만의 유산은 그의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헌신을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7.1. 기념 사업 및 영예
힐라 리만 재단(Hilla Limann Foundation영어)은 2019년 9월 그의 대통령 취임 40주년을 기념하여 설립된 자선 단체입니다. 이 재단의 목표는 교육을 통해 인권 침해를 종식하고, 빈곤하고 취약한 이들을 위한 인간 개발을 옹호하며, 진정한 민주주의에 대한 깨달음을 고취하고, 인권 인식을 증진하는 것입니다.
리만은 1981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세인트 마이클 앤드 세인트 조지 훈장의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Knight Grand Cross영어)를 수여받았습니다. 같은 해, 그는 유고슬라비아의 유고슬로비아 대성성 훈장을 받았습니다.
8. 관련 항목
- 가나의 대통령 목록
- 가나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