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표도르 클리모프Фёдо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лимов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클리모프러시아어는 러시아의 페어 스케이팅 선수이다. 그는 크세니아 스톨보바와 함께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페어 은메달과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은메달리스트이며,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세 차례 메달(2012년 동메달, 2014년 및 2015년 은메달)을 차지했다. 2015-16 ISU 그랑프리 파이널 챔피언이자 201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챔피언이며,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메달(2010년 동메달, 2011년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세 차례 (2014년, 2015년, 2017년) 우승했고, 러시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2010년, 2011년) 우승했다. 은퇴 후에는 피겨스케이팅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2. 개인 생활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클리모프는 1990년 9월 7일 소련 러시아 SFSR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레스가프트 체육 아카데미(Lesgaft Academy of Physical Education)를 다녔다. 2022년 6월 17일, 그는 2022년 동계 올림픽 페어 스케이팅 은메달리스트인 예브게니아 타라소바와 결혼했다.
3. 스케이팅 경력
표도르 클리모프는 1994년부터 피겨스케이팅을 시작하여 초기에는 싱글 스케이터로 활동했으며, 이후 페어 종목으로 전향하여 크세니아 스톨보바와 함께 국제 무대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3.1. 초기 경력
클리모프는 피겨스케이팅 코치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1994년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싱글 스케이터로 활동했으며, 2007년 러시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남자 싱글 부문에서 9위를 차지했다. 그는 처음에는 페어 스케이팅에 관심이 없었지만, 코치의 조언에 따라 16세에 페어로 전향했다. 그의 코치인 나탈리아 골루베바는 그를 마리아 차시나와 짝지어 주었으며, 차시나 역시 싱글에서 페어로 전향한 선수였다. 이후 알렉산드라 말라호바와 파트너를 이뤄 2009년 1월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8위를 기록했다.
3.2. 크세니아 스톨보바와의 파트너십
2009년 봄, 클리모프는 코치 류드밀라 벨리코바의 지도 아래 크세니아 스톨보바와 파트너십을 결성했다. 그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훈련했다.
3.2.1. 2009-2011 시즌: 주니어 성공 및 시니어 데뷔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첫 시즌인 2009-10 시즌 동안 두 번의 ISU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 각각 2위와 7위를 기록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7위에 올랐다. 이들은 2010년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첫 주니어 국가 타이틀을 획득했고, 같은 해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따냈다.
2010-11 시즌에는 두 번의 ISU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여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고,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시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도 데뷔하여 201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1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시니어 부문 6위를 기록하며 시니어 내셔널 데뷔를 성공적으로 마쳤고, 주니어 부문에서는 두 번째 주니어 국가 타이틀을 차지했다. 2011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입지를 다졌다.
3.2.2. 2011-2013 시즌: 시니어 무대 안착
2011-12 시즌,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2011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7위, 2011 컵 오브 러시아에서 4위를 기록하며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했다. 2012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3위, 프리스케이팅 2위를 기록하며 생애 첫 시니어 국가 메달인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들은 원래 2012년 유럽 선수권 대회의 첫 번째 대체 선수였으나, 알렉산드르 스미르노프의 응급 수술로 인해 카와구치 유코 / 스미르노프 조를 대신하여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 스톨보바/클리모프 조는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첫 유럽 선수권 동메달을 획득했고, 러시아의 시상대 독점에 기여했다.
2012-13 시즌에는 트리플 트위스트 리프트 업그레이드에 집중했다. 시즌 첫 국제 대회인 2012 쿠페 드 니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2 컵 오브 차이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시니어 그랑프리 메달을 기록했고, 2012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5위를 차지했다. 2013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유럽 선수권 대회의 첫 번째 대체 선수였던 스톨보바/클리모프 조는 유리 라리오노프의 손목 부상으로 기권한 베라 바자로바 / 라리오노프 조를 대신하여 출전했고, 자그레브에서 6위를 기록했다. 이후 2013년 바바리안 오픈에서 첫 시니어 국제 대회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3년 4월, 이들은 코치 니나 모저와 함께 훈련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이주하기를 희망했고,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의 승인을 받았다. 모스크바로 이전 후, 이들은 기본 스케이팅 기술 향상에 주력했다. 그러나 2013년 5월 말 클리모프가 자전거 사고로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어 훈련이 중단되었다.

3.2.3. 2013-2015 시즌: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메달
2013-14 시즌,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2013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그랑프리 시리즈를 시작했다. 2013 컵 오브 러시아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6위, 프리스케이팅 3위를 기록하며 최종 4위에 올랐다. 이들은 이탈리아 트렌티노에서 열린 201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어 2014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2012년 국가 챔피언인 바자로바/라리오노프 조를 0.45점 차로 제치고 첫 국가 타이틀을 차지했다.
201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스톨보바/클리모프 조는 쇼트 4위, 프리스케이팅 1위를 기록하며 총점 207.98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는 타티아나 볼로소자르/막심 트란코프 조에 이어 은메달, 바자로바/라리오노프 조를 제치고 차지한 것이며, 세 조 모두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올림픽 팀 이벤트에서는 프리스케이팅에 출전하여 해당 부문 1위를 차지하며 러시아 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페어 종목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3위, 프리스케이팅에서 순위를 끌어올려 최종 218.68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4회 세계 챔피언인 알리오나 사브첸코/로빈 졸코비 조를 제치고 시상대에 올랐다. 이들은 첫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2014-15 시즌, 스톨보바/클리모프 조는 2014 로스텔레콤 컵과 2014 트로피 에릭 봉파르 두 그랑프리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며, 그랑프리 시리즈 첫 우승을 기록했다. 특히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프랑스 개최지에 맞춰 프리스케이팅 음악을 프랑스어 보컬 버전으로 변경하여 선보였다. 이후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캐나다의 메건 듀하멜/에릭 래드포드 조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스페인 개최지에 맞춰 프리스케이팅 음악을 스페인어 보컬 버전으로 변경했다. 2015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째 연속 국가 타이틀을 획득했고, 2015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카와구치 유코/스미르노프 조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다. 이들은 새로운 스로우 점프를 연습하기 위해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3.2.4. 2015-2016 시즌: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
2015-16 시즌,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2015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챌린저 시리즈를 시작했다. 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4위에 머물렀으나, 2015 로스텔레콤 컵에서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동료 카와구치 유코/알렉산드르 스미르노프 조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들은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15-16 ISU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 모두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프리스케이팅에서는 154.60점을 기록하며 타티아나 볼로소자르/막심 트란코프 조가 2013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세운 프리스케이팅 세계 기록에 불과 0.06점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들은 깨끗한 사이드-바이-사이드 트리플 토루프-트리플 토루프-더블 토루프 점프와 트리플 플립, 트리플 살코 스로우를 성공시켰으며, 총점 229.44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들은 국가 선수권 대회 일주일 전 치료 마사지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2016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 출전 명단에서 기권했다. 201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할 예정이었으나, 클리모프의 팔과 어깨 근육에 신경 문제가 발생하여 리프트를 수행할 수 없게 되면서 대회 직전 기권했다. 2016년 보스턴에서 열린 2016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5위, 프리스케이팅 4위, 종합 4위를 기록했다.
3.2.5. 2016-2018 시즌: 경력 후반과 도전
2016년 7월 중순 훈련 캠프 도중, 스톨보바는 새로운 스케이트를 신으면서 왼쪽 발목에 신경 문제가 발생하여 심한 염증을 앓게 되었다. 이로 인해 스톨보바/클리모프 조는 2016-17 시즌의 두 그랑프리 대회인 2016 로스텔레콤 컵과 2016 NHK 트로피 모두 기권했다. 이들은 12월 말에 2017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복귀하여 예브게니아 타라소바/블라디미르 모로조프 조를 0.93점 차로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 번째 국가 타이틀을 차지했다.
2017년 1월, 이들은 2017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 모두 4위를 기록하며 종합 4위에 올랐다. 두 달 후, 2017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쇼트 프로그램에서 13위에 그쳤으나, 프리스케이팅에서 3위를 기록하며 최종 5위로 대회를 마쳤다.
2017-18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이들은 2017 로스텔레콤 컵과 2017 NHK 트로피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성적을 바탕으로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4위에 머물렀다. 이후 2018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와 201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은메달을 추가했다. 이들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출전이 유력했으나, 2018년 1월 23일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이 스톨보바가 IOC로부터 초청받지 못했다고 발표하면서 올림픽 출전이 좌절되었다. 이들은 이후 2018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도 스톨보바의 오른쪽 발목 인대 파열로 인해 기권했다.
4. 은퇴
2018년 9월 5일, 표도르 클리모프는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을 방문하여 공식적으로 은퇴 서류에 서명하며 선수 경력을 마감했다. 스톨보바와의 페어 파트너십은 2018년 8월 31일 해체되었다.
5. 은퇴 후 경력
선수 경력 은퇴 후, 표도르 클리모프는 피겨스케이팅 코치로 전향했다. 그는 현재 소치에서 드미트리 사빈과 함께 코칭 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현재 및 과거 지도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카리나 아코포바 / 니키타 라크마닌
- 이사벨라 가메즈 / 알렉산드르 코로빈
- 율리아 시체티니나 / 마르크 머자르
- 다리아 다니로바 / 미셸 치바
- 미네르바 파비엔 하제 / 놀란 지거트
- 브룩 매킨토시 / 마르코 잔드론
- 마리아 파블로바 / 발라시 나기
- 마리아 파블로바 / 알렉세이 스비아첸코

6. 프로그램
아래는 표도르 클리모프가 크세니아 스톨보바와 함께 사용했던 쇼트 프로그램, 프리스케이팅, 갈라 프로그램 음악과 구성이다.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스케이팅 | 갈라 |
---|---|---|---|
2017-18 | Tango de Besame | 카르멘 모음곡 | Please Don't Stop the Rain |
2016-17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중 '달빛' | Après la pluie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2015-16 | 아이 풋 어 스펠 온 유 | Man and Shadow (영화 언노운 논 사운드트랙 중) | Hello |
2014-15 | 영화 와호장룡 사운드트랙 중 |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중 | Losing |
2013-14 | Surrender | 영화 아담스 패밀리 사운드트랙 중 | 영화 길 사운드트랙 중 |
2012-13 | 영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사운드트랙 중 | 영화 길 사운드트랙 중 | |
2011-12 | 볼레로 모던 편곡 | 폴로베츠인의 춤 | 영화 길 사운드트랙 중 |
2010-11 | 아스투리아스 | 영화 길 사운드트랙 중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중 '달빛' |
2009-10 | 러시안 판타지 | 오리엔탈 판타지 | Breathe |
7. 주요 대회 기록
표도르 클리모프의 선수 경력 동안 참여한 주요 국제 및 국내 대회에서의 성적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7.1. 크세니아 스톨보바와
국제 대회 | ||||||||||
---|---|---|---|---|---|---|---|---|---|---|
대회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5-16 | 16-17 | 17-18 | |
올림픽 | 2위 | |||||||||
세계 선수권 | 2위 | 4위 | 5위 | 기권 | ||||||
유럽 선수권 | 3위 | 6위 | 2위 | 2위 | 기권 | 4위 | 2위 | |||
그랑프리 파이널 | 2위 | 1위 | 4위 | |||||||
그랑프리 트로피 봉파르 | 7위 | 5위 | 1위 | |||||||
그랑프리 컵 오브 차이나 | 3위 | |||||||||
그랑프리 NHK 트로피 | 기권 | 2위 | ||||||||
그랑프리 로스텔레콤 컵 | 4위 | 4위 | 1위 | 1위 | 기권 | 2위 | ||||
그랑프리 스케이트 아메리카 | 5위 | 3위 | 4위 | |||||||
챌린저 시리즈 핀란디아 트로피 | 3위 | |||||||||
챌린저 시리즈 네펠라 트로피 | 1위 | |||||||||
유니버시아드 | 1위 | |||||||||
바바리안 오픈 | 1위 | |||||||||
쿠페 드 니스 | 2위 | |||||||||
바르샤바 컵 | 1위 | |||||||||
국제 대회: 주니어 | ||||||||||
대회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5-16 | 16-17 | 17-18 | |
주니어 세계 선수권 | 3위 | 2위 |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7위 | 2위 | ||||||||
주니어 그랑프리 오스트리아 | 1위 | |||||||||
주니어 그랑프리 벨라루스 | 7위 | |||||||||
주니어 그랑프리 영국 | 1위 | |||||||||
주니어 그랑프리 미국 | 2위 | |||||||||
국내 대회 | ||||||||||
러시아 선수권 | 6위 | 2위 | 3위 | 1위 | 1위 | 1위 | 2위 | |||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 1위 | 1위 | ||||||||
팀 이벤트 | ||||||||||
올림픽 | 1위 T 1위 P | |||||||||
팀 챌린지 컵 | 2위 T 2위 P |
7.2. 알렉산드라 말라호바와
국내 대회 | |
---|---|
대회 | 2008-09 |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 8위 |
7.3. 남자 싱글
국내 대회 | |
---|---|
대회 | 2006-07 |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 9위 |
8. 세부 결과
아래는 표도르 클리모프가 크세니아 스톨보바와 함께 참여한 각 대회의 쇼트 프로그램 (SP), 프리스케이팅 (FS), 총점 (Total) 등 세부적인 경기 결과를 연대순으로 제시한다.
2017-18 시즌 | ||||
날짜 | 대회 | SP | FS | 총점 |
---|---|---|---|---|
2018년 1월 15일-21일 | 2018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3위 72.05점 | 2위 138.96점 | 2위 211.01점 |
2017년 12월 21일-24일 | 2018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76.32점 | 2위 139.23점 | 2위 215.55점 |
2017년 12월 7일-10일 | 2017-18 ISU 그랑프리 파이널 | 4위 73.15점 | 4위 136.11점 | 4위 209.26점 |
2017년 11월 10일-12일 | 2017 NHK 트로피 | 2위 75.05점 | 2위 147.69점 | 2위 222.74점 |
2017년 10월 20일-22일 | 2017 로스텔레콤 컵 | 2위 71.39점 | 2위 133.04점 | 2위 204.43점 |
2017년 10월 6일-8일 | 2017 핀란디아 트로피 | 2위 70.12점 | 4위 114.66점 | 3위 184.78점 |
2016-17 시즌 | ||||
날짜 | 대회 | SP | FS | 총점 |
2017년 3월 29일 - 4월 2일 | 2017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3위 65.69점 | 3위 141.03점 | 5위 206.72점 |
2017년 1월 25일-29일 | 2017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4위 73.70점 | 4위 142.81점 | 4위 216.51점 |
2016년 12월 20일-26일 | 2017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77.47점 | 1위 142.65점 | 1위 220.12점 |
2015-16 시즌 | ||||
날짜 | 대회 | SP | FS | 총점 |
2016년 4월 22일-24일 | 2016 팀 챌린지 컵 | 2위 130.46점 | 2위 | |
2016년 3월 28일 - 4월 3일 | 2016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5위 73.98점 | 4위 140.50점 | 4위 214.48점 |
2015년 12월 10일-13일 | 2015-16 ISU 그랑프리 파이널 | 1위 74.84점 | 1위 154.60점 | 1위 229.44점 |
2015년 11월 20일-22일 | 2015 로스텔레콤 컵 | 1위 75.45점 | 1위 139.25점 | 1위 214.70점 |
2015년 10월 23일-25일 | 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 | 5위 63.41점 | 2위 125.65점 | 4위 189.06점 |
2015년 10월 1일-3일 | 2015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 | 2위 66.10점 | 2위 124.18점 | 1위 190.28점 |
2014-15 시즌 | ||||
날짜 | 대회 | SP | FS | 총점 |
2015년 1월 26일 - 2월 1일 | 2015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71.38점 | 2위 129.73점 | 2위 201.11점 |
2014년 12월 24일-28일 | 2015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75.72점 | 2위 136.38점 | 1위 212.10점 |
2014년 12월 11일-14일 | 2014-15 ISU 그랑프리 파이널 | 2위 72.33점 | 2위 141.39점 | 2위 213.72점 |
2014년 11월 21일-23일 | 2014 트로피 에릭 봉파르 | 1위 71.20점 | 1위 138.61점 | 1위 209.81점 |
2014년 11월 14일-16일 | 2014 로스텔레콤 컵 | 1위 69.09점 | 1위 142.88점 | 1위 211.97점 |
2013-14 시즌 | ||||
날짜 | 대회 | SP | FS | 총점 |
2014년 3월 24일-30일 |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3위 76.15점 | 2위 139.77점 | 2위 215.92점 |
2014년 2월 6일-22일 |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페어 | 3위 75.21점 | 2위 143.47점 | 2위 218.68점 |
2014년 2월 6일-22일 |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단체전 | 1위 135.09점 | 1위 | |
2014년 1월 15일-19일 | 2014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4위 70.90점 | 1위 137.08점 | 2위 207.98점 |
2013년 12월 24일-27일 | 2014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75.55점 | 2위 138.92점 | 1위 214.47점 |
2013년 12월 11일-15일 | 201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피겨스케이팅 페어 | 1위 70.01점 | 1위 128.86점 | 1위 198.87점 |
2013년 11월 22일-24일 | 2013 로스텔레콤 컵 | 6위 57.20점 | 3위 130.90점 | 4위 188.10점 |
2013년 11월 13일-17일 | 2013 바르샤바 컵 | 1위 64.64점 | 1위 128.27점 | 1위 192.91점 |
2013년 10월 18일-20일 | 2013 스케이트 아메리카 | 3위 64.80점 | 3위 122.55점 | 3위 187.35점 |
2012-13 시즌 | ||||
날짜 | 대회 | SP | FS | 총점 |
2013년 2월 6일-11일 | 2013 바바리안 오픈 | 1위 59.84점 | 1위 123.03점 | 1위 182.87점 |
2013년 1월 23일-27일 | 2013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8위 53.70점 | 6위 113.53점 | 6위 167.23점 |
2012년 12월 25일-28일 | 2013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3위 67.78점 | 3위 127.68점 | 3위 195.46점 |
2012년 11월 15일-18일 | 2012 트로피 에릭 봉파르 | 5위 53.64점 | 3위 113.09점 | 5위 166.73점 |
2012년 11월 2일-4일 | 2012 컵 오브 차이나 | 5위 56.66점 | 3위 115.89점 | 3위 172.55점 |
2012년 10월 24일-28일 | 2012 쿠페 드 니스 | 3위 48.32점 | 1위 106.72점 | 2위 155.04점 |
2011-12 시즌 | ||||
날짜 | 대회 | SP | FS | 총점 |
2012년 1월 23일-29일 | 2012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3위 58.66점 | 3위 113.15점 | 3위 171.81점 |
2011년 12월 25일-29일 | 2012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3위 58.46점 | 2위 123.67점 | 2위 182.13점 |
2011년 11월 24일-27일 | 2011 로스텔레콤 컵 | 4위 51.73점 | 5위 97.93점 | 4위 149.66점 |
2011년 11월 18일-20일 | 2011 트로피 에릭 봉파르 | 7위 48.81점 | 8위 88.25점 | 7위 137.06점 |


2010-11 시즌 | |||||
날짜 | 대회 | 등급 | SP | FS | 총점 |
---|---|---|---|---|---|
2011년 2월 28일 - 3월 6일 | 2011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주니어 | 3위 54.21점 | 2위 105.39점 | 2위 159.60점 |
2011년 2월 2일-4일 | 2011년 러시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주니어 | 1위 62.63점 | 1위 115.33점 | 1위 177.96점 |
2010년 12월 26일-29일 | 2011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시니어 | 5위 61.03점 | 6위 107.05점 | 6위 168.08점 |
2010년 12월 8일-12일 | 2010-11 ISU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주니어 | 2위 49.63점 | 2위 100.91점 | 2위 150.54점 |
2010년 11월 11일-14일 | 2010 스케이트 아메리카 | 시니어 | 5위 53.73점 | 6위 105.76점 | 5위 159.49점 |
2010년 9월 29일 - 10월 3일 | 2010 ISU 주니어 그랑프리 영국 | 주니어 | 1위 54.17점 | 2위 97.47점 | 1위 151.64점 |
2010년 9월 15일-19일 | 2010 ISU 주니어 그랑프리 오스트리아 | 주니어 | 1위 54.30점 | 1위 105.49점 | 1위 159.79점 |
2009-10 시즌 | |||||
날짜 | 대회 | 등급 | SP | FS | 총점 |
2010년 3월 9일-13일 | 2010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주니어 | 3위 54.26점 | 3위 91.09점 | 3위 145.35점 |
2010년 2월 3일-6일 | 2010년 러시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주니어 | 1위 60.04점 | 1위 107.14점 | 1위 167.18점 |
2009년 12월 2일-6일 | 2009-10 ISU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주니어 | 3위 48.90점 | 8위 73.29점 | 7위 122.19점 |
2009년 9월 23일-27일 | 2009 ISU 주니어 그랑프리 벨라루스 | 주니어 | 2위 49.52점 | 8위 74.48점 | 7위 124.00점 |
2009년 9월 2일-6일 | 2009 ISU 주니어 그랑프리 미국 | 주니어 | 2위 47.53점 | 5위 81.97점 | 2위 129.50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