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프란시스쿠 조제 호드리게스 다 코스타(Francisco José Rodrigues da Costa프란시스쿠 조제 호드리게스 다 코스타포르투갈어, 1974년 12월 1일 ~ )는 코스티냐(Costinha코스티냐포르투갈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포르투갈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다. 그는 주로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태클, 포지셔닝, 뛰어난 운동 능력, 체력, 그리고 활동량으로 잘 알려져 있다.
코스티냐는 포르투갈, 프랑스,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의 여러 클럽에서 뛰었다. 특히 FC 포르투에서 8개의 트로피를 들어 올렸는데, 여기에는 20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도 포함된다.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는 50경기 이상 출전하여 FIFA 월드컵 1회,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회에 참가했으며, UEFA 유로 2004에서는 팀의 결승 진출에 기여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S.C. 베이라마르, F.C. 파수스 페헤이라,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 C.D. 나시오날 등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2. 어린 시절 및 배경
코스티냐는 1960년대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으로 이주한 앙골라 출신 아버지 밑에서 리스본에서 태어났다.
2.1. 유년기 및 초기 경력
그는 어린 시절 스포르팅 CP의 팬이었으며, 클루베 오리엔탈 데 리스보아, A.D. 마시쿠, 그리고 C.D. 나시오날과 같은 3부 리그 클럽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3. 선수 경력
코스티냐는 여러 주요 클럽에서 활약하며 인상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1. 클럽 경력
코스티냐는 1997년부터 2010년까지 다양한 국가의 클럽에서 활약하며 중요한 순간들을 만들었다.
3.1.1. 모나코
1997년 여름, 코스티냐는 라리가의 발렌시아 CF와 5년 계약을 맺었으나, 감독 호르헤 발다노가 그를 비야레알 CF로 임대 보내려 하자 계약을 파기했다. 이후 그는 에이전트 조르제 멘데스의 영향으로 프랑스 클럽 AS 모나코 FC의 관심을 받아 이적했다. 1997-98 시즌에는 적응기를 거쳤지만, 이후 중요한 주전 선수로 자리 잡으며 1999-2000 시즌 리그 1 우승에 기여했다. 이 시즌에 그는 28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 또한 1998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탈락시킨 재능 있는 팀의 일원이었다.
클럽 | 시즌 | 디비전 | 출전 | 득점 | |||||||
---|---|---|---|---|---|---|---|---|---|---|---|
모나코 | 1997-98 | 리그 1 | 11 | 0 | |||||||
1998-99 | 21 | 2 | |||||||||
1999-00 | 28 | 1 | |||||||||
2000-01 | 24 | 0 | |||||||||
총계 | 84 | 3 | 94 | 3 |
3.1.2. 포르투
코스티냐는 2001년 5월 FC 포르투와 5년 계약을 맺고 이적했으며, 27세가 되기 직전인 8월 12일 프리메이라리가 데뷔전을 치렀으나 스포르팅 CP 원정에서 1-0으로 패하고 퇴장을 당했다. 그는 FC 포르투의 두 시즌 연속 리그 우승에 핵심적인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2004년 3월 9일, 그는 2003-04 UEFA 챔피언스리그 16강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득점하여 효과적으로 팀을 다음 라운드로 진출시켰다. FC 포르투는 결승전에서 그의 이전 소속팀인 모나코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코스티냐는 2002-03 시즌 UEFA컵 우승의 주역이기도 했다.
클럽 | 시즌 | 디비전 | 출전 | 득점 | |||||||
---|---|---|---|---|---|---|---|---|---|---|---|
포르투 | 2001-02 | 프리메이라리가 | 29 | 3 | |||||||
2002-03 | 23 | 5 | |||||||||
2003-04 | 27 | 2 | |||||||||
2004-05 | 30 | 3 | |||||||||
총계 | 109 | 13 | 108 | 13 |
3.1.3. 이후 클럽들
2004-05 시즌에도 대부분의 경기에서 주전으로 활약한 코스티냐는 2005년 5월 팀 동료 마니시 및 기우르카스 세이타리디스와 함께 FC 디나모 모스크바로 400.00 만 EUR에 이적했다. 그는 2006년 2월 이스라엘 훈련 캠프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한 달간 출장 정지 징계를 받기도 했다.
정착하지 못한 코스티냐는 2006-07 시즌을 앞두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2년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그는 페테르 뤽생과 마니시 등 다른 선수들의 존재로 인해 경기에 자주 출전하지 못했지만,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라커룸에서 후배들에게 좋은 영향을 미쳤다.
코스티냐는 2007년 8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방출된 후 세리에 A의 아탈란타 BC에 합류했다. 그는 심각한 부상으로 인해, 그리고 이후에는 경쟁적인 경기를 뛸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판단으로 인해 아탈란타에서 거의 출전하지 못했다. 아탈란타에서의 활동 기간 동안 그는 첫 시즌 단 1경기만 출전했으며, 2010년 6월에 만료 예정인 계약에서 연간 70.00 만 EUR의 최고 연봉을 받고 있었다. 아탈란타는 그와 상호 합의에 의한 계약 해지를 시도했으나, 이탈리아 축구 연맹을 통해 계약을 해지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결국 그는 2010년 2월 23일 아탈란타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하며 현역에서 은퇴했다.
3.2. 국가대표 경력
코스티냐는 1998년 10월 14일 UEFA 유로 2000 예선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홈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며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그는 후반 67분 루이 코스타와 교체되어 출전했다. 그는 UEFA 유로 2000 본선에 발탁되어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 추가시간에 헤딩골을 넣어 3-0 승리를 이끌었다.
그는 또한 UEFA 유로 2004와 2006 FIFA 월드컵 토너먼트에도 참가했다. 특히 2006년 6월 25일 뉘른베르크의 전투로 알려진 네덜란드와의 16강전에서 두 차례 경고를 받아 퇴장당한 4명의 선수 중 한 명이었다. 당시 그는 핸드볼 반칙으로 두 번째 경고를 받았다.
코스티냐는 UEFA 유로 2008 예선 기간 동안 거의 소집되지 않았으며, 총 53번의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하며 국제 경력을 마쳤다.
-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1. 2000년 6월 17일 vs 루마니아 (UEFA 유로 2000, 1-0 승)
- 2. 2002년 9월 7일 vs 잉글랜드 (친선 경기, 1-1 무)
4. 플레이 스타일
코스티냐는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뛰어난 능력과 특징을 보였다. 그는 특히 강력한 태클과 정확한 포지셔닝으로 명성이 높았다. 또한, 그는 뛰어난 운동 능력과 지치지 않는 체력, 그리고 왕성한 활동량을 바탕으로 경기장 전역을 누비며 팀의 수비 안정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특성들은 그를 중원에서 궂은일을 도맡아 하는 핵심 선수로 만들었다.
5. 감독 및 단장 경력
선수 은퇴 후 코스티냐는 축구계에서 단장과 감독 역할을 모두 수행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5.1. 단장 역할
2010년 2월 23일 아탈란타와 계약을 상호 해지한 직후, 35세의 코스티냐는 즉시 은퇴를 선언하고 자신의 전 국가대표팀 동료인 해고된 히카르두 사 핀투의 후임으로 스포르팅 CP의 축구 단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2011년 2월 9일, 스포르트 TV와의 인터뷰에서 구단 이사진을 비판한 다음 날 그는 해임되었다.
2011년 6월, 코스티냐는 스위스 팀 세르베트 FC의 단장으로 합류했으며, 당시 주앙 알베스가 팀을 이끌고 있었다. 하지만 두 사람은 특정 문제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고, 2011년 11월 알베스는 해임되고 주앙 카를로스 페헤이라로 교체되었다. 페헤이라 감독 체제에서 팀의 성적은 악화되었고, 2012년 4월 페헤이라와 코스티냐 모두 해임되었으며, 알베스가 다시 감독으로 복귀했다. 코스티냐는 자신의 계약이 2013년 6월까지 연장되었다고 주장하며 해임 조건에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5.2. 감독 역할
코스티냐는 2013년 2월 18일 S.C. 베이라마르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울리세스 모라이스의 뒤를 이었다. 5일 후 그의 감독 데뷔전은 비토리아 FC와의 경기에서 1-0 패배로 기록되었다. 그는 2012-13 시즌 팀이 최상위 리그에서 강등된 후 5월 22일 클럽을 떠났다.
2013년 6월 12일, 코스티냐는 동료 최상위 리그 팀인 F.C. 파수스 페헤이라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이 팀은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2013-14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 라운드에 진출한 상태였다. 이때 그의 포르투갈 및 세 팀에서 함께 뛰었던 미드필더 파트너 마니시가 수석 코치로 합류했다. 그러나 코스티냐는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4개월 만인 2013년 10월 29일 해임되었다.
코스티냐는 2016년 6월 20일, 최근 최상위 리그에서 강등된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의 감독직을 맡았다. 마니시는 10월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떠나기 전까지 다시 그를 보좌했다.
2017년 5월 30일, 코스티냐는 C.D. 나시오날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첫해인 2017-18 시즌에 팀은 리가 프로에서 우승하며 다시 최상위 리그로 승격했다.
하지만 1년 후, 마데이라 팀이 리그에서 두 번째로 낮은 순위로 강등되면서 코스티냐는 2019년 5월 24일 상호 합의하에 팀을 떠났다. 이 시기에는 2019년 2월 10일 S.L. 벤피카에게 10-0으로 대패한 경기도 있었는데, 코스티냐는 "10-0은 굴욕이며, 책임은 나에게 있다"고 언급하며 책임을 인정했다.
코스티냐는 2021년 6월 28일, 다시 최상위 리그에서 강등된 C.D. 나시오날로 1년 계약을 맺고 복귀했다. 하지만 그는 5경기에서 1승 1무를 기록한 후 9월 20일 팀을 떠났다.
6. 수상 및 업적
코스티냐는 선수 및 감독 경력을 통틀어 여러 중요한 타이틀과 영예를 얻었다.
- 선수 수상**:
- 모나코
- 리그 1: 1999-2000
- 트로페 데 샹피옹: 1997, 2000
- 포르투
- 프리메이라리가: 2002-03, 2003-04
- 타사 드 포르투갈: 2002-03
- 수페르타사 칸디두 드 올리베이라: 2003, 2004
-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UEFA컵: 2002-03
- 인터콘티넨털컵: 2004
- 포르투갈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4
- 감독 수상**:
- 나시오날
- 리가 프로: 2017-18
- 훈장**:
- 빌라 비소자의 원죄 없는 잉태의 기사단 공로 메달 (브라간사 가문)
- 나시오날
- 모나코
7. 경력 통계
7.1. 클럽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모나코 | 1997-98 | 11 | 0 | ||||||||
1998-99 | 21 | 2 | |||||||||
1999-00 | 28 | 1 | |||||||||
2000-01 | 24 | 0 | |||||||||
총계 | 84 | 3 | 94 | 3 |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포르투 | 2001-02 | 29 | 3 | ||||||||
2002-03 | 23 | 5 | |||||||||
2003-04 | 27 | 2 | |||||||||
2004-05 | 30 | 3 | |||||||||
총계 | 109 | 13 | 108 | 13 |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디나모 모스크바 | 2005 | 10 | 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006-07 | 24 | 0 | |||||||||
아탈란타 | 2007-08 | 1 | 0 | 0 | 0 | - | - | - | - | 1 | 0 | |
2008-09 | 0 | 0 | 0 | 0 | - | - | - | - | 0 | 0 | ||
2009-10 | 0 | 0 | 0 | 0 | - | - | - | - | 0 | 0 | ||
총계 | 1 | 0 | 0 | 0 | 0 | 0 | 0 | 0 | 1 | 0 | ||
경력 총계 | 238 | 16 | 238 | 16 |
7.2. 국가대표 통계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포르투갈 | 1998 | 1 | 0 |
1999 | 0 | 0 | |
2000 | 8 | 1 | |
2001 | 1 | 0 | |
2002 | 2 | 1 | |
2003 | 8 | 0 | |
2004 | 15 | 0 | |
2005 | 6 | 0 | |
2006 | 12 | 0 | |
총계 | 53 | 2 |
7.3. 감독 통계
팀 | 부임 | 퇴임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
베이라마르 | 2013 | 2013 | 11 | 2 | 2 | 7 | 12 | 18 | -6 | 18.18% |
파수스 페헤이라 | 2013 | 2013 | 14 | 2 | 2 | 10 | 15 | 31 | -16 | 14.28% |
아카데미카 | 2016 | 2017 | 48 | 20 | 13 | 15 | 48 | 38 | 10 | 41.67% |
나시오날 | 2017 | 2019 | 81 | 29 | 22 | 30 | 123 | 140 | -17 | 35.80% |
경력 총계 | 154 | 53 | 39 | 62 | 198 | 227 | -29 | 34.42% |
8. 평가 및 영향
코스티냐는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태클, 포지셔닝, 운동 능력, 체력, 활동량 등에서 뛰어난 능력을 선보이며 그의 세대에서 중요한 선수로 평가받았다. 특히 FC 포르투와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마니시와의 중원 호흡은 탁월한 시너지를 발휘하여 팀의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조제 모리뉴 감독 체제 아래 FC 포르투의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과 UEFA 유로 2004 준우승 등 그의 선수 시절 업적은 포르투갈 축구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선수 은퇴 후 감독으로서 C.D. 나시오날을 리가 프로 우승으로 이끌며 프리메이라리가로 승격시키는 등 성공적인 경험을 쌓기도 했다. 그의 축구 경력은 빌라 비소자의 원죄 없는 잉태의 기사단 공로 메달을 받는 등 포르투갈 정부로부터도 인정을 받았다. 코스티냐는 그의 끊임없는 노력과 헌신으로 포르투갈 축구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