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진 윤의 초기 생애는 미국에서의 출생과 캐나다 토론토에서의 성장 과정, 그리고 학업 경험을 포함한다.
1.1. 출생 및 성장 과정
진 윤은 1962년에 미국 일리노이주 샴페인에서 한국계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후 그녀는 토론토로 이주하여 성장했으며, 현재까지 토론토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1.2. 교육
진 윤은 연극 배우로서의 경력을 시작했으나, 역할 찾기의 어려움으로 인해 잠시 활동을 중단하고 토론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Innis 1989)를 취득했다.
2. 경력
진 윤은 연극, 작가 활동, 그리고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에서 폭넓은 경력을 쌓았다.
2.1. 연극 경력
진 윤은 1980년대 초반에 연극 배우로 경력을 시작했으나, 일자리 부족으로 인해 좌절감을 느끼고 잠시 연기를 그만두었다. 1995년에 다시 연기 활동을 시작했으며, 'Loud Mouth Asian Babes'라는 자신만의 극단을 설립했다. 이 극단을 통해 그녀는 주로 캐나다 내 한국 디아스포라에 초점을 맞춘 연극을 쓰고 제작했다.
2.2. 작가 및 극작가 활동
진 윤은 여러 편의 연극, 시, 에세이를 집필한 작가이자 극작가이기도 하다. 그녀의 작품 중 하나인 《요코 오노 프로젝트》(The Yoko Ono Project영어)는 요코 오노의 예술과 영향력을 다룬 멀티미디어 퍼포먼스 아트 코미디로, 도라 메이버 무어 어워드에 노미네이트되었고 제시 리처드슨 어워드를 수상했다.
2.3. 영화 및 텔레비전 경력
2000년대 초반부터 진 윤의 연기 경력은 텔레비전과 영화 분야로 확장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2000년대 초반, 그녀는 여러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작은 역할을 맡으며 경력을 쌓았다. 여기에는 《라 팜므 니키타》(1996~2001), 《위치블레이드》(2000~2002), 《스트리트 타임》(2001~2003) 등이 포함된다. 2006년에는 논란이 된 미니시리즈 《더 패스 투 9/11》에서 승무원 베티 옹 역을 맡아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같은 해, 그녀는 법정 드라마 시리즈 《디스 이즈 원더랜드》에서 준 김 역으로 반복 출연했다.
2007년, 진 윤은 CBC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드래곤 보이즈》에서의 연기로 제미니 어워드에 노미네이트되었다. 2009년에는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 로맨틱 코미디 영화 《시간 여행자의 아내》에서 몬태규 박사 역을 연기했다.
2010년대에 들어서 진 윤은 여러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캐릭터를 연기하며 성공을 이어갔다. 주요 출연작으로는 의학 드라마 시리즈 《레메디》(2014~2015)의 이메나 쿠말로, 애니메이션 시리즈 《페그+캣》(2013~2016)의 코니, 공상 과학 시리즈 《익스팬스》(2015)의 테레사 야오 함장, 그리고 BBC와 스페이스의 인기 시리즈 《오펀 블랙》의 재니스 벡위스 등이 있다.
2.3.1. 《김씨네 편의점》
진 윤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CBC의 시트콤 《김씨네 편의점》에서 김씨 가족의 가모장인 김영미('엄마') 역을 연기했다. 그녀는 이 역할로 2011년 연극 《김씨네 편의점》에서도 주연을 맡았으며, 여섯 개 도시에서 240회 이상 공연했다.
텔레비전 시리즈에서의 역할로 그녀는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주류 미디어에서 아시아계 캐나다인과 이민자들의 다양성 표현의 중요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그녀는 CBC와의 인터뷰에서 "1세대와 2세대 이민자 사이의 세대 갈등은 풍부한 영역이며, 만약 당신이 그것을 겪어봤다면, 웃고 울고, 웃고 울고, 웃고 울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이야기를 전국적인 텔레비전에서 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는 소설과 연극에서 이러한 이야기들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을 보고 있습니다... 아직 탐험되지 않은 영역이라는 인식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곳에는 코미디가 있고, 재능이 있으며, 갑작스러운 관심의 폭발이 있습니다. 하지만 또한 임계 질량의 문제이기도 합니다."라고 말했다.
《김씨네 편의점》에서의 역할로 진 윤은 ACTRA상을 수상했으며,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 코미디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에 다섯 차례 노미네이트되었고, 2022년 제10회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에서 수상했다. 그녀는 이 쇼의 전체 다섯 시즌 동안 해당 역할을 맡았다.
3. 수상 및 평가
진 윤은 배우이자 작가로서 다양한 수상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녀는 《김씨네 편의점》에서의 '엄마' 역할로 ACTRA상을 수상하고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 코미디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또한, 제미니 어워드와 도라 메이버 무어 어워드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요코 오노 프로젝트》로 제시 리처드슨 어워드를 받았다. 그녀는 특히 아시아계 캐나다인과 이민자들의 미디어 내 다양성 증진에 대한 공개적인 발언으로 대중과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4. 개인사
진 윤에게는 아들이 있으며, 2017년 《나우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을 "연기하는 엄마"라고 표현하며 배우로서의 삶과 개인적인 삶의 균형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5. 외교 활동
2022년 12월, 진 윤은 전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인 김연아와 함께 2023년 캐나다-대한민국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명예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6. 영화 출연작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06 | 《카우 벨즈》 | 코린 | |
2009 | 《시간 여행자의 아내》 | 몬태규 박사 | |
2013 | 《엠파이어 오브 더 더트》 | 테스 | |
2013 | 《웨딩 팰리스》 | 미숙 | |
2016 | 《파열》 | 콜레트 | |
2020 | 《녹턴 폴스》 | 휘트니 | 단편 영화 |
2021 | 《더 보이어스》 | 사토 박사 | |
2024 | 《코드 8: 파트 II》 | 미나 | |
《다키스트 미리암》 | 아이린 프렌클 |
7. 텔레비전 출연작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98 | 《라 팜므 니키타》 | 잉 캄 | 에피소드: "Not Was" |
2001-2002 | 《위치블레이드》 | 검시관 조수 | 에피소드: "Emergence" (2002), "Sacrifice" (2001) |
2002 | 《스트리트 타임》 | 휘트셀 박사 | 에피소드: "The Truth Hurts... Bad" |
2002-2003 | 《오디세이 5》 | 린 첸 박사 | 에피소드: "Skin", "The Vanishing Point" |
2005-2006 | 《디스 이즈 원더랜드》 | 준 김 | 반복 출연 |
2006 | 《더 패스 투 9/11》 | 베티 옹 | |
2007 | 《드래곤 보이즈》 | 벨린다 록 | |
2009 | 《빙 에리카》 | 리 부인 | 에피소드: "Cultural Revolution" |
2012 | 《리틀 모스크 온 더 프레리》 | 세입자 | 에피소드: "The Worst of Times" |
2014 | 《레메디》 | 이메나 쿠말로 | 반복 출연 |
2015 | 《익스팬스》 | 테레사 야오 함장 | 에피소드: "CQB", "Remember the Cant" |
2013-2016 | 《오펀 블랙》 | 재니스 벡위스 | 반복 출연 |
《페그+캣》 | 코니 | 주연 | |
2017 | 《다크 매터》 | 하옉 박사 | 에피소드: "It Doesn't Have To Be Like This" |
2018 | 《인 컨템프트》 | 핑크너 판사 | 2개 에피소드 |
2019 | 《스트리트 리갈》 | 메르세데스 오르 | 에피소드: "Leap" |
2016-2021 | 《김씨네 편의점》 | 김영미 (엄마) | 주연 |
2021 | 《널스》 | 윌로우 첸 | 에피소드: "A Thousand Battles" |
2023 | 《돌로레스 로치 호러》 | 조이 | 4개 에피소드 |
8. 외부 링크
- [https://www.imdb.com/name/nm1050153/ IMDb]
- [https://x.com/jean_yoon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