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는 코스타리카에서 태어나 칠레에서 유년기를 보내며 교육받았고, 이후 뉴욕에서 배우이자 피아니스트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1.1. 출생 및 가족
펠리시아 마리아 콘 몬테알레그레는 1922년 2월 6일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어머니 클레멘시아 크리스티나 몬테알레그레 카라소(Clemencia Cristina Montealegre Carazo영어)는 코스타리카인이었고, 아버지 로이 엘우드 콘(Roy Elwood Cohn영어)은 코스타리카에 주재하던 미국의 광업 경영자였다. 펠리시아에게는 낸시 알레산드리(Nancy Alessandri영어)와 매들린 레카로스(Madeline Lecaros영어)라는 두 명의 자매가 있었다. 코스타리카의 초대 부통령이었던 마리아노 몬테알레그레 부스타만테(Mariano Montealegre Bustamante영어)는 그녀의 고조부였다.
1.2. 어린 시절과 교육
펠리시아는 한 살 때 칠레로 이주하여 프랑스 수녀 학교(French School of Nuns영어)에서 교육을 받았다. 1944년 스물한 살의 나이에 뉴욕에 정착하여 칠레의 피아니스트 클라우디오 아라우에게 피아노 레슨을 받았다. 뉴욕에 도착한 후, 그녀는 뉴 스쿨 사회 연구 대학원(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영어)의 드라마틱 워크숍(Dramatic Workshop영어)에서 허버트 버그호프에게 연기 수업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후 그가 새로 설립한 연기 학교인 HB 스튜디오(HB Studio영어)에서 계속 공부했다.
1.3. 종교적 배경 및 개종
몬테알레그레는 가톨릭 신자로 성장했다. 그러나 그녀의 친할아버지는 유대인이었으며, 그녀는 레너드 번스타인과 결혼하기 전에 유대교로 개종했다.
2. 경력
몬테알레그레는 연극과 텔레비전을 넘나들며 배우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며,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통해 극적인 재능을 선보였다.
2.1. 연극 및 브로드웨이 활동
1945년 4월, 몬테알레그레는 프로빈스타운 플레이하우스에서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5년이 지나면(If Five Years Pass영어) 영어 초연에 출연하며 뉴욕 연극 무대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1946년 7월 20일, 그녀는 부스 극장에서 벤 헤크트의 백조의 노래(Swan Song영어)에 순진한 소녀 역으로 출연하며 브로드웨이에 데뷔했다. 1950년에는 브로드웨이에서 에바 가보르와 당시 연인이었던 리처드 하트가 주연한 새뮤얼 A. 테일러의 행복한 시간(The Happy Time영어)에서 리오라 데이나(Leora Dana영어)의 대역을 맡았다.
몬테알레그레의 셰익스피어 연극 출연작으로는 1953년 뉴욕 시티 센터에서 공연된 베니스의 상인의 제시카(Jessica영어) 역과 1956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드라마 페스티벌에서 공연된 헨리 5세의 캐서린(Katharine영어) 역이 있다. 그 외 주요 무대 출연작으로는 1957년 플로리다주 팜비치 플레이하우스에서 공연된 다이얼 M을 돌려라(Dial M for Murder영어)의 마고 웬디스(Margot Wendice영어) 역, 그리고 평생 친구이자 동료였던 마이클 웨이거와 함께 출연한 노스 저지 플레이하우스의 존 반 드루텐의 en|I Am a Camera}})의 샐리 보울스(Sally Bowles영어) 역이 있다.
1967년, 몬테알레그레는 가족 친구인 마이크 니컬스가 연출한 릴리언 헬먼의 en|The Little Foxes}})에서 버디 허버드(Birdie Hubbard영어) 역을 맡으며 브로드웨이 무대에 복귀했다. 1973년에는 베를리오즈의 오페라 en|Les Troyens}})에서 안드로마케(Andromache영어) 역으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데뷔했으며, 이는 뉴욕시에서 이 작품이 처음으로 무대에 오른 것이었다. 몬테알레그레는 1976년 옛 연기 교사 허버트 버그호프가 연출한 연극 en|Poor Murderer}})에 출연하며 마지막 브로드웨이 무대를 장식했다.
{| class="wikitable"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53 || 베니스의 상인 || 제시카 || 뉴욕 시티 센터
|-
| 1967 || en|The Little Foxes}}) || 버디 허버드 || 에델 배리모어 극장, 브로드웨이
|-
| 1976 || en|Poor Murderer}}) || 네 번째 여배우 || 에델 배리모어 극장, 브로드웨이
|}
2.2. 텔레비전 활동
1949년부터 몬테알레그레는 NBC의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Kraft Television Theatre영어), CBS의 스튜디오 원(Studio One (American TV series)영어), CBS의 서스펜스(Suspense영어), NBC의 쉐보레 텔레-시어터(The Chevrolet Tele-Theatre영어), NBC의 필코 텔레비전 플레이하우스(The Philco Television Playhouse영어)]] 등 주간 텔레비전 앤솔로지 드라마에서 주연을 맡았다.
그녀는 1949년 5월 11일 NBC의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에서 메리 바이올렛 헤버든의 히포크라테스의 맹세(The Oath of Hippocrates영어)에서 하이지아(Hygieia영어) 역으로 텔레비전 데뷔를 했다. 1950년에는 헨리크 입센의 인형의 집에서 노라 헬머(Nora Helmer영어) 역을 맡아 주연으로 출연했다. 1949년 5월 25일에는 CBS 텔레비전 네트워크의 스튜디오 원에서 스릴러 낯선 이의 꽃(Flowers from a Stranger영어)에 출연하며 CBS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그녀는 1949년부터 1956년 사이에 11편의 스튜디오 원 텔레플레이에 출연했는데, 여기에는 W. 서머싯 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인간의 굴레(Of Human Bondage영어)]](1949년 11월 21일 방영)에서 필립 케리(Philip Carey영어) 역의 찰턴 헤스턴과 함께 밀드레드(Mildred영어) 역을 맡은 것이 포함된다. 1952년에는 헨리 제임스의 1902년 소설을 원작으로 한 비둘기의 날개(The Wings of the Dove영어)]]에서 다시 찰턴 헤스턴과 공동 주연을 맡았다.
몬테알레그레는 CBS 시리즈 서스펜스(1949~1954)의 네 편의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그녀는 1949년 6월 7일 방영된 "노란 스카프(The Yellow Scarf영어)" 에피소드에 처음 출연하여 가정부 헤티(Hettie영어) 역을 맡았는데, 이 역에서 그녀는 미스터리한 고용주 브론슨 씨(보리스 칼로프 분)와 사회복지사 톰 웨더비(더글러스 왓슨 분)가 연루된 기묘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다른 세 편의 에피소드는 "팁(The Tip영어)"(1950), "죽음의 세이버(Death Sabre영어)"(1951), "유령과의 관계(An Affair with a Ghost영어)"(1954)였다.
{| class="wikitable"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49-1956 ||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lang|en|Kraft Television Theatre}})]] || 다수 || 11개 에피소드
|-
| 1949-1956 || 스튜디오 원(Studio One (American TV series)영어)]] || 다수 || 11개 에피소드
|-
| 1949-1954 || 서스펜스(Suspense영어)]] || 다수 || 4개 에피소드
|-
| rowspan="2" | 1949 || 쉐보레 텔레-시어터(The Chevrolet Tele-Theatre영어)]] || 크리스틴 볼 || 시즌 2, 에피소드 7: "검찰 측 증인(The Witness for the Prosecution영어)]]"
|-
| 실버 시어터(The Silver Theatre영어)]] || || 시즌 1, 에피소드 6: "미지의 환자"
|-
| rowspan="3" | 1950 || 라이츠 아웃(Lights Out영어)]] || || 시즌 2, 에피소드 27: "에메랄드 라발리에"
|-
| 스타라이트 시어터(Starlight Theatre영어)]] || || 시즌 1, 에피소드 20: "잊혀진 멜로디"
|-
| 필코 텔레비전 플레이하우스(The Philco Television Playhouse영어)]] || 다수 || 4개 에피소드
|-
| rowspan="2" | 1951 || 라이츠 아웃(Lights Out영어)]] || 레다 || 시즌 3, 에피소드 29: "레다의 초상화"
|-
| 럭스 비디오 시어터(Lux Video Theatre영어)]] || 비올라 콜 || 시즌 1, 에피소드 15: "보라색 문고리"
|-
| 1952 || 굿이어 시어터(Goodyear Theatre영어)]] || 카를로타 아멜리아 황후 || 시즌 1, 에피소드 10: "그림자의 왕관"
|-
| rowspan="2" | 1953 || 더 웹(The Web영어)]] || || 시즌 3, 에피소드 40: "앙코르"
|-
| 레블론 미러 시어터(The Revlon Mirror Theater영어)]] || || 시즌 1, 에피소드 5: "거대한 라디오"
|-
| rowspan="2" | 1954 || 굿이어 시어터(Goodyear Theatre영어)]] || || 시즌 3, 에피소드 7: "공황의 순간"
|-
| 유 아 데어(You Are There영어)]] || || 시즌 2, 에피소드 35: "라스푸틴의 죽음"
|-
| 1955 || 퍼슨 투 퍼슨(Person to Person영어)]] || 본인 || 시즌 3, 에피소드 4
|-
| 1956 || 카이저 알루미늄 아워(The Kaiser Aluminum Hour영어)]] || 이스메네 || 시즌 1, 에피소드 5: 안티고네(Antigone영어)]]
|-
| 1957 || 옴니버스(Omnibus영어)]] || 본인 || 시즌 6, 에피소드 11: "번스타인: 음악 여행기"
|-
| 1961 || 플레이 오브 더 위크(Play of the Week영어)]] || || 시즌 2, 에피소드 21: "살인의 소리"
|-
| 1966 || 매치 게임(Match Game영어)]] || 본인 || 시즌 5, 에피소드 46
|-
| 1968 || 머브 그리핀 쇼(The Merv Griffin Show영어)]] || 본인 || 시즌 5, 에피소드 94
|-
| 1977 || 카메라 스리(Camera Three영어)]] || 본인 || 시즌 22, 에피소드 29: 파사드(Façade영어)]]
|}
2.3.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1957년, 몬테알레그레는 시러큐스 실내악 친구들(Syracuse Friends of Chamber Music영어) 콘서트에서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신비로운 시를 바탕으로 한 루카스 포스의 죽음의 비유(Parable of Death영어) 내레이터 역으로 클래식 음악 콘서트에서 첫 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녀는 아르튀르 오네게르의 화형당하는 잔다르크에서 잔(Joan영어) 역을 여러 번 연기했는데, 1958년에는 남편 레너드 번스타인이 뉴욕 필하모닉을 지휘하고 레온타인 프라이스가 마가렛(Margaret영어) 역을 맡은 공연도 포함된다. 번스타인은 자신의 교향곡 3번: 카디쉬(Symphony No. 3: Kaddish영어)]]의 내레이션을 몬테알레그레를 염두에 두고 썼으며, 그녀는 1964년 1월 31일 찰스 먼치가 지휘하는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소프라노 제니 투렐과 함께 미국 초연에서 내레이션을 맡았다. 또한 클로드 드뷔시의 성 세바스티안의 순교(Le martyre de Saint Sébastien영어)]] 영어 버전 공연에도 참여했다.
3. 사회 운동 및 활동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는 시민 자유, 반전 평화, 사법 개혁, 인권 증진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진보적 가치 실현에 헌신했다.
3.1. 시민 자유 및 반전 운동

1963년, 몬테알레그레는 뉴욕 시민 자유 연맹(New York Civil Liberties Union영어) 여성 위원회의 초대 의장이 되어 교육 프로그램과 모금 행사에 주력했다. 그녀는 1964년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와의 인터뷰에서 "심지어 지식이 풍부한 사람들조차 헌법과 사람들이 무엇을 위해 싸우는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는 것이 놀랍다"고 말했다.
몬테알레그레는 반전 풀뿌리 캠페인인 '평화를 위한 또 다른 어머니들(Another Mother for Peace영어)'을 지지했다. 1967년 어머니의 날에 시작된 이 캠페인은 자원봉사자들이 린든 B. 존슨 대통령과 의회 의원들에게 "전쟁은 어린이와 다른 생명체에게 건강하지 않습니다. 평화를 이야기합시다(War is not healthy for children and other living things. Talk peace.영어)"라는 메시지가 담긴 엽서를 보냈다. 2년 후, 그녀는 워싱턴 D.C.에서 열린 반전 시위에서 체포된 100명 중 한 명이었다.
3.2. '래디컬 시크' 논란과 흑표당 지원
1970년 1월 14일, 몬테알레그레는 번스타인 부부의 파크 애비뉴 아파트에서 '팬서 21(Panther 21영어)'을 지원하기 위한 모금 행사를 주최했다. '팬서 21'은 흑표당(Black Panther Party영어)의 일원들로, 9개월 동안 재판 날짜도 정해지지 않은 채 수감되어 있었고 법률 비용과 가족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감당할 재정적 자원이 없었다. 다음 날 샬럿 커티스는 뉴욕 타임스에 이 행사를 보도했고, 6월에는 몬테알레그레가 톰 울프의 뉴욕 잡지 표지 기사 "래디컬 시크: 레니의 파티(Radical Chic: That Party at Lenny's영어)"의 주요 초점이 되었다. 이 기사는 '래디컬 시크'라는 용어를 대중화시켰다. 몬테알레그레는 뉴욕 타임스에 보낸 편지에서 "이 사건이 '유행하는' 행사로 보도된 경박한 방식은... 정의의 인도주의적 원칙에 헌신하는 모든 사람에게 모욕적이다"라고 비난했다. 이 사건 이후 번스타인 부부의 자택은 유대인 방위 연맹 시위대에 의해 피켓 시위의 대상이 되었고, 가족은 증오 메일을 받았다. 수년 후, 레너드 번스타인의 FBI 파일은 FBI가 편지를 조작하고 시위를 선동하기 위해 요원들을 배치했음이 드러났다.
3.3. 사법 개혁 및 인권 활동
몬테알레그레는 시민 가석방 및 형사사법 조사 위원회(Citizens' Inquiry on Parole and Criminal Justice, Inc.영어)의 부의장으로서 코레타 스콧 킹, 빅터 마레로, 램지 클라크 등과 협력하여 1974년 3월 뉴욕주 가석방 시스템에 대한 보고서를 공동 저술했다. 이 보고서는 뉴욕주 가석방 위원회의 이론과 관행을 비판하며 대안이 발견될 경우 기관의 폐지를 권고했다. 그녀는 이 보고서의 목표가 "대중을 각성시키고 수감자들에게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 알려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몬테알레그레는 1970년대 칠레의 정치적 불안 시기 동안 국제앰네스티를 위해 막후에서 활동했다. 레너드 번스타인은 고인이 된 아내를 기리기 위해 국제앰네스티 미국 지부의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 번스타인 기금'을 설립했다. 이 기금은 이러한 종류로는 최초의 것으로, 인권 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조직적 지원과 기술 자원을 제공했다.
4. 개인사
몬테알레그레는 레너드 번스타인과의 복합적인 결혼 생활과 세 자녀를 두었으며, 패션과 예술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다채로운 삶을 살았다.
4.1. 레너드 번스타인과의 관계

몬테알레그레는 1946년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주최한 파티에서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레너드 번스타인을 만났다. 첫 번째 약혼이 파기된 후, 그녀는 배우 리처드 하트와 관계를 맺었으나 하트가 1951년 1월 2일 사망하면서 관계가 끝났다. 그녀와 번스타인은 1951년 9월 9일에 결혼하여 제이미(Jamie영어), 알렉산더(Alexander영어), 니나(Nina영어) 세 자녀를 두었다.
번스타인 부부는 정기적으로 파티를 열고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했다. 가족 친구이자 사진작가인 존 조나스 그루엔은 "항상 음식과 관대함, 즐거움, 단어 게임과 퍼즐이 있었다... 그 시절 우리 삶에 특별한 멋을 더해주었다"고 회상했다. 몬테알레그레는 마르크 블리츠스타인, 릴리언 헬먼, 제니 투렐, 리처드 애버던, 마사 겔혼, 스티븐 손드하임, 신시아 오닐(Cynthia O'Neal영어), 마이클 웨이거 등 많은 예술가 및 지식인들과 긴밀한 우정을 유지하며 정기적으로 서신을 교환했다.
번스타인의 동성애 성향은 결혼 생활 내내 두드러졌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공동 작업자는 번스타인을 "동성애자"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번스타인이 자신의 사생활에 대한 소문을 잠재우고 주요 음악 지휘자로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결혼을 결심했다고 보기도 하는데, 이는 그의 멘토였던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의 조언을 따른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펠리시아는 번스타인의 성적 지향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그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2013년 출판된 레너드 번스타인 서한집(The Leonard Bernstein Letters영어)]]에서 발견된 번스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녀는 "나는 당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썼으며, 그들의 결혼 생활이 감정이 아닌 상호 존중과 용서에 기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펠리시아와 번스타인은 처음에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으며, 서로 사랑하지 않았다는 증거는 없었다. 그러나 번스타인이 젊은 남성들과 외도를 하는 일이 잦아졌고, 이러한 일들이 펠리시아에게 알려졌다. 번스타인의 친구인 셜리 로즈 펄(Shirley Rhoades Perle영어)은 번스타인이 "성적으로는 남자들을, 감정적으로는 여자들을 원했다"고 말한 적이 있다. 1976년, 번스타인이 자신의 동성애 성향을 더 이상 숨길 수 없다고 판단하여 음악학자 톰 코스란(Tom Cothran영어)을 위해 그녀를 떠나면서 결혼 생활에 문제가 생겼다. 그러나 1977년 펠리시아가 폐암 진단을 받자 번스타인은 다시 아내에게 돌아와 그녀를 돌보았다.
4.2. 자녀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와 레너드 번스타인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있다.
- 제이미 번스타인 (1952년 9월 8일 출생): 배우, 감독, 각본가로 성장했다.
- 알렉산더 번스타인 (1955년 7월 7일 출생): 배우이자 음악 코디네이터로 활동했다.
- 니나 번스타인 (1962년 2월 28일 출생)
4.3. 개인적인 관심사와 스타일
몬테알레그레는 패션 아이콘으로, 종종 공개 행사에서 새로운 디자이너 의상을 처음 선보였다. 그녀는 뉴욕 필하모닉 정기 연주회를 패셔너블한 행사로 만들었으며, 이는 새로운 관객들이 클래식 음악에 관심을 갖도록 영감을 주었다. 1958년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녀는 "유행이 진지해질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밍크 코트를 뽐내기 위해 참석했다가 음악을 즐기게 되고 필하모닉에 헌신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녀의 옷차림은 언론에 자주 보도되었고, 그녀의 완벽한 취향은 주목받았다. 몬테알레그레는 전문 인테리어 디자이너이자 친구인 게일 제이콥스(Gail Jacobs영어)와 함께 번스타인 가족의 모든 집 인테리어를 디자인했다.
몬테알레그레는 1964년 전문 미용사 길드에 의해 아일린 포드, 앤 클라인, 데비 레이놀즈와 같은 유명한 여성들과 함께 "1964년 최고의 헤어스타일 여성 1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그녀는 또한 친구와 가족의 머리를 직접 잘라주기도 했다. 피아니스트 글렌 굴드를 처음 만났을 때, 그녀는 즉시 그가 이발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번스타인은 "내가 알기도 전에, 펠리시아는 '한 잔 마셔'라고 말하기도 전에 그를 화장실로 데려가 머리를 감기고 잘라주었고, 그는 천사처럼 보이는 모습으로 화장실에서 나왔다"고 회상했다.
여가 시간에 몬테알레그레는 그림을 그렸으며, 전후 예술가인 대니얼 슈워츠(Daniel Schwartz영어)와 존 그루엔의 아내인 제인 윌슨에게서 배웠다.
5. 사망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는 1978년 6월 16일 뉴욕주 이스트햄프턴에서 56세의 나이로 유방암이 폐로 전이되어 사망했다. 남편 레너드 번스타인은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곁에서 그녀를 돌보았다.
6. 유산 및 평가
몬테알레그레의 삶과 활동은 여러 방면에서 재조명되고 있으며, 특히 그녀의 사회 운동에 대한 헌신은 사후에도 계속해서 기념되고 있다.
6.1. 대중문화에서의 재조명
몬테알레그레는 톰 울프의 1970년 에세이 "래디컬 시크: 레니의 파티"에서 중요한 비중으로 다루어졌다. 그녀는 브래들리 쿠퍼 감독의 2023년 드라마 영화 마에스트로에서 캐리 멀리건에 의해 연기되었으며, 이 영화는 번스타인(쿠퍼 분)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멀리건은 이 역할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6.2. 기념 및 영향
레너드 번스타인은 고인이 된 아내를 추모하며 국제앰네스티 미국 지부에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 번스타인 기금'을 설립했다. 이 기금은 이러한 종류로는 최초의 것으로, 인권 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조직적 지원과 기술 자원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