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피에르 루이 베르낙(Pierre Louis Bernac피에르 루이 베르낙프랑스어, 1899년 1월 12일 ~ 1979년 10월 17일)은 프랑스의 바리톤 가수이자 저명한 성악 교사, 그리고 음악 저술가이다. 본명은 피에르 베르탱(Pierre Bertin피에르 베르탱프랑스어)이었으나, 동명이인 배우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베르낙으로 성을 변경했다. 그는 특히 프랑스 멜로디의 뛰어난 해석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프랑시스 풀랑크와의 25년간에 걸친 긴밀한 예술적 협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풀랑크는 이 기간 동안 그를 위해 90곡의 가곡을 작곡했다. 은퇴 후에는 가곡 해석, 특히 풀랑크의 작품에 대한 두 권의 영향력 있는 저서를 집필했다.
2. 생애
피에르 베르낙은 비교적 늦게 음악 경력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가곡 해석과 탁월한 성악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2.1. 초기 생애 및 교육
피에르 베르낙은 1899년 1월 12일 파리에서 피에르 베르탱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의 중개업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나, 이후 배우 피에르 베르탱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성을 베르낙으로 변경했다. 18세에 성악 레슨을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작곡가 앙드레 카플레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이본 구베르네에게 코칭을 받았고, 구베르네는 1925년 파리에서 열린 그의 첫 리사이틀에서 반주를 맡았다. 그는 잘츠부르크에서 라인홀트 폰 발리히와 함께 독일 리트를 공부했지만, 프랑스 멜로디의 해석가로서 가장 잘 알려지게 되었다.

2.2. 초기 경력
베르낙은 1926년 프랑시스 풀랑크의 《명랑한 노래들》을 초연했으나, 두 사람이 다시 함께 작업하기까지는 8년이 더 걸렸다. 1933년, 베르낙은 샹젤리제 극장에서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의 펠레아스 역으로 첫 오페라 무대에 섰다. 그의 유일한 다른 오페라 출연은 1936년 제네바에서 에르네스트 앙세르메의 지휘로 같은 역할을 맡은 것이었다. 1934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참석 중이던 베르낙은 갑작스럽게 드뷔시 리사이틀을 요청받았다. 반주자가 없었던 그는 잘츠부르크에 풀랑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사흘 안에 드뷔시 곡을 불러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반주를 해주실 수 있겠습니까? 보수는 후하게 드리겠습니다. 빨리 답장 주십시오."라는 세 줄짜리 쪽지를 보냈다. 풀랑크는 이에 동의했고, 두 사람은 뛰어난 음악적 교감을 발견하여 음악적 파트너십을 형성하기로 결정했다.
3. 주요 활동 및 업적
3.1. 프랑시스 풀랑크와의 협력

베르낙과 풀랑크는 1935년 4월 3일 파리 에콜 노르말 드 뮤지크에서 풀랑크의 《폴 엘뤼아르의 다섯 시》를 초연하며 파리에서 파트너십을 선보였다. 그들은 베르낙이 은퇴할 때까지 25년간 프랑스와 해외에서 함께 공연했다. 그들은 풀랑크의 자작곡을 기반으로 레퍼토리를 구축했지만,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다른 저명한 프랑스 작곡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브람스, 페데리코 몸푸, 슈베르트, 슈만, 베르디 등의 가곡도 탐구했다.
그들은 파트너십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프랑스 밖에서도 공연을 시작했다. 1935년 11월에는 요크 공작과 요크 공작부인을 위한 런던 프랑스 대사관 리셉션에서 공연했으며, 이듬해에는 BBC에서 여러 차례 함께 리사이틀을 방송했다. 1939년 첫 영국 투어에서는 런던 외에 네 개 도시를 방문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그들의 미국 데뷔는 1948년으로 미뤄졌다. 당시 뉴욕 타임스는 베르낙에 대해 "그의 노래의 진실성과 우아함은 예술 가곡 해석의 감정가들 사이에서 빠르게 추종자를 얻었다"고 평했다.
풀랑크는 베르낙을 위해 90곡의 가곡을 작곡했는데, 그로브 음악 사전에 따르면 "그의 스타일은 바리톤의 독특하고 세련된 예술성에 영향을 받았다." 베르낙은 1936년 이후 오페라 무대를 피했지만, 풀랑크는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와 만년의 《글로리아》를 작곡할 때 성악 관련 기술적 조언을 베르낙에게 의존했다. 풀랑크는 베르낙과의 협력이 자신이 그렇게 많은 가곡을 작곡한 이유라고 말했다. "내 음악의 내밀한 비밀을 아는 베르낙보다 더 잘 노래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또한 슈베르트, 슈만, 포레, 드뷔시, 라벨의 곡을 반주하면서 멜로디스트로서의 내 기술을 배웠다." 베르낙을 위해 작곡한 다른 작곡가로는 프랑스의 앙드레 졸리베, 앙리 소게, 장 프랑세, 독일의 파울 힌데미트, 영국의 레녹스 버클리, 미국의 새뮤얼 바버 등이 있다. 베르낙은 60세가 되던 1959년에 콘서트 무대에서 은퇴했다.
3.2. 연주 활동 및 레퍼토리
피에르 베르낙은 국제적인 콘서트 투어를 통해 프랑스 가곡과 독일 리트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쳤다. 그는 특히 프랑시스 풀랑크의 가곡을 포함한 프랑스 멜로디 해석에 있어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그의 연주는 섬세한 표현력과 텍스트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그는 오페라 무대에도 두 차례 출연하여 클로드 드뷔시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에서 펠레아스 역을 성공적으로 소화하며 중요한 오페라 출연 기록을 남겼다.
3.3. 교육자로서의 활동
베르낙은 가수로 활동하는 동안에도 교육자로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로브 음악 사전의 앨런 블라이스는 베르낙에 대해 "그의 수많은 제자들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은 제라르 수제였으며, 그의 스타일은 베르낙의 가르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평했다. 그는 퐁텐블로에 있는 아메리칸 콘서바토리와 파리의 파리 에콜 노르말 드 뮤지크에서 가르쳤다. 은퇴 후에도 프랑스, 영국, 미국에서 마스터클래스를 주재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뮤지컬 타임스는 그를 "노래 해석에 있어 탁월한 교사 – 선견지명이 있고, 정확하며, 지칠 줄 모르고, 사랑이 넘치는" 인물이라고 묘사했다.
3.3.1. 주요 제자
피에르 베르낙의 가르침을 받은 저명한 가수들은 다음과 같다.
- 제라르 수제: 베르낙의 가장 뛰어난 제자로 평가받으며, 그의 노래 스타일은 베르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엘리 아멜링
- 그레이스 범브리
- 마틸다 돕스
- 캐롤 네블렛
- 제시 노먼
- 베르나르 크루이센
4. 저술 활동
베르낙은 은퇴 후 음악 해석, 특히 프랑스 가곡과 프랑시스 풀랑크에 관한 두 권의 중요한 저서를 집필했다. 이 책들은 성악가와 음악학자들에게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4.1. 프랑스 가곡의 해석
베르낙의 첫 번째 저서인 《프랑스 가곡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French Song프랑스 가곡의 해석영어)은 1970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영어권 성악가들을 지도하기 위해 영어로 집필되었다. 베르낙이 영어 산문을 쓰고, 그의 전 제자였던 위니프레드 래드퍼드(Winifred Radford)가 프랑스어 가사에 대한 줄별 영어 번역을 제공했다. 서문에서 그는 가장 뛰어난 작곡가들만을 다룰 공간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 책은 베를리오즈부터 풀랑크에 이르기까지 18명의 작곡가(그 중에는 구노, 프랑크, 랄로, 생상스, 들리브, 비제, 마스네, 뒤파르크, 샤브리에, 쇼송, 포레, 드뷔시, 사티, 카플레, 루셀, 라벨 포함)의 200곡 멜로디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세 개의 서론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 베르낙은 콘서트 가수의 역할과 "해석"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해석이란 작곡가의 지시와 텍스트와 음악의 불가분성을 끊임없이 존중하며 상상력과 개인적인 비전을 통해 가사와 음악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장은 프랑스어 모음과 자음 소리 및 그 적절한 발성법에 대한 기술적 조언을 담고 있다. 세 번째 장은 프랑스 멜로디와 독일 리트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책의 대부분은 다양한 작곡가들의 기법에 대한 분석과 성악가들을 위한 상세한 조언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국 저널 《노츠》의 서평가는 이 책을 걸작이라고 불렀으며, 영국 《뮤직 앤 레터스》의 서평가는 "프랑스 레퍼토리를 진지하게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라고 평했다.
4.2. 프랑시스 풀랑크: 인간과 그의 노래
두 번째 저서인 《프랑시스 풀랑크: 인간과 그의 노래》(Francis Poulenc: The Man and His Songs프랜시스 풀랑크: 인간과 그의 노래영어)는 1977년에 영어 번역본으로 먼저 출판되었다. 1977년 런던의 빅터 골란츠와 뉴욕의 W. W. 노턴 & 컴퍼니에서 위니프레드 래드퍼드가 번역한 판본이 출간되었다. 원본 프랑스어 텍스트는 이듬해 파리의 부셰-샤스텔(Buchet-Chastel)에서 《프랑시스 풀랑크와 그의 멜로디》(Francis Poulenc et ses mélodies프랑시스 풀랑크와 그의 멜로디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베르낙은 이전 책과 유사한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풀랑크에 대한 짧은 전기적 연구에 이어 작곡가의 스타일과 이에 대한 가수의 접근 방식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며, 책의 대부분은 시인의 이름별로 그룹화된 개별 가곡들을 다룬다.
영어판을 검토한 《뮤지컬 타임스》는 "이것은 단순히 풀랑크의 가곡에 대한 책이 아니다. 훌륭한 문학적 스타일로 ... 프랑스인의 정신을 무의식적으로 드러내며, 높은 수준의 논리성과 무엇보다 따뜻한 마음으로 어떤 음악 레퍼토리에도 접근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교훈이다"라고 평했다. 영어판에는 레녹스 버클리 경이 서문을 썼고, 프랑스어판에는 앙리 소게가 서문을 썼다.
5. 개인적인 삶
피에르 베르낙은 결혼하지 않았으며 자녀도 없었다. 그의 개인적인 삶은 대중에게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6. 사망
피에르 베르낙은 1979년 10월 17일, 80세의 나이로 빌뇌브레자비뇽에서 일련의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7. 유산 및 평가
피에르 베르낙은 프랑스 멜로디 해석의 대가이자 뛰어난 교육자로서 음악계에 지대한 영향을 남겼다. 그의 예술적 기여와 교육적 영향력은 오늘날까지도 지속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7.1. 긍정적 평가
베르낙은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섬세한 해석으로 프랑스 가곡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특히 프랑시스 풀랑크와의 협력은 20세기 음악사에서 중요한 예술적 파트너십으로 기록되며, 풀랑크의 가곡이 완성되고 대중에게 전달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교육자로서 그는 수많은 재능 있는 성악가들을 양성했으며, 그의 가르침은 정확하고 통찰력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의 저서들은 프랑스 가곡 해석의 표준을 제시하며 후대 성악가와 음악학자들에게 귀중한 지침서가 되고 있다. 그의 예술성과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감사는 그가 남긴 유산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8. 영향
피에르 베르낙의 해석 방식과 교육 방법은 동시대 및 후대 음악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텍스트와 음악의 불가분성을 강조하며 가곡 해석에 있어 상상력과 개인적인 비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제자들에게 전수되어 그들의 예술적 성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프랑시스 풀랑크는 베르낙과의 협력을 통해 자신의 멜로디스트로서의 기술을 배웠다고 고백하며, 베르낙이 자신의 가곡 창작에 미친 결정적인 영향을 인정한다. 베르낙의 가르침을 받은 제라르 수제, 제시 노먼 등 수많은 저명한 가수들은 그의 해석적 통찰력과 교육적 원칙을 계승하여 각자의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저서들은 프랑스 가곡 해석의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어, 그의 영향력이 학문적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9. 기념 사업
피에르 베르낙과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여러 기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생장드뤼즈의 라벨 아카데미 친구들(Friends of the Académie Ravel)은 피에르 베르낙 가곡상(Prix de chant Pierre Bernac피에르 베르낙 가곡상프랑스어)을 수여하고 있다. 1980년에는 베르낙의 녹음 재발매를 촉진하기 위한 자선 신탁인 "피에르 베르낙의 친구들"(The Friends of Pierre Bernac피에르 베르낙의 친구들영어)이 설립되었으며, 레녹스 버클리 경이 초대 회장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