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판 놀리의 초기 생애는 오스만 제국에서의 출생과 어린 시절 교육, 그리고 지중해 분지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해외 활동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의 다국어 능력과 민족주의 의식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판 놀리는 1882년 1월 6일, 오스만 제국 아드리아노플 빌라예트의 트라키아 지방에 위치한 작은 마을인 이브리크테페(현 튀르키예)에서 태어났다. 이 마을은 원래 콜로냐 주 퀴테자 출신의 알바니아인들이 정착한 곳으로, 당시 현지인들에게는 퀴테자로 알려져 있었다. 그의 본명은 테오파니스 스틸리아노스 마브로마티스(Theofanis Stylianos Mavromatis현대 그리스어 (1453년 이후))였다.
그는 동방 정교회 신자였던 알바니아인 가문 출신이다. 놀리의 조상들은 오늘날의 남부 알바니아에서 지역 분쟁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한 트라키아 지역으로 이주하여 재정착한 기독교 알바니아인 정착민들의 후손이었다. 일부 그리스 연구에 따르면 아드리아노플 현에는 15,000명에서 25,000명의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정교회 공동체가 존재했으며, 알바니아 이민자들의 유입은 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 트라키아에서 전쟁과 파괴로 인해 발생한 공백 때문이었다고 한다. 또한 콜로냐 마을에서 대규모 이주가 트라키아 방향으로 이루어졌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놀리는 어린 시절 그리스계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젊은 시절 그는 지중해 분지를 두루 여행하며 그리스의 아테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러시아의 오데사 등지에서 배우이자 번역가로 활동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모국어인 알바니아어 외에도 그리스어, 영어, 프랑스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등 여러 언어를 구사했다.
아테네에서 교사가 되기 위해 공부했으며, 그곳에서 테오파니스 마브로마티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후 1903년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그리스계 학교에서 교사로 일했으며, 이때까지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 그러나 이집트의 알바니아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교사 및 극단원 활동을 통해 알바니아 민족주의 프로그램에 동참하게 되었다.
1.2. 해외 활동 및 언어 습득
놀리는 지중해 연안 지역을 여행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에 노출되었고, 이는 그의 다국어 능력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배우와 번역가로서의 경험을 통해 여러 언어를 실용적으로 익혔으며, 이는 훗날 그의 학문적, 외교적 활동에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
1.3. 미국 이주 및 초기 활동
알바니아 해외 동포 운동과의 접촉을 통해 조국의 민족주의 운동에 열렬한 지지자가 된 놀리는 1906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는 처음에는 뉴욕주 버펄로의 제재소에서 일했고, 이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으로 옮겨 통조림 라벨을 찍는 기계 조작원으로 일했다. 당시 청년 튀르크당은 외부 세력의 도움을 받아 정치 활동을 하는 판 놀리와 같은 알바니아 지도자들에게 적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2. 종교 활동 및 알바니아 정교회 설립
판 놀리는 독립적인 알바니아 정교회 설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종교 지도자로서 알바니아 민족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다.
2.1. 허드슨 사건과 교회 설립의 배경
보스턴으로 이주한 초기 동방 정교회 신자 알바니아인들은 그리스 정교회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그리스 정교회 지도부는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에 맹렬히 반대했다. 1908년, 매사추세츠주 허드슨 출신의 젊은 공장 노동자 크리스타크 디슈니카가 인플루엔자로 사망했을 때, 그리스 정교회는 그가 알바니아인임을 자처하는 정교회 신자라는 이유로 자동적으로 파문당했다고 주장하며 장례를 거부했다. 이 사건은 "허드슨 사건"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독립적인 알바니아 정교회 설립을 위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은 독립적인 알바니아 정교회 기독교 의식의 확립에 중요한 순간이었다.
2.2. 성직자 서품과 교회 조직
허드슨 사건을 계기로 판 놀리와 뉴잉글랜드의 알바니아인 이민자들은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알바니아 정교회 설립의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놀리는 이 새로운 교회의 첫 성직자가 되었으며, 1908년 미국 러시아 정교회의 플라톤 대주교(로즈데스트벤스키)에 의해 사제로 서품되었다.
놀리는 알바니아 정교회의 자율성에 대한 총대주교의 인정을 얻고, 정교회 전례를 원본 그리스어 텍스트에서 토스크 알바니아어로 완전히 번역함으로써, 알바니아 정교회 내 반동주의자들이 조장하는 그리스 민족통일주의의 이념적 기반을 평화적으로 무력화하고 해체하며, 세속 공화국에서 그리스 이웃과 공존할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의 권리를 옹호하고자 했다. 그는 알바니아의 애국적 단결과 종교와 국가의 분리를 강력히 지지했으며, 나아가 성직은 알바니아어에 능통하고 알바니아 시민권을 가진 성직자가 맡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1922년 베라트 의회가 소집되어 알바니아 정교회의 공식적인 토대를 마련했으며, 이 의회에서 판 놀리는 코르처의 주교이자 알바니아 전체의 수석주교로 성성되었다. 교회의 설립은 알바니아의 국가적 단결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게 여겨졌다.
2.3. 신학 저술 및 번역
판 놀리는 종교 문헌에 대한 학술적 기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정교회 전례문을 원본 그리스어에서 알바니아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주도하여, 알바니아어를 교회 예배에 사용되는 언어로 격상시켰다. 또한 1961년에는 콘스탄티노플 교회와 그리스 교회의 승인된 그리스어 원문에서 발췌한 우리 주님이자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의 신약성경이라는 제목으로 신약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하는 등 성서 번역에도 힘썼다. 이러한 번역 활동은 알바니아 민족 정체성 강화와 그리스 민족통일주의의 영향력 약화에 기여했다.
3. 문학 및 학술 활동

판 놀리는 작가, 학자, 번역가, 작곡가로서 다방면에 걸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3.1. 알바니아어 및 영어 저술
놀리는 알바니아어와 영어로 다양한 오리지널 문학 작품, 역사 연구, 비평 등 학술 저작을 발표했다. 그는 특히 스칸데르베그, 윌리엄 셰익스피어,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대한 일련의 출판물을 저술한 학자이자 작가로 활동했다. 그의 저술 활동은 알바니아 문학 발전뿐만 아니라 서구 학계에도 기여했다.
3.2. 세계 문학 번역
놀리는 세계 문학의 주요 작품들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하는 데 큰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알바니아 독자들이 세계 문학을 접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 이러한 번역 활동은 알바니아어의 문학적 위상을 높이고, 알바니아 민족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3. 학위 취득 및 연구 활동
놀리는 학업에 대한 열정으로 여러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1908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12년 문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38년에는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학위를 받았고, 최종적으로 1945년 보스턴 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알바니아의 민족 영웅인 스칸데르베그에 관한 것이었다. 동시에 그는 보스턴 대학교 음악학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전기를 출판하기도 했다.
3.4. 음악 활동
학문적 활동 외에도 놀리는 음악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학업을 마쳤으며, 이후 비잔틴 음악을 연구하고 가르쳤다. 1947년에는 스칸데르베그를 주제로 한 단일 악장 교향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그의 음악 관련 활동은 그의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준다.
4. 정치 경력 및 6월 혁명
판 놀리는 알바니아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924년 6월 혁명을 이끌고 총리직을 수행했다.
4.1. 디아스포라 활동과 외교적 노력
1912년 4월, 판 놀리와 파이크 코니차는 미국 알바니아인 디아스포라 조직인 바트라(Vatra, "화로"라는 뜻)를 공동으로 설립하여 오스만 제국 내 알바니아의 사회정치적 자결권을 옹호했다. 놀리는 알바니아 독립을 촉진하기 위해 유럽으로 돌아갔고, 1913년에 처음으로 알바니아 땅을 밟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으로 돌아와 바트라 조직의 수장을 맡으며 사실상 알바니아 디아스포라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의 미국과 제네바에서의 외교적 노력은 우드로 윌슨 대통령으로부터 독립 알바니아에 대한 지지를 얻어냈고, 1920년에는 신생 국제 연맹에 알바니아의 회원국 자격을 획득하게 했다. 알바니아는 이미 1912년에 독립을 선언했지만, 국제 연맹 회원국 자격은 그동안 얻지 못했던 국제적 인정을 부여했다.
4.2. 알바니아 정치 참여
1921년, 놀리는 알바니아 의회에 진출하여 친영국 성향의 자유주의 "인민당"(Partia e Popullit알바니아어)의 대표가 되었다. 당시 알바니아의 주요 정당으로는 메흐디 프라셰리가 설립하고 아흐메트 조구가 이끄는 친이탈리아 성향의 보수주의 "진보당"(Partia Përparimtare알바니아어)과 크사페르 이피의 "대중당"(Partia Popullore알바니아어)이 있었다. 조구의 보수주의 세력이 정치적 주도권을 잡고 있었다.
놀리는 크사페르 이피 정부에서 잠시 외교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 시기는 국내에서 자유주의자들과 보수주의자들 사이에 극심한 혼란이 지속되던 때였다. 조구에 대한 암살 시도가 실패한 후, 보수주의자들은 또 다른 인기 있는 자유주의 정치인 아브니 루스테미를 암살하며 보복했다.
4.3. 6월 혁명과 총리직 수행
루스테미의 장례식에서 놀리의 연설은 매우 강력하여, 자유주의 지지자들이 조구에 대항하여 봉기했고, 조구는 1924년 3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도피할 수밖에 없었다. 조구의 뒤를 이어 그의 장인인 셰프케트 베를라치와 자유주의 정치인 일리아즈 브리오니가 잠시 정권을 잡았다. 놀리는 1924년 6월 16일에 총리 겸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20개항 프로그램"을 통해 국가 개혁을 시도했으나, 이 프로그램은 인기가 없었다.
4.4. 몰락과 망명
놀리 정부는 그해 크리스마스 이브에 조구에게 충성하는 세력에 의해 전복되었다. 2주 후 조구는 알바니아로 돌아왔고, 놀리는 사형 선고를 받고 이탈리아로 망명했다.
5. 망명 생활과 말년

망명 이후 판 놀리는 학자 및 종교 지도자로서의 활동을 이어갔으며, 최종적으로 미국에 영구 정착하여 말년을 보냈다.
5.1. 망명 중 활동
조구는 자신의 취약한 위치를 인식하고 권력 강화를 위해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 겨울이 끝날 무렵, 주요 반대파 지도자 두 명인 바이라암 쿠리와 루이치 구라쿠치는 암살당했고, 다른 이들은 투옥되었다.
놀리는 빈에서 "국가 혁명 위원회"(Komiteti Nacional Revolucionar알바니아어), 즉 코나레(KONARE)를 설립했다. 이 위원회는 "국가 자유"(Liria Kombëtare알바니아어)라는 정기 간행물을 발행했다. 할림 크셀로나 리자 체로바와 같은 초기 알바니아 공산주의자 일부는 이곳에서 출판 활동을 시작했다. 이 위원회는 조구와 그의 세력을 전복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원회의 알바니아 내 접근과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구 공산주의자이자 코나레 회원이었던 코스타 보슈냐쿠의 중재로, 코나레는 코민테른으로부터 무조건적인 재정 지원을 받게 되었다. 또한 놀리와 보슈냐쿠는 조구에 의해 불법화된 코소보 민족 방위 위원회의 망명 회원들도 동일한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왔다.
1928년, 코나레는 "국가 해방 위원회"(Komiteti i Çlirimit Kombëtar알바니아어)로 이름을 변경했다. 한편 알바니아에서는 3년간의 공화정 체제 이후 "국가 평의회"가 알바니아를 입헌 군주국으로 선포하고 아흐메트 조구가 국왕이 되었다.
5.2. 미국에서의 학문 및 종교 활동
놀리는 1932년 미국으로 돌아와 자신을 "조그 1세" 국왕으로 선포한 조구에 대한 공화주의적 반대 운동을 형성했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학업을 계속하며 비잔틴 음악을 연구하고 가르쳤으며, 자신이 설립을 도왔던 자율적인 알바니아 정교회를 계속 발전시키고 홍보했다.
1945년, 판 S. 놀리는 보스턴 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으며, 스칸데르베그에 대한 논문을 썼다. 동시에 그는 보스턴 대학교 음악학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전기를 출판하기도 했다. 또한 1947년에는 스칸데르베그라는 제목의 단일 악장 교향곡을 작곡했다. 생애 말년에 놀리는 플로리다주 포트로더데일로 은퇴하여 1965년에 사망했다. 그는 보스턴 자메이카 플레인 남부에 위치한 포레스트 힐스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놀리가 설립한 미국 알바니아 정교회 대교구는 오늘날 미국 정교회에 합류하여 미국 정교회 알바니아 대교구로 존재하며, 티혼 몰라르드 대주교가 이끌고 있다. 최근까지 보스턴의 니콘 대주교와 아서 E. 리올린 신부의 감독을 받았던 이 대교구는 현재 임시 총장 이구멘 니코딤 프레스턴이 이끌고 있다. 이 대교구는 주로 미국 북동부와 미국 중서부의 도시 중심지에 위치한 11개의 도시 및 교외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놀리가 알바니아에서 봉사했던 알바니아 정교회 자율교회는 알바니아 수도 티라나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아나스타시오스 알바니아 대주교가 주재하고, 세계 교회 협의회의 회원이다. 또한 미국 그리스 정교회 대교구는 보스턴과 시카고에 두 개의 알바니아 정교회 교구를 관리하고 있다. 오늘날 모든 알바니아 정교회 교구는 서로 그리고 더 넓은 전 세계 정교회 공동체와 완전한 교제를 이루고 있으며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완전히 인정받고 있다.
5.3. 전후 관계 및 FBI 조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놀리는 1944년에 집권한 엔베르 호자의 공산주의 정부와 일부 관계를 맺었다. 그는 미국 정부에 이 정권을 인정해 줄 것을 촉구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호자의 모든 종교에 대한 박해가 심화되면서 놀리의 교회는 알바니아 내 정교회 위계와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호자 정권의 반성직자주의 성향에도 불구하고, 놀리의 열렬한 알바니아 민족주의는 그를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주목을 받게 했다. FBI 보스턴 지부는 10년 이상 놀리를 조사했지만, 최종적인 결론은 없었다.
6. 유산과 평가

판 놀리는 알바니아 언어, 문화, 정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고 평가받고 있다.
6.1. 알바니아어와 문화에 대한 기여
놀리는 알바니아어의 표준화와 민족 문화 진흥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문학적, 학술적 업적은 알바니아어의 위상을 높이고, 알바니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세계 문학의 걸작들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알바니아 독자들이 다양한 문학 작품을 접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는 알바니아 민족 문화의 풍요로움을 더했다. 그는 알바니아의 국어로서 알바니아어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6.2. 역사적 및 대중적 평가
알바니아의 지도자 엔베르 호자는 놀리 사망 이틀 후 그의 일기에서 놀리의 업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호자는 놀리가 "이번 세기 초의 저명한 정치 및 문학 인물 중 한 명"이며 "그의 삶의 균형은 긍정적이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놀리가 "문학 번역가이자 음악 평론가로서 마땅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했으며, "알바니아어의 저명한 선구자"라고 칭했다. 특히 그의 독창적인 작품과 번역물, 특히 셰익스피어, 오마르 하이얌, 비센테 블라스코 이바녜스의 작품들은 "불멸적"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그의 반조구주의적, 반봉건적 비가와 시들은 알바니아 청년들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언급했다. 호자는 놀리를 "현실적인 정치인, 이념과 정치에서 혁명적 민주주의자"로 존경받았다고 덧붙이며, 알바니아 노동당이 놀리의 인물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호자는 놀리의 시신을 알바니아로 모셔오는 것이 "애국적인 의무"라고 생각하며, "이 저명한 인민의 아들, 혁명적 애국자"가 평생 사랑하고 싸웠던 조국에서 안식할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6.3. 기념물 및 매체 묘사
판 놀리는 알바니아에서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기념되고 있다. 1996년에 발행된 알바니아 100 ALL 지폐 앞면에는 그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이 지폐는 2008년 동전으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그의 생애와 업적은 알바니아의 역사와 문화에 깊이 각인되어 있으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묘사되고 기억되고 있다.
7. 작품
판 놀리는 시인으로서도 여러 작품을 남겼다.
7.1. 시
- 힘니 이 플라무리트(Hymni i Flamurit알바니아어)
- 톰소니 드헤 쿠체드라(Thomsoni dhe Kuçedra알바니아어)
- 예프니 퍼 넨언(Jepni për Nënën알바니아어)
- 모이시우 너 말(Moisiu në mal알바니아어)
- 마르시 이 크리슈티트(Marshi i Krishtit알바니아어)
- 크리슈티 메 캄치쿤(Krishti me kamçikun알바니아어)
- 션 프예트린 너 망갈(Shën Pjetrin në Mangall알바니아어)
- 마르시 이 바라바이트(Marshi i Barabbajt알바니아어)
- 마르시 이 크리체스밋(Marshi i Kryqësmit알바니아어)
- 키레나리(Kirenari알바니아어)
- 크리체스미(Kryqësmi알바니아어)
- 컹가 에 살레프-술타니트(Kënga e Salep-Sulltanit알바니아어)
- 쉬르치인-브데쿠르(Syrgjyn-vdekur알바니아어)
- 쉬펠' 에 드라고비서(Shpell' e Dragobisë알바니아어)
- 렌트, 오르 마라토노마크!(Rent, or Marathonomak!알바니아어)
- 아너스 루메이브(Anës lumejve)
- 플라크, 토팔 드헤 아시크(Plak, topall dhe ashik알바니아어)
- 소포클리우(Sofokliu알바니아어)
- 탈랴 퍼파라 크리치트(Tallja përpara Kryqit알바니아어)
- 술타니 드헤 카비네티(Sulltani dhe kabineti알바니아어)
- 사가 에 세르마예서(Saga e Sermajesë알바니아어)
- 리드제 에 파치크퍼푸투르(Lidhje e paçkëputur알바니아어)
- 체펠리티아(Çepelitja알바니아어)
- 브데크야 에 술타니트(Vdekja e Sulltanit알바니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