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Carl XVI Gustaf칼 16세 구스타프영어, 1946년 4월 30일 출생)은 1973년부터 스웨덴의 국왕으로 재위하고 있으며, 스웨덴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군주이다. 그는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지빌라 공주의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생후 9개월 만에 비행기 사고로 아버지를 여의고, 4세 때 할아버지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즉위하면서 스웨덴 왕위 계승 서열 1위인 왕세손이 되었다.
1973년 9월 15일 할아버지의 서거로 왕위에 올랐으며, 1974년 새로운 통치법이 발효되면서 군주의 행정적 권한이 공식적으로 박탈되어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역할만 수행하게 되었다. 국왕은 총리 임명, 법안 서명, 군 통수권 등 의회 체제에서 국가 원수에게 부여되는 많은 의무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지만, 국정에 대한 정기적인 정보를 받을 권리는 유지한다. 그는 또한 베르나도트 왕가의 수장으로서 왕실 구성원의 작위와 지위에 대한 여러 결정을 내렸다.
1976년 6월, 칼 구스타프는 실비아 좀멀라트와 결혼하여 빅토리아 왕세녀, 칼 필립 왕자, 마들렌 공주 세 자녀를 두었다. 1980년 1월 1일 절대적 장자 상속법이 통과되면서 그의 장녀 빅토리아가 왕세녀이자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국왕은 환경, 기술, 농업, 무역, 산업, 자동차, 스포츠 등 다양한 개인적 관심사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스카우트 재단의 명예 회장으로서 스카우트 활동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노벨상 시상식 주재, 여러 차례의 해외 순방, 그리고 스웨덴의 중립 종식과 나토 가입 등 중요한 국가적 변화를 경험했다. 브루나이 인권 문제 발언, 사우디아라비아 외교 위기 개입, 코로나19 대응 비판, 노벨 재단 초청 논란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발언과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의 어린 시절은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왕위 계승권자로서의 지위 변화로 특징지어진다.
2.1. 출생 및 어린 시절
칼 구스타프 폴케 후베르투스(Carl Gustaf Folke Hubertus칼 구스타프 폴케 후베르투스스웨덴어)는 1946년 4월 30일 오전 10시 20분, 스톡홀름주 솔나의 하가 궁전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웨덴의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와 지빌라 공주의 다섯 자녀 중 막내이자 유일한 아들이었다. 그의 출생 당시 증조할아버지인 구스타프 5세가 스웨덴 국왕으로 재위 중이었다.
칼 구스타프는 1946년 6월 7일 웁살라 대주교 에를링 에이뎀(Erling Eidem)에 의해 왕실 예배당에서 세례를 받았다. 그는 칼 11세의 세례반에, 구스타프 3세의 카펫 위에서, 칼 11세의 요람에 누워 오스카르 2세의 왕관 옆에 있었다. 그가 입었던 흰색 리넨 바티스트 세례 가운은 1906년 그의 아버지가 입었고, 훗날 그의 세 자녀도 입게 된다. 그의 대부모는 덴마크의 왕세자 프레데리크 9세와 왕세녀 잉리드, 노르웨이의 왕세자 올라프 5세, 네덜란드의 공주 율리아나,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5세,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세습 공자 프리드리히 요시아스, 스웨덴의 왕세자 구스타프 6세 아돌프와 왕세녀 루이즈 마운트배튼, 그리고 폴케 베르나도테 백작 부부였다.
아홉 달 된 칼 구스타프 왕자는 1947년 1월 26일 코펜하겐 공항에서 발생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아버지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를 잃었다. 이로 인해 그는 당시 왕세자였던 할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에 이어 왕위 계승 서열 2위가 되었다. 1950년 증조할아버지 구스타프 5세가 서거하자, 4세의 칼 구스타프 왕자는 스웨덴의 왕세손이 되었다. 그는 7세가 되어서야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들었다고 한다. 2005년 연설에서 그는 아버지를 알지 못한 채 성장한 것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했다. 그의 누이 비르기타 공주는 당시 왕실이 어린 구스타프 왕자의 감정적 필요를 고려하지 않았고, 비극에 대해 자녀들과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2.2. 교육 및 준비
칼 구스타프의 초기 교육은 스톡홀름 궁전에서 개인적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브롬스 학교(Broms school)와 시그투나 학교 인문학 김나지움(Sigtunaskolan Humanistiska Läroverket) 기숙학교를 다녔다. 1966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스웨덴 육군, 스웨덴 해군, 스웨덴 공군에서 2년 반 동안 군사 교육을 받았다. 1966년 겨울부터 1967년까지 그는 기뢰 부설함 HSwMS 엘브스나벤 (M01)을 타고 세계 일주 항해에 참여했다. 왕세손은 1968년에 세 군에서 모두 장교로 임관되었으며,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육군과 공군에서 대위, 해군에서는 중위로 진급했다.
그는 또한 웁살라 대학교에서 역사학, 사회학, 정치학, 조세법, 경제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국가 원수로서의 역할을 준비하기 위해 칼 구스타프 왕세손은 사법 제도, 사회 조직 및 기관, 노동조합, 고용주 협회 등 광범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또한 스웨덴 의회, 정부, 스웨덴 외교부의 업무를 면밀히 연구했다. 그는 유엔 스웨덴 대표부와 스웨덴 국제 개발 협력청(SIDA)에서도 시간을 보냈으며, 런던의 한 은행과 스웨덴 대사관, 프랑스의 스웨덴 상공회의소, 알파 라발 공장에서도 근무했다. 1970년에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세계 박람회에 스웨덴 대표단 단장으로 국왕을 대신하여 참석했다.
칼 구스타프는 난독증을 앓고 있으며, 그의 딸 빅토리아 왕세녀와 아들 칼 필립 왕자도 난독증이 있다. 1997년 TV 인터뷰에서 실비아 왕비는 이 사실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며, 국왕이 어렸을 때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3. 재위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은 1973년 즉위 이후 스웨덴 왕실의 상징적인 역할을 강화하며 국가 원수로서 다양한 공식 임무를 수행해왔다.
3.1. 즉위와 왕권의 변화
1973년 9월 15일, 칼 구스타프는 할아버지 구스타프 6세 아돌프의 서거와 함께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 9월 19일, 그는 임시 내각 회의에서 필요한 왕실 서약(Konungaförsäkran코눙아푀르셰크란스웨덴어)을 했다. 이후 그는 왕궁의 국빈 홀에서 의회, 외교 사절단, 왕실 인사 등에게 모습을 드러내 은제 왕좌에 앉아 연설했다. 내각 회의와 국빈 홀에서의 의식은 모두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되었다. 의식 후, 그는 발코니에 나와 모인 군중에게 인사를 건넸다. 내각 회의에서 국왕은 자신의 왕명을 칼 16세 구스타프로 선포했으며, "스웨덴을 위하여 - 시대와 함께(För Sverige - i tiden푀르 스베리예 - 이 티덴스웨덴어)"를 개인적인 표어로 채택했다.
그가 국왕이 된 직후, 1974년 새로운 스웨덴 기본법이 발효되면서 군주제의 남은 행정 권한이 공식적으로 박탈되었다. 이로 인해 칼 구스타프는 더 이상 총리 공식 임명, 법안 서명, 군 통수권 등 의회 체제에서 국가 원수에게 일반적으로 부여되는 많은 의무를 수행하지 않게 되었다. 새로운 법률은 국왕의 역할을 의례적이고 대표적인 기능으로 명시적으로 제한했지만, 국정 현안에 대해 정기적으로 보고받을 권리는 유지했다.
3.2. 국정 참여와 상징적 역할
국왕은 스웨덴의 최고 대표자로서 해외 국빈 방문을 수행하고, 스웨덴을 방문하는 외국 정상들을 영접한다. 그는 매년 스웨덴 의회의 회기를 개회하며, 정부 교체 시 열리는 특별 회의(skifteskonselj스키프테스콘셀리스웨덴어)를 주재한다. 또한 총리 및 내각과 정기적으로 정보 회의(informationskonselj인포르마시온스콘셀리스웨덴어)를 개최하며, 외교 자문 위원회(Utrikesnämnden) 회의를 주재하고, 스웨덴 주재 외국 대사들의 신임장을 접수하며 스웨덴 대사들의 해외 신임장에 서명한다. 상징적인 존재로서 그는 스웨덴 선거에서 자발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칼 구스타프 국왕은 스웨덴군의 세 군에서 최고 계급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그가 1973년 즉위 당시 유효했던 1809년 통치법 14조에 따라 총사령관(Högste Befälhavare회그스테 베펠하바레스웨덴어)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이전 계급인 대위(육군 및 공군)와 중위(해군)에서 자동적으로 장군과 제독으로 진급했다. 1975년 1월 1일부터 발효된 1974년 통치법의 규정에 따라 국왕은 더 이상 이 헌법적 직위를 보유하지 않지만, 국왕 폐하의 군사 참모진에 대한 권한을 제외하고는 군사 지휘권이 없으므로 '아 라 스위트(à la suite아 라 스위트프랑스어)' 계급을 유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칼 16세 구스타프는 매년 노벨상 시상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에게서 처음으로 노벨상을 받은 수상자는 레오 에사키였다. 그는 또한 폴라 음악상도 수여한다. 국왕은 스웨덴 농업 과학 대학교, KTH 왕립 공과대학교, 스톡홀름 경제대학교, 핀란드의 오보 아카데미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3.3. 왕실 구성원 및 작위 변경
베르나도트 왕가의 수장으로서 칼 구스타프 국왕은 1973년 즉위 이후 친척 및 가족 구성원의 작위와 지위에 대해 여러 개인적인 결정을 내렸다. 여기에는 누이의 지위 강등, 여러 일반인의 왕족 지위 격상, 나이 든 숙부의 소원 거부, 그리고 새로운 스웨덴 작위 및 공작령 창설 등이 포함된다.
- 1974년: 그의 누이 크리스티나 공주가 비왕족 스웨덴인과 결혼하자, 칼 구스타프는 할아버지와 선왕이 크리스티나의 두 언니에게 유사한 결혼에 대해 적용했던 선례를 따랐다. 이에 따라 크리스티나는 왕실에서 제외되었고, 더 이상 '전하(Royal Highness로열 하이니스영어)' 칭호를 사용하지 않으며, '크리스티나 공주, 망누손 부인'이라는 예우 칭호를 받았다.
- 1976년: 그 자신이 비왕족 독일-브라질계 여성과 결혼하면서 왕으로서의 헌법적 특권을 활용하여 그녀를 '실비아 스웨덴 왕비 폐하'로 만들었다.
- 1976년: 그의 숙부 베르틸 왕자가 수십 년간 동거했던 비왕족 영국 여성과 결혼하자, 칼 구스타프는 그녀를 '전하' 스웨덴 공주이자 할란드 여공작으로 만들었다.
- 1977년: 그의 딸 빅토리아 왕세녀가 태어났고, 1980년 칼 구스타프는 그녀를 베스테르예틀란드 여공작으로 만들었다.
- 1979년: 그의 아들 칼 필립 왕자가 태어났고, 칼 구스타프는 그를 베름란드 공작으로 만들었다.
- 1982년: 그의 딸 마들렌 공주가 태어났고, 칼 구스타프는 그녀를 위해 헬싱글란드와 예스트리클란드 여공작이라는 새로운 공작령을 만들었다.
- 1983년: 그의 숙부 시그바르드 베르나도테는 1934년 독일 여성과의 비왕족 결혼으로 스웨덴 왕자 지위를 잃었으나, 법률 전문가들의 지지를 받아 '시그바르드 베르나도테 왕자'라는 자신의 작위를 선언했다. 그는 18년 후 그의 큰아버지 오스카르 베르나도테 왕자의 작위를 주요 선례로 명확히 인용했다. 그러나 시그바르드는 2002년에 사망할 때까지 칼 구스타프의 어떠한 응답도 받지 못했으며, 스웨덴 왕실은 그의 작위를 인정하기를 일관되게 거부했다.
- 2003년: 그의 할아버지의 첫 사촌 칼 베르나도테 왕자가 사망하자, 칼 구스타프는 왕이 소유한 왕실 묘지의 묘비에 '칼 베르나도테 왕자'라는 벨기에 작위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도록 허용했다. 2014년에도 칼의 미망인 크리스티네 베르나도테 공주가 사망했을 때 같은 방식으로 그녀의 이름을 '크리스티네 베르나도테 공주'로 허용했다.
- 2010년: 그의 딸 빅토리아가 비왕족 스웨덴인과 결혼하자, 칼 구스타프는 그를 '전하' 스웨덴 왕자이자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으로 만들었다.
- 2012년: 그의 손녀 에스텔 공주가 태어나 외스테르예틀란드 여공작이 되었다.
- 2013년: 그의 딸 마들렌이 스웨덴 국적을 거부한 비왕족 영국계 미국인과 결혼하자, 칼 구스타프는 그에게 특별 예우 칭호인 '헤르(Herr헤르스웨덴어)'를 부여했다.
- 2014년: 그의 손녀 레오노르가 태어나 고틀란드 여공작이 되었다.
- 2015년: 그의 아들 칼 필립이 비왕족 스웨덴인과 결혼하자, 칼 구스타프는 그녀를 '전하' 스웨덴 공주이자 베름란드 여공작으로 만들었다.
- 2015년: 그의 손자 니콜라스가 태어나 옹에르만란드 공작이라는 새로운 공작령을 받았다.
- 2016년: 그의 손자 오스카르 왕자가 태어나 스코네 공작이 되었다.
- 2016년: 그의 손자 알렉산데르가 태어나 쇠데르만란드 공작이 되었다.
- 2017년: 그의 손자 가브리엘이 태어나 달라르나 공작이 되었다.
- 2018년: 그의 손녀 아드리엔이 태어나 블레킹에 여공작이라는 새로운 공작령을 받았다.
- 2019년: 칼 구스타프는 스웨덴 왕족을 국가 원수 직책과 더욱 엄격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손주들인 레오노르, 니콜라스, 알렉산데르, 가브리엘, 아드리엔의 왕족 지위를 철회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다섯 명은 여전히 각 지방의 왕자/공주 및 공작/여공작으로 불리며, 왕위 계승 서열에는 남아 있다.
- 2021년: 그의 손자 율리안이 태어나 할란드 공작이 되었으며, 2019년의 형들과 동일한 지위를 가졌다.
- 2025년: 그의 손녀 이네스가 태어나 베스테르보텐 여공작이 되었으며, 2019년의 오빠들과 동일한 지위를 가졌다.
4. 결혼과 가족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의 결혼 생활과 자녀, 손주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4.1. 결혼
칼 구스타프는 독일인 아버지와 브라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두 나라에서 성장한 실비아 좀멀라트와 결혼했다. 두 사람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만났는데, 당시 실비아는 통역사이자 호스트로 일하고 있었다. 결혼식은 1976년 6월 19일 스톡홀름 대성당에서 웁살라 대주교 올라프 순드비(Olof Sundby)의 주례로 거행되었다. 결혼식 전날 저녁에는 왕실 버라이어티 공연이 열렸는데, 스웨덴 음악 그룹 아바가 스웨덴의 미래 왕비를 위한 헌정곡으로 "댄싱 퀸"을 처음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국왕 부부는 1980년에 스톡홀름 서쪽의 드로트닝홀름 궁전으로 거처를 옮겼으며, 스톡홀름 궁전에는 업무 사무실을 유지하고 있다.
4.2. 자녀와 손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과 실비아 왕비는 세 자녀와 아홉 손주를 두었다.
- 빅토리아 왕세녀(1977년 7월 14일 출생): 다니엘 베스틀링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 칼 필립 왕자(1979년 5월 13일 출생): 소피아 헬크비스트와 결혼하여 네 자녀를 두었다.
- 마들렌 공주(1982년 6월 10일 출생): 크리스토퍼 오닐과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칼 필립 왕자는 태어날 당시 왕위 계승자였다. 그러나 그의 출생 당시 이미 진행 중이던 헌법 개혁으로 인해, 1980년 1월 1일 스웨덴이 최초로 채택한 절대적 장자 상속 원칙에 따라 그의 누나 빅토리아가 왕위 계승자이자 왕세녀가 되었다.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은 이 개혁 이후, 여성의 왕위 계승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아들이 태어날 때부터 가졌던 지위와 작위를 잃게 된 사실에 대해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5. 개인적인 관심사와 견해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은 다양한 개인적인 취미와 관심사를 가지고 있으며, 때때로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밝히기도 한다.
5.1. 취미 및 관심사
국왕은 환경, 기술, 농업, 무역, 산업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스웨덴 왕실의 많은 구성원들처럼, 그는 자동차에 대한 열정이 크다. 그는 여러 대의 포르쉐 911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 모델은 그가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빈티지 볼보 PV444, 페라리 456M GT, AC 코브라 등 다양한 자동차를 가지고 있다. 그와 미래의 왕비가 함께 찍힌 첫 사진도 그의 포르쉐 911에 앉아 있는 모습이었다. 2005년 여름에는 노르셰핑에서 교통사고에 연루되었으나, 경미한 접촉 사고로 심각한 부상은 없었다고 보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인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국왕 부부는 2014년, 2016년, 2018년, 2024년을 포함하여 여름 및 겨울 올림픽에 자주 참석한다.
국왕은 또한 매년 노벨상 시상식과 폴라 음악상 시상식에서 시상자 역할을 수행한다.
5.2. 사회적 발언 및 논란
칼 16세 구스타프는 정치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여러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발언들을 했다.
1990년대 노르웨이 총리 그로 할렘 브룬틀란과 그녀의 물범 사냥 정책에 대한 비판에서, 그는 물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사람이 노르웨이 국민을 돌볼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2004년 브루나이 국빈 방문 후, 그는 논란이 많은 인권 역사에도 불구하고 술탄 하사날 볼키아를 칭찬하고 브루나이를 "열린 나라"라고 묘사했다. 2023년에도 칼 구스타프는 브루나이가 비민주적인 정부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열린 나라라고 말했다. 이 두 발언은 군주제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수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뜨렸다. 그러나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이후 대중의 신뢰는 회복되었다. 당시 총리 예란 페르손이 국왕에게 국정 현안을 보고해야 하는 헌법적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정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2005년 1월 10일 스톡홀름 시청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국왕이 매우 칭찬받는 연설을 하면서 군주제에 대한 지지가 회복되었다.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외교 위기 해결에 칼 구스타프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 위기는 외교부 장관 마르가레타 발스트룀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정부 형태와 인권 상황을 비판하면서 시작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에 대응하여 스웨덴 주재 대사를 소환하고 양국 간 군사 협력 협정을 종료했다. 스웨덴 정부는 국왕에게 위기 해결을 위한 도움을 요청했다고 알려졌다. 국왕은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에게 서한을 보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외교 관계는 정상으로 돌아왔다. 칼 구스타프의 위기 해결 역할과 사우디 국왕과의 "좋은 관계"를 주장한 그의 발언은 모두 비판을 받았다.
2016년, 국왕은 스톡홀름 중심부 국립박물관과 구시가지 근처의 블라시홀멘에 제안된 노벨 센터 건설에 대한 격렬한 논쟁에 개입하여, 제안된 구조물이 "너무 크고 잘못된 장소에 있다"며 "재배치될 수 있다"고 밝혔다. 2018년 선거 이후 스톡홀름 시는 원래 제안을 포기하고 슬루센 근처에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기로 결정했다.
2020년 12월, 국왕은 스웨덴의 코로나19 대응 방식이 실패했다고 말했다. 당시 총리 스테판 뢰벤도 "너무 많은 사람이 죽었다는 사실은 실패 외에 다른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말했다.
2023년, 노벨 재단은 그 해 노벨상 시상식에 러시아, 벨라루스, 이란 대사들을 초청할 의사를 밝혔다. 이는 대규모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왕실은 국왕이 시상식 참석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많은 정당 지도자들도 시상식 보이콧을 위협했다. 결국 재단은 결정을 철회했다.
2024년 1월 14일, 그의 사촌인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2세가 퇴위하면서 칼 구스타프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 재위 중인 국가 원수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 재위 중인 군주가 되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스웨덴은 2024년 3월 18일 나토에 가입하며 200년 이상의 중립을 끝냈다. 스웨덴 의회 건물 밖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칼 구스타프는 나토 가입을 스웨덴 안보 정책의 새로운 시대라고 묘사하며 평화에 대한 스웨덴의 염원을 재확인했다.
2025년 살렌에서 열린 사회 및 국방 회의에서 국왕은 스웨덴의 안보 상황에 대해 연설했다. 그는 스웨덴이 전쟁 중은 아니지만 더 이상 평화 상태로 간주될 수 없다고 말하며,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가 표명한 견해에 동조했다. 국왕은 또한 사회적 대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최근 몇 년간 국민의 국방 의지가 커졌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6. 스카우트 활동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은 세계 스카우트 재단의 명예 회장이며, 스웨덴 국내외에서 스카우트 활동에 자주 참여한다. 그는 정기적으로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를 방문하는데, 예를 들어 스웨덴이 주최한 1979년 달라얌 세계 잼버리 국제 야영, 태국 사타힙에서 열린 2002년 세계 잼버리, 그리고 영국 하일랜즈 공원에서 열린 2007년 세계 스카우트 100주년 기념 잼버리 등이 있다. 그는 또한 미국 버지니아에서 열린 1981년 미국 보이스카우트 전국 잼버리에 참석했으며, 1982년에는 세계 스카우트 운동에 대한 탁월한 공로로 세계 스카우트 위원회로부터 브론즈 울프상을 수상했다. 그는 2011년 8월 6일 4만 명 이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열린 제22회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폐막식에서 연설을 했으며, 밴드 유럽은 그를 위해 "The Final Countdown"을 연주하기도 했다. 칼 구스타프 국왕은 웨스트버지니아에서 열린 2013년 미국 보이스카우트 전국 잼버리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2017년에는 인도네시아 서자바에서 열린 잼버리에 참석하기도 했다.
7. 건강
2023년 2월, 칼 구스타프는 "심장 부위에 도관 기술을 이용한 외과적 시술"을 받았다.
8. 작위, 칭호, 영예 및 문장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은 수세기 동안 이어져 온 전통적인 칭호인 "스웨덴, 예트족과 벤드족의 국왕"을 폐지하고, 더 간결한 "스웨덴의 국왕(Sveriges Konung스베리예스 코눙스웨덴어)"을 선택했다.
8.1. 왕명 및 칭호
스웨덴에는 '칼(Carl)' 또는 '찰스(Charles)'라는 이름을 가진 왕이 열여섯 명이나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 숫자는 16세기 작가 요하네스 마그누스가 창조한 가상의 왕들을 포함하는 오류 있는 계보에서 비롯된 것이다.
8.2. 문장 및 휘장
예름틀란드 공작으로 임명될 당시, 칼 16세 구스타프는 예름틀란드의 문장이 하단에 포함된 문장을 부여받았다. (이 문장은 덴마크 코끼리 기사단의 기사로서 프레데릭스보르 성에 있는 그의 기사패에서 볼 수 있다.) 왕위에 오른 이후, 그는 스웨덴의 대문장을 사용하고 있지만, 왕자 시절에 보유했던 예름틀란드 공작 작위와 여전히 연관되어 있다.
8.3. 국내외 수상 및 영예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이 받은 주요 국내 및 해외의 훈장, 상, 명예 학위 등 다양한 영예는 다음과 같다.
국내
- 구스타프 5세 국왕 90세 탄생 기념 메달
- 구스타프 6세 아돌프 국왕 85세 탄생 기념 메달
- 빅토리아 왕세녀와 다니엘 베스틀링의 결혼 기념 메달
해외
- 아르헨티나: 해방자 산 마르틴 장군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1998)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특급 대성훈장 (1967)
- 벨기에: 레오폴 훈장 대훈장 (1977)
- 브라질: 남십자성 훈장 대목걸이 (2007)
- 브루나이: 브루나이 왕실 왕관 훈장 수훈자 (2004)
- 불가리아: 스타라 플라니나 훈장 새시
- 칠레: 칠레 공로 훈장 목걸이
- 크로아티아: 토미슬라프 국왕 대훈장 대십자 훈장 (2013)
- 덴마크:
- 코끼리 기사단 기사 및 목걸이 (1965년 1월 12일)
- 다네브로 훈장 대사령관 (1975)
- 이집트: 나일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 에스토니아:
- 테라 마리아나 십자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1995)
- 백성성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2011)
- 핀란드: 백장미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1974)
-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 훈장
- 독일:
-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특급 대십자 훈장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가문: 작센에르네스틴 가문 훈장 대십자 기사
- 그리스: 구세주 훈장 대십자 훈장
- 교황청: 비오 9세 기사단 목걸이 기사
- 헝가리: 헝가리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 훈장
- 아이슬란드: 매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공화국 훈장 1등급 (2017)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1991)
- 일본: 국화대훈장 목걸이
- 요르단: 알후세인 빈 알리 훈장 대훈장 및 목걸이
- 라트비아:
- 삼성 훈장 대십자 훈장 및 체인 (1995)
- 비에스투르 훈장 대십자 훈장
- 리투아니아: 비타우타스 대왕 훈장 대십자 훈장 및 황금 사슬 (1995)
- 룩셈부르크: 나사우 가문 황금 사자 훈장 대십자 기사
- 말레이시아: 왕실 왕관 훈장 명예 수훈자 (1996)
- 멕시코: 아즈텍 독수리 훈장 목걸이 (2004)
- 네덜란드:
- 네덜란드 사자 훈장 대십자 기사
- 오라녜 가문 훈장 대십자 기사
- 황금 방주 훈장 사령관
- 노르웨이: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 기사 및 목걸이 (1974)
- 폴란드: 백독수리 훈장 기사
- 포르투갈:
- 성 야고보 검 훈장 대목걸이
- 엔히크 왕자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1987)
- 루마니아: 루마니아의 별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2003)
- 사우디아라비아: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 슬로바키아: 백쌍십자 훈장 1등급
- 슬로베니아: 특출한 공로 훈장 수훈자
- 남아프리카 공화국: 희망봉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1997)
-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수훈자 (2012)
- 스페인:
- 황금양털 기사단 제1,183대 기사 (1983)
- 카를로스 3세 훈장 목걸이 기사
- 태국:
- 라마 5세 훈장 기사 (2003)
- 람키라티 훈장 기사 (2008)
- 튀니지: 공화국 훈장 대훈장
- 튀르키예: 튀르키예 공화국 국가 훈장 목걸이 (2013)
- 우크라이나:
- 자유 훈장 회원 (2008)
- 야로슬라프 현공 훈장 대십자 훈장 및 목걸이
- 공로 훈장 1등급 대장교
- 영국:
- 가터 훈장 외국인 기사 동반자 (1983)
- 왕립 빅토리아 체인 수훈자 (1975년 7월 8일)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대성 훈장 (1976)
수상
해외
- 유엔 평화 메달 (1976)
- 세계 스카우트 연맹: 브론즈 울프상 (1982)
- 일본 스카우트 연맹: 황금 꿩상 (1980)
- 필리핀: 마킬링 산상
8.4. 명예 군직
- 영국 해군 명예 제독 (1975년 6월 25일 임명)
9. 후원 활동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이 후원하거나 지지하는 주요 기관, 단체, 그리고 문화 예술 활동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아프리카 의료 연구 재단 스웨덴(AMREF)
- 알멘나 이드로츠클루벤(AIK)
- 어린이날 전국 연합(Barnens Dags Riksförbund)
- 스웨덴 스포츠 진흥 중앙 협회(Centralföreningen för Idrottens Främjande i Sverige)
- 유르고르덴 향토 협회(Djurgårdens Hembygdsförening)
- 국립박물관 친구들
- 스웨덴 자연사 박물관 친구들
- 스웨덴 야외 활동 협회(Friluftsfrämjandet)
- 아테네 스웨덴 연구소 친구들 협회(Föreningen Svenska Atheninstitutets Vänner)
- 예술가 친구들 협회(Föreningen Konstnärernas Vänner)
- 전 세계 스웨덴인 협회(Föreningen för Svenskar i Världen)
- 미식 아카데미(Gastronomiska Akademien)
- 글로벌 아동 포럼
- 그립스홀름 협회(Gripsholmsföreningen)
- 이드로츠푀레닝엔 캄라테르나(IFK)
- 룬드의 문화(Kulturen i Lund)
- 왕립 자동차 클럽 (스웨덴)
- 왕립 모터보트 클럽(Kungliga Motorbåt Klubben)
- 왕립 스웨덴 항공 클럽
- 왕립 스웨덴 요트 클럽
- 스웨덴 암 협회(Riksföreningen mot Cancer)
- 룬드 왕립 생리학회
- 예테보리 왕립 과학 문학 학회
- 웁살라 왕립 과학 학회
- 왕립 스웨덴 아카데미
- 왕립 스웨덴 농업 및 임업 아카데미
- 왕립 스웨덴 예술 아카데미
- 왕립 스웨덴 공학 과학 아카데미
- 왕립 스웨덴 문학, 역사 및 고고학 아카데미
- 왕립 스웨덴 음악 아카데미
- 왕립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 및 연례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환경 과학 교수직
- 왕립 스웨덴 해군 과학 학회 (1968년 첫 명예 회원)
- 왕립 스웨덴 전쟁 과학 아카데미
- 비스뷔 성벽 보존 캠페인
- 내추럴 스텝 재단
- 드로트닝홀름 궁정 극장 친구들 협회(Stiftelsen Drottningholmsteaterns Vänner)
- 스웨덴 청결 유지 재단(Stiftelsen Håll Sverige Rent)
- 스톡홀름 물 재단
- 스웨덴 국기 재단(Stiftelsen Svenska Flaggan)
- 스웨덴 습지 기금 재단(Stiftelsen Svensk Våtmarksfond)
- 스톡홀름 콘서트홀 재단(Stockholms Konserthusstiftelse)
- 스톡홀름 아카데미 남성 합창단
- 스베아 오르덴(Svea Orden)
- 스웨덴 고고학 학회(Svenska Arkeologiska Samfundet)
- 스웨덴 여성 보조 수의대(Svenska Blå Stjärnan)
- 스웨덴 동물 보호 협회(Svenska Djurskyddsföreningen)
- 스웨덴 사냥 및 야생 동물 관리 협회(Svenska Jägareförbundet)
- 스웨덴 켄넬 클럽(Svenska Kennelklubben)
- 스웨덴 인명 구조 협회 - 수영 진흥회(Svenska Livräddningssällskapet - Simfrämjandet)
- 스웨덴 운동의 날(Svenska Motionsdagen (Korpen Svenska Motionsidrottsförbundet))
- 로마 스웨덴 연구소 친구들 협회(Svenska Rominstitutets Vänner)
- 스웨덴 관광 협회
- 스웨덴 가이드 및 스카우트
- 스웨덴 인류학 및 지리학 학회
- 스웨덴-미국 재단
- 스웨덴 일반 미술 협회(Sveriges Allmänna Konstförening)
- 스웨덴 향토 연합(Sveriges Hembygdsförbund)
- 스웨덴 임업 협회(Sveriges Skogsvårdsförbund)
- 스웨덴 성서 공회
- 스웨덴 식민지 협회
- 스웨덴 라이온스
- 스웨덴 적십자
- 스웨덴 로타리
- 스웨덴 스포츠 연맹
- 오르페이 드렝가르 합창단
- 내추럴 스텝
- 미국-스칸디나비아 재단
- 빌헬름 페테르손베리에르 학회
- 세계 스카우트 재단
- 세계 자연 기금 스웨덴(WWF)
- 동아시아 박물관 친구들(Östasiatiska Museets Vänner)
10. 계보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의 가계와 조상들은 여러 왕가와의 혈연 관계를 보여준다.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의 계보 | |||
---|---|---|---|
1. 칼 16세 구스타프 스웨덴 국왕 | 2.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 | 4.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스웨덴 국왕 | 8. 구스타프 5세 스웨덴 국왕 |
9. 바덴의 빅토리아 공주 | |||
5. 코노트의 마거릿 공주 | 10. 코노트와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
11. 프로이센의 루이즈 마거릿 공주 | |||
3.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지빌라 공주 | 6.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칼 에두아르트 | 12.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 |
13. 발데크와 피르몬트의 헬레네 공주 | |||
7.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빅토리아 아델하이트 공주 | 14.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 ||
15.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의 카롤리네 마틸데 공주 |
11. 평가 및 영향력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의 통치 기간 동안 그가 받은 역사적, 사회적 평가와 그의 활동이 스웨덴 사회 및 국제 사회에 미친 영향력은 복합적이다.
11.1. 긍정적 평가
국왕은 스웨덴의 최고 대표자로서 국가의 상징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당시, 스웨덴 총리가 국왕에게 국정 현안을 제때 보고하지 못해 비판을 받았던 상황에서, 국왕이 2005년 1월 10일 스톡홀름 시청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감동적인 연설을 하여 군주제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회복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는 그의 리더십과 국민과의 소통 능력이 위기 상황에서 빛을 발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국왕은 환경, 기술, 농업,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과 후원 활동을 통해 사회적 기여를 해왔다. 그는 세계 스카우트 재단의 명예 회장으로서 스카우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청소년 교육과 국제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18년 4월 26일, 칼 16세 구스타프는 망누스 4세가 기록했던 44년 222일의 재위 기간을 넘어 스웨덴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군주가 되었다. 2023년에는 그의 즉위 50주년인 골든 주빌리가 스웨덴의 21개 주 순방, 왕궁 만찬, 스톡홀름 시내 마차 행렬 등 다양한 행사로 기념되었다. 2024년 1월 21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는 왕실에 대한 지지율이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특히 빅토리아 왕세녀의 높은 인기가 군주제에 대한 대중의 지속적인 지지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11.2. 비판 및 논란
국왕의 재위 기간 동안 그의 행동, 결정, 발언 등과 관련하여 여러 비판과 사회적 논쟁이 발생했다.
2010년 11월, 칼 구스타프가 불륜을 저지르고 성매매 업소를 드나들었다는 내용의 폭로 서적인 "칼 16세 구스타프 - 마지못해 군주(Carl XVI Gustaf - Den motvillige monarken칼 16세 구스타프 - 덴 모트빌리예 모나르켄스웨덴어)"가 출판되어 논란이 일었다. 2011년 5월에는 누드 여성 두 명과 함께 찍은 사진을 유고슬라비아 출신 갱단을 통해 매수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스캔들이 재점화되었다. 칼 구스타프는 성매매 업소 출입과 은폐 시도에 대한 관여를 부인하며 퇴위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이로 인해 스웨덴 언론에서는 "국왕의 신뢰가 실추되었다"며 퇴위론이 제기되었고, 2011년 중반 여론조사에서는 국왕 지지율이 스캔들 재점화 전 64%에서 44%로 급감했다. 그러나 2011년 12월, 스웨덴 대중지 익스프레센은 문제의 사진이 1976년 실비아 왕비와 함께 TV 프로그램에 출연한 국왕의 사진을 도용하여 성매매 업소 내 누드 여성 사진에 디지털 수정을 가한 것이라고 보도하며, 이전에 갱단이 유명인들을 협박하기 위해 유사한 조작 행위를 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스웨덴 법률상 매춘은 합법이지만 매수는 불법이다.
국왕은 1980년 스웨덴 왕위 계승법에 따른 장자 상속 제도에 대해 강한 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1980년 인터뷰에서 그는 "아들 칼 필립을 계승자로 삼고 싶다"며 "대부분의 스웨덴 국민이 남성 왕이 왕위를 계승하기를 원한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2003년에도 왕실 대변인은 칼 16세가 1980년 계승법에 비판적임을 인정했지만, 반대 이유가 소급 적용 때문이며 현재 상황에 만족한다고 덧붙였다.
2018년부터 2023년 골든 주빌리 기간까지 칼 구스타프와 그의 군주제 발전 방식에 대해 "가장 심각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여기에는 국왕의 거주지, 왕실의 재산 관리, 그리고 '수장(Chefen)'이라는 책에서 다뤄진 권력, 조작, 부의 축적에 대한 비판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빅토리아 왕세녀의 인기에 힘입어 스웨덴 국민들의 군주제에 대한 전반적인 지지는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