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iography
클라우스 루드비히는 그의 개인적인 배경과 초기 레이싱 경력의 시작을 보여주며, 그가 레이싱계에서 얻은 다양한 별명과 명성을 다룹니다.
1.1. Early life and personal background
클라우스 카를 루드비히는 1949년 10월 5일 서독 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들인 루카 루드비히 또한 레이싱 드라이버로 활동하고 있다.
1.2. Nicknames and reputation
루드비히는 투어링카 및 스포츠카 레이싱에서의 뛰어난 성공으로 인해 '쾨니히 루드비히'(König Ludwig독일어, 루드비히 왕)라는 별명을 얻었다. 또한, 독일 모터스포츠 전반에서의 그의 지배적인 활약으로 '카이저'(Kaiser독일어, 황제)라고도 불렸다. 특히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에서의 수많은 승리와 깊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노르트슐라이페의 왕'(King of the Nordschleife영어)이라는 명예로운 칭호를 얻었으며, 실제로 그는 이 지역에 사냥터를 소유하기도 했다. 그는 독일에서 가장 성공적인 투어링카 드라이버로 평가받고 있다. 한스-요아힘 슈투크, 롤프 슈토멜렌, 하랄트 에르틀, 한스 하이어, 요헨 마스와 같은 동시대의 다른 드라이버들과는 달리, 루드비히는 포뮬러 원 경주에 한 번도 출전한 적이 없다.
2. Racing Career
클라우스 루드비히의 주요 레이싱 경력은 초기 성공부터 챔피언십 지배, 그리고 은퇴와 복귀에 이르는 다양한 시기를 상세히 보여줍니다.
2.1. Early career and DRM success (1970s-1981)


1970년대에 클라우스 루드비히는 포드 소속으로 도이체 렌슈포르트 마이스터샤프트(DRM)에 출전했다. 그는 1975년과 1976년 DRM에서 2위를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1979년에는 크레머 레이싱의 포르쉐 935를 몰고 DRM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그는 15년 된 포르쉐 911 로드카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포르쉐 935 K3를 타고 습한 조건에서 열린 1979년 르망 24시에서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당시 더 빠른 순수 스포츠카 레이싱 프로토타입 차량들을 상대로 거둔 전례 없는 승리였다 (이 기록은 1995년 맥라렌 F1 GTR이 첫 출전 만에 우승하면서 다시금 재현되었다). 1981년에는 자크스피드의 포드 카프리 터보를 몰고 다시 한번 DRM 챔피언에 올랐다.
2.2. Le Mans and transition to touring cars (1982-1987)

1984년과 1985년, 루드비히는 조이스트 레이싱의 7번 포르쉐 956을 타고 르망 24시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그러나 만프레드 빈켈호크와 스테판 벨로프의 사망 사고 이후 르망과 스포츠카 레이싱이 너무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그는 투어링카 레이싱으로 전환했다. 그는 특히 길고 빠른 직선 구간을 포함한 레이스의 위험성을 비판했다.
1987년에는 월드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포드 소속으로 출전했으나, 시즌 후 BMW 드라이버 로베르토 라발리아에게 단 1점 차이로 챔피언십을 내주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는 호주 배서스트 1000에서의 사후 실격 때문이었는데, 루드비히와 동료 드라이버 클라우스 니츠비츠는 팀 동료인 스티브 소퍼와 피에르 디외도네에 이어 2위를 차지했으나, 그들의 포드 시에라 RS500 차량의 불법적인 휠 아치 크기 문제로 인해 두 차량 모두 실격 처리되었다. 1986년에는 국제 챔피언십 레이스에서 IMSA를 대표하여 8위를 기록했다.
2.3. DTM and FIA GT dominance (1988-1998)


이후 루드비히는 도이체 투어링카 마이스터샤프트(DTM)로 옮겨 활약했다. 1988년에는 포드 시에라 RS500을 몰고 DTM 챔피언에 올랐다. 1989년에는 메르세데스-벤츠의 AMG 모토렌바우 GmbH로 이적했다. 같은 해 뉘르부르크링에서 아르민 하네와의 정면 충돌로 심각한 사고를 겪었고, 이로 인해 팔 골절이라는 큰 부상을 입었다. 이 사고는 그의 경력 중 가장 심각한 부상이었으며, 수년 동안 DTM 역사상 가장 심각한 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부상에서 회복한 루드비히는 1992년과 1994년에 메르세데스 소속으로 다시 DTM 챔피언십을 차지하며 뛰어난 회복력과 기량을 보여주었다. DTM과 ITC를 거쳐, 1997년에는 메르세데스-AMG와 함께 스포츠카 레이싱인 FIA GT 챔피언십으로 복귀했다. 1998년에는 1998년 FIA GT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는 이 시리즈가 1999년 시즌에 계속되지 않자 29년간의 프로 레이싱 드라이버 경력을 마무리하고 은퇴를 선언했다.
2.4. Retirement and comebacks (1999-2012)
1998년 첫 은퇴 후, 클라우스 루드비히는 1999년 6월 뉘르부르크링 24시 레이스에 복귀하여 자크스피드의 크라이슬러 바이퍼 GTS-R을 몰고 노르트슐라이페에서 세 번째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그가 전설적인 레이스 트랙인 노르트슐라이페에서의 그의 기량과 '노르트슐라이페의 왕'이라는 별명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DTM이 2000년에 '신 DTM'으로 재개되자, 그는 50세의 나이로 이 시리즈에 복귀했다. 작센링 서킷에서 두 번의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최고령 DTM 레이스 우승자가 되었고, 시즌 종합 3위로 마무리한 후 다시 한번 프로 경력에서 은퇴했다. 그러나 그는 DTM과 메르세데스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이른바 '택시 드라이버'(taxi driver영어, 프로모션 또는 시범 운전자)로서 활동을 이어갔다.
루드비히는 이후 '취미 드라이버'(hobby pilot영어)로서 고출력 차량을 운전할 기회가 생길 때마다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에 돌아왔다. 2004년, 2005년, 2006년에는 위베 알젠과 함께 위르겐 알젠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뉘르부르크링 24시 레이스에 출전했다. 2004년과 2005년에는 포르쉐 996 GT2 바이 터보를, 2006년에는 자연 흡기 포르쉐 997 GT3를 운전했다. 2006년 레이스에서 루드비히와 크리스티안 아프트는 기존의 최장 거리 기록을 경신했으나, 우승팀에 1랩 뒤진 2위를 차지했다. 2007년에는 애스턴 마틴 DBRS9를 타고 뉘르부르크링 24시 레이스에 참가하기도 했다.
그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독일 공영 방송인 ARD에서 DTM 레이스의 TV 해설자로도 활동했다. 공식적으로는 60세에 레이싱에서 은퇴를 발표했지만, 2011년 포르쉐 997로 뉘르부르크링 24시 레이스에 참가한 후, 2012년에 다시 한번 레이스에 등록했다. 2012년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는 닉 하이트펠트와 함께 겜발라-맥라렌 MP4-12C GT3를 타고 출전했다. 이 레이스에서 그는 '슈베덴크로이츠'(Schwedenkreuz독일어) 구간 직전에서 느린 차량을 추월하려다 심각한 사고를 겪었다. 드라이버는 다치지 않았지만, 서로 다른 차량 클래스가 혼재된 레이스에서 루드비히가 '존재하지 않는 간격'으로 추월을 시도하며 중대한 사고를 유발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불거졌다. 이 사고는 다양한 클래스 차량 간의 배려와 상호 존중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독일 모터스포츠 협회(DMSB)는 이 사건에 대해 '스포츠 법적 조사'를 시작했으며, 루드비히 차량의 공동 드라이버인 클라우스 바이그너는 1.00 만 EUR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이 사고로 인해 루드비히는 최종적으로 레이싱 경력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3. Major Achievements and Awards
클라우스 루드비히는 다양한 레이싱 카테고리에서 수많은 챔피언십과 우승을 거두었으며, 개인적인 영예도 안았습니다.
3.1. Major Championships and Wins
- 르망 24시 우승: 1979년, 1984년, 1985년
- 뉘르부르크링 24시 우승: 1982년, 1987년, 1999년
- 도이체 렌슈포르트 마이스터샤프트(DRM) 챔피언: 1979년, 1981년
- 도이체 투어링카 마이스터샤프트(DTM) 챔피언: 1988년, 1992년, 1994년
- FIA GT 챔피언십 월드 챔피언: 1998년
3.2. Individual Awards
- 1988년 ADAC 모터스포츠 올해의 선수상
4. Complete Racing Results
클라우스 루드비히가 참가한 주요 레이싱 대회의 상세 결과 데이터입니다.
4.1. European Formula Two Championship
연도 | 참가팀 | 차체 | 엔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순위 | 점수 |
---|---|---|---|---|---|---|---|---|---|---|---|---|---|---|---|---|---|---|
1976 | 빌리 카우센 레이싱 팀 | 마치 762 | 하트 | HOC Ret | THR | VAL 13 | SAL | PAU 7 | HOC 9 | ROU | MUG 9 | PER | EST | NOG 6 | HOC 10 | 12위 | 4 | |
1977 | 빌리 카우센 레이싱 팀 | 자부일 2J | 르노 | SIL Ret | THR Ret | HOC Ret | NÜR 8 | VAL DSQ | PAU 7 | MUG | ROU | NOG | PER | MIS | EST | NC | 0 | |
KWS 오토테크닉 | 쉐브론 B40 | 포드 | DON Ret |
- 1976년 포 그랑프리에서 야크 라피트와 장-피에르 자리에가 포인트 획득 자격이 없어 7위로 2점을, 노가로 서킷에서 야크 라피트가 포인트 획득 자격이 없어 6위로 2점을 추가로 획득했습니다.
4.2. 24 Hours of Le Mans
연도 | 팀 | 공동 드라이버 | 차량 | 클래스 | 랩 수 | 종합 순위 | 클래스 순위 |
---|---|---|---|---|---|---|---|
1978 | 바이스베르그 젤로 팀 | 존 피츠패트릭 토이네 헤제만스 | 포르쉐 935/77 | Gr.5 +2.0 | 19 | DNF | DNF |
1979 | 포르쉐 크레머 레이싱 | 돈 위팅턴 빌 위팅턴 | 포르쉐 935 K3 | Gr.5 +2.0 | 307 | 1위 | 1위 |
1982 | 포드 독일 자크스피드 | 마르크 스러 만프레드 빈켈호크 | 포드 C100 | C | 67 | DNF | DNF |
1983 | 소르가 SA 조이스트 레이싱 | 스테판 요한슨 밥 월렉 | 포르쉐 956 | C | 354 | 6위 | 6위 |
1984 | 뉴-맨 조이스트 레이싱 | 앙리 페스카롤로 | 포르쉐 956B | C1 | 360 | 1위 | 1위 |
1985 | 뉴-맨 조이스트 레이싱 | 파올로 바릴라 루이스 크라게스 | 포르쉐 956B | C1 | 374 | 1위 | 1위 |
1986 | 조이스트 레이싱 | 파올로 바릴라 루이스 크라게스 | 포르쉐 956B | C1 | 196 | DNF | DNF |
1988 | 포르쉐 AG | 한스-요아힘 슈투크 데릭 벨 | 포르쉐 962C | C1 | 394 | 2위 | 2위 |
1998 | AMG-메르세데스 | 베른트 슈나이더 마크 웨버 | 메르세데스-벤츠 CLK-LM | GT1 | 19 | DNF | DNF |
4.3. World Touring Car Championship
연도 | 팀 | 차량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순위 | 점수 |
---|---|---|---|---|---|---|---|---|---|---|---|---|---|---|---|
1987 | 에겐베르거 모터스포츠 | 포드 시에라 RS 코스워스 | DSQ | JAR ovr:4 cls:1 | DIJ ovr:4 cls:4 | NÜR ovr:1 cls:1 | SPA Ret | 2위 | 268 | ||||||
포드 시에라 RS500 | BRN ovr:1 cls:1 | SIL ovr:6 cls:1 | DSQ | CLD ovr:12 cls:8 | WEL ovr:1 cls:1 | FUJ ovr:1 cls:1 |
- 종합 순위가 표시됩니다. WTCC 점수 획득 순위는 다를 수 있습니다.
4.4. Deutsche Tourenwagen Meisterschaft/Masters
연도 | 팀 | 차량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순위 | 점수 |
---|---|---|---|---|---|---|---|---|---|---|---|---|---|---|---|---|---|---|---|---|---|---|---|---|---|---|---|---|
1985 | ABR 링하우젠 렌슈포르트 | 포드 시에라 XR4 TI | ZOL | WUN | AVU | MFA | ERD | ERD | DIE 12 | DIE 1 | ZOL 1 | SIE 1 | NÜR 1 | 11위 | 73.5 | |||||||||||||
1986 | ABR 링하우젠 렌슈포르트 | 포드 시에라 XR4 TI | ZOL Ret | HOC 5 | NÜR | AVU | MFA | WUN | NÜR Ret | ZOL | NÜR | 25위 | 14 | |||||||||||||||
1987 | 포드-그랩 모터스포츠 GmbH | 포드 시에라 XR4 TI | HOC | ZOL | NÜR | AVU | MFA | NOR | NÜR 1 | WUN | DIE | SAL | NC | 0 | ||||||||||||||
1988 | 팀 하인 게리케 포드 그랩 모터스포츠 | 포드 시에라 RS 500 코스워스 | ZOL 1 | ZOL 1 | HOC 10 | HOC 8 | NÜR 2 | NÜR 5 | BRN 2 | BRN 2 | AVU Ret | AVU 12 | MFA Ret | MFA 9 | NÜR 5 | NÜR 4 | NOR 23 | NOR 1 | WUN 1 | WUN 1 | SAL C | SAL C | HUN Ret | HUN Ret | HOC 9 | HOC 5 | 1위 | 258 |
1989 | AMG 모토렌바우 GmbH | 메르세데스 190E 2.3-16 | ZOL Ret | ZOL DNS | HOC 1 | HOC 20 | NÜR 3 | NÜR Ret | 11위 | 155 | ||||||||||||||||||
메르세데스 190E 2.5-16 Evo | MFA Ret | MFA DNS | AVU 3 | AVU 10 | NÜR DNS | NÜR DNS | NOR | NOR | HOC Ret | HOC DNS | DIE 1 | DIE 1 | NÜR 1 | NÜR 1 | HOC 5 | HOC Ret | ||||||||||||
1990 | AMG 모토렌바우 GmbH | 메르세데스 190E 2.5-16 Evo | ZOL 4 | ZOL 2 | HOC 1 | HOC Ret | NÜR 4 | NÜR 3 | AVU 9 | AVU Ret | MFA 2 | MFA 6 | WUN 22 | WUN 11 | 5위 | 140 | ||||||||||||
메르세데스 190E 2.5-16 Evo2 | NÜR Ret | NÜR 15 | NOR 4 | NOR 4 | DIE 7 | DIE 6 | NÜR 7 | NÜR 7 | HOC 5 | HOC 7 | ||||||||||||||||||
1991 | AMG 모토렌바우 GmbH | 메르세데스 190E 2.5-16 Evo2 | ZOL 2 | ZOL 14 | HOC 7 | HOC 7 | NÜR 1 | NÜR 1 | AVU 7 | AVU Ret | WUN 3 | WUN 3 | NOR Ret | NOR 7 | DIE 8 | DIE 3 | NÜR 1 | NÜR 1 | ALE 9 | ALE Ret | HOC 6 | HOC 5 | BRN 1 | BRN Ret | DON 4 | DON 4 | 2위 | 166 |
1992 | AMG 모토렌바우 GmbH | 메르세데스 190E 2.5-16 Evo2 | ZOL 2 | ZOL 11 | NÜR 7 | NÜR 5 | WUN 2 | WUN 3 | AVU 4 | AVU 7 | HOC Ret | HOC 2 | NÜR 1 | NÜR 1 | NOR 8 | NOR 12 | BRN Ret | BRN 4 | DIE 1 | DIE 1 | ALE Ret | ALE 4 | NÜR 4 | NÜR 1 | HOC 3 | HOC Ret | 1위 | 228 |
1993 | AMG-메르세데스 베를린 2000 | 메르세데스 190E 2.5-16 93 | ZOL 4 | ZOL 7 | HOC Ret | NÜR 3 | WUN 5 | WUN 3 | NÜR 2 | NÜR 3 | NOR Ret | NOR 5 | DON 6 | DON Ret | DIE 3 | DIE 2 | ALE 5 | ALE Ret | AVU 2 | AVU 22 | HOC 5 | HOC Ret | 4위 | 171 | ||||
메르세데스 190E 2.5-16 Evo2 | HOC 3 | NÜR 1 | ||||||||||||||||||||||||||
1994 | AMG 메르세데스 D2 프라이바트 팀 | 메르세데스 C-클래스 V6 | ZOL 8 | ZOL 5 | HOC 5 | HOC 8 | NÜR 1 | NÜR 3 | MUG 8 | MUG 17 | NÜR 2 | NÜR 1 | NOR 3 | NOR 5 | DON 20 | DON DNS | DIE 1 | DIE 2 | NÜR 2 | NÜR 2 | AVU 4 | AVU 8 | ALE Ret | ALE 4 | HOC 2 | HOC 4 | 1위 | 222 |
1995 | 오펠 팀 로즈버그 | 오펠 칼리브라 V6 4x4 | HOC 5 | HOC 3 | AVU Ret | AVU DNS | NOR 2 | NOR Ret | DIE Ret | DIE Ret | NÜR 7 | NÜR 10 | ALE Ret | ALE DNS | HOC 1 | HOC 1 | 3위 | 80 | ||||||||||
2000 | HWA 팀 | AMG-메르세데스 CLK-DTM | HOC 9 | HOC 9 | OSC 8 | OSC 11 | NOR 2 | NOR 3 | SAC 1 | SAC 1 | NÜR 2 | NÜR 2 | LAU C | LAU C | OSC 6 | OSC 3 | NÜR 12 | NÜR Ret | HOC Ret | HOC 11 | 3위 | 122 |
4.5. International Touring Car Championship
연도 | 팀 | 차량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순위 | 점수 |
---|---|---|---|---|---|---|---|---|---|---|---|---|---|---|---|---|---|---|---|---|---|---|---|---|---|---|---|---|---|---|
1995 | 오펠 팀 로즈버그 | 오펠 칼리브라 V6 4x4 | MUG 8 | MUG Ret | HEL 15 | HEL Ret | DON 8 | DON Ret | EST 17 | EST 8 | MAG 3 | MAG Ret | 14위 | 21 | ||||||||||||||||
1996 | 자크스피드 오펠 | 오펠 칼리브라 V6 4x4 | HOC Ret | HOC DNS | NÜR Ret | NÜR Ret | EST 3 | EST 11 | HEL 3 | HEL Ret | NOR 1 | NOR 1 | DIE Ret | DIE Ret | SIL 1 | SIL Ret | NÜR Ret | NÜR 11 | MAG 9 | MAG 5 | MUG | MUG | HOC 1 | HOC 2 | INT Ret | INT 18† | SUZ Ret | SUZ 10 | 7위 | 130 |
- † - 우승자의 레이스 거리 90%를 완주하여 순위에 포함됨.
4.6. 12 Hours of Sebring
연도 | 팀 | 공동 드라이버 | 차량 | 클래스 | 랩 수 | 종합 순위 | 클래스 순위 |
---|---|---|---|---|---|---|---|
1988 | 베이사이드 디스포잘 레이싱 | 한스-요아힘 슈투크 | 포르쉐 962 | GTP | 318 | 1위 |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