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 경력
지미 파레디스는 미국, 일본,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를 거치며 다양한 팀에서 활약했다. 그의 프로 경력은 주로 내야수와 외야수 포지션을 오가며 이루어졌으며, 스위치 히터로서의 타격 능력을 선보였다.
1.1. 미국 프로야구 (MLB)
지미 파레디스는 2011년 휴스턴 애스트로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한 이후 여러 팀을 거치며 활약했다.
1.1.1. 뉴욕 양키스 산하 시절
파레디스는 2006년 7월 2일 뉴욕 양키스와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로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07년 도미니칸 서머 양키스 1에서 프로 데뷔를 했고, 2008년에는 걸프 코스트 리그 양키스 소속으로 미국 무대에 첫선을 보였다. 당시 47경기에서 타율 .280, 출루율 .328, 장타율 .379를 기록하며 1홈런, 15타점, 6도루를 기록했다. 2009년에는 로우-A 뉴욕-펜 리그의 스태튼아일랜드 양키스에서 뛰며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54경기에서 타율 .302와 23도루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싱글-A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의 찰스턴 리버독스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1.1.2.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0년 7월 31일 트레이드 마감 시한에 파레디스는 마크 멜란슨과 함께 휴스턴 애스트로스로 트레이드되었고, 그 대가로 랜스 버크먼이 양키스로 이적했다. 애스트로스 이적 후 싱글-A 렉싱턴 레전즈에 배정되었다. 2010년 11월 19일, 애스트로스는 룰 5 드래프트로부터 파레디스를 보호하기 위해 그를 40인 로스터에 포함시켰다. 2011 시즌을 앞두고 연봉 41.40 만 USD에 1년 계약을 체결했다. 2011 시즌은 더블-A 텍사스 리그의 코퍼스 크리스티 훅스에서 시작했으며, 2루수와 3루수를 오가며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당시 타율 .271, 29도루, 41타점을 기록했다.
2011년 8월 1일, 애스트로스는 부진하던 크리스 존슨을 대신해 파레디스를 메이저 리그로 승격시켰고, 그는 3루수로 출전했다. 메이저 리그 첫 타석에서 2타점 3루타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첫 메이저 리그 타석에서 3루타를 친 선수가 되었다. 2012년에는 애스트로스에서 2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189, 출루율 .244, 장타율 .230을 기록했으며 3타점과 2도루를 올렸다. 다음 시즌인 2013년에는 4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192, 출루율 .231, 장타율 .248에 1홈런, 10타점, 4도루를 기록했다.

1.1.3. 캔자스시티 로열스
2013 시즌 후 애스트로스는 파레디스를 40인 로스터에서 제외하고 웨이버 공시했다. 2013년 11월 4일 마이애미 말린스가 그를 영입했으나, 2014년 2월 7일 지명 할당되었다.
이후 2월 15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의해 다시 웨이버 공시에서 영입되었고, 2월 17일에는 캔자스시티 로열스가 그를 영입하며 짧은 기간 동안 여러 팀을 오갔다. 로열스 소속으로 트리플-A 오마하 스톰 체이서스에서 뛰던 2014년 5월 28일,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며 8타점을 올리는 인상적인 경기를 펼쳤다. 오마하에서 6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05, 출루율 .332, 장타율 .457, 5홈런, 36타점, 17도루를 기록했다. 로열스에서는 9경기에 출전해 타율 .200, 2도루를 기록했다. 2014년 7월 16일, 로열스가 제이슨 프레이저를 트레이드로 영입하면서 파레디스는 다시 지명 할당되었다.
1.1.4.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4년 7월 24일, 파레디스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의해 다시 웨이버 공시에서 영입되었다. 9월 12일에는 뉴욕 양키스 투수 애덤 워렌을 상대로 자신의 첫 끝내기 안타인 2루타를 터뜨리며 팀의 2대1 승리를 이끌었다.

2015 시즌을 앞두고 파레디스는 오리올스의 25인 로스터에 들 유력 후보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매우 인상적인 스프링 트레이닝을 보냈다. 당시 타율 .364, 출루율 .368, 장타율 .636에 7개의 2루타, 1개의 3루타, 2홈런, 12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초 부상자 명단에 잠시 올랐다가 2015년 4월 18일 오리올스 로스터에 복귀했다.
2015년 7월 20일까지 파레디스는 타율 .294, 출루율 .326, 장타율 .463에 10홈런, 39타점을 기록하며 뜨거운 타격감을 보였다. 하지만 시즌 막판에는 타격감이 급격히 식었다. 최종적으로 10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5, 출루율 .310, 장타율 .416을 기록했으며, 10홈런, 42타점, 17개의 2루타, 2개의 3루타, 46득점, 정확히 100안타를 기록했다. 2015년에는 주로 지명 타자로 81경기에 출전했고, 11경기는 대타, 8경기는 3루수, 6경기는 2루수, 2경기는 우익수, 1경기는 대주자와 좌익수로 출전하며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1.5.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6년 5월 16일, 파레디스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에 의해 웨이버 공시에서 영입되었다. 하지만 5월 30일 다시 지명 할당되었다. 블루제이스 소속으로는 7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7, 1홈런, 2타점을 기록했다.

1.1.6. 필라델피아 필리스
2016년 6월 1일, 파레디스는 현금 또는 추후 지명 선수를 대가로 필라델피아 필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필리스 소속으로 76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7, 출루율 .242, 장타율 .350에 4홈런, 17타점을 기록했다. 10월 7일,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어 트리플-A 리하이 밸리 아이언피그스로 이적했다. 10월 10일 자유 계약 선수를 선언했다.

1.2. 일본 프로야구 (NPB)
2017년 1월 5일, 파레디스는 일본 프로 야구의 지바 롯데 마린스와 1년, 연봉 120.00 만 USD에 계약을 체결했다. 등번호는 42번을 배정받았다. 오픈전에서는 타율 .304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3월 31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개막전에서 4번 지명 타자로 출전하며 일본 무대에 데뷔했다. 첫 타석에서는 직선타로 물러났지만, 7회에 와다 쓰요시를 상대로 좌전 안타를 기록하며 첫 안타를 신고했다.
4월 16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전에서 희생 플라이로 첫 타점을 기록했고, 5월 14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에서 첫 도루를 성공시켰다。 5월 17일 세이부 라이온스전에서는 다무라 이치로를 상대로 우월 솔로 홈런을 터뜨리며 첫 홈런을 기록했다. 6월 14일 경기 3번째 타석부터 6월 15일 경기 2번째 타석까지 3타석 연속 홈런을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올스타전 이후인 7월 17일 오릭스 버펄로스전 첫 타석부터 7월 30일 세이부 라이온스전 3번째 타석까지 30타수 무안타(2사사구 포함 총 32타석)의 극심한 부진에 빠져 7월 31일 등록이 말소되었다. 8월 30일 1군에 재등록된 후 복귀 2번째 타석에서 홈런을 기록했고, 이토 쓰토무 감독의 마지막 홈 경기에서 역전 3점 홈런을 터뜨리기도 했다. 2017 시즌 총 8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9, 출루율 .270, 장타율 .364에 10홈런, 26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12월 2일 자유 계약 선수로 공시되었다.
1.3. 한국 프로야구 (KBO)
2017년 12월 1일, 파레디스는 KBO 리그의 두산 베어스와 계약금 10.00 만 USD, 연봉 70.00 만 USD 등 총 80.00 만 USD에 계약을 맺었다. 그의 등록명은 '파레디스'였고 등번호는 44번이었다.
2018년 삼성 라이온즈와의 개막전에서 한국 무대 첫 안타를 기록했으며, 다음 날에는 첫 홈런을 터뜨리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부진에 빠져 2군으로 강등되었다. 5월 20일 1군에 복귀했으나 21타수 2안타, 타율 .095로 반등하지 못했다. 결국 6월 1일 성적 부진으로 인해 웨이버 공시되며 두산 베어스에서 방출되었다. 그는 2018 시즌 KBO 리그에서 가장 먼저 방출된 외국인 선수가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두산 베어스에서의 통산 기록은 20경기에 출전하여 9안타, 1홈런, 4타점, 1도루였다. 파레디스의 대체 외국인 선수로는 스캇 반 슬라이크가 영입되었다.
1.4. 독립 리그
파레디스는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한국 프로 야구 경력 이후에도 미국 독립 리그에서 꾸준히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 랭커스터 반스토머스**: 2018년 7월 23일, 애틀랜틱 리그의 랭커스터 반스토머스와 계약했다. 2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63, 출루율 .395, 장타율 .513에 3홈런, 14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 서머셋 패트리어츠**: 2019년 3월 19일, 같은 애틀랜틱 리그의 서머셋 패트리어츠로 트레이드되었다. 6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5, 출루율 .303, 장타율 .470에 13홈런, 45타점, 6도루를 기록했다. 2020 시즌에도 재계약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시즌이 취소되었다.

- 웨스트버지니아 파워**: 2021년 3월 5일, 애틀랜틱 리그의 웨스트버지니아 파워와 계약했다. 32경기에서 타율 .317, 출루율 .433, 장타율 .529에 5홈런, 20타점을 기록한 후 7월 9일 방출되었다.
- 토로스 데 티후아나**: 2021년 7월 18일, 멕시칸 리그의 토로스 데 티후아나와 계약했다. 티후아나에서 1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40, 출루율 .389, 장타율 .520에 2홈런, 4타점을 기록했으나 8월 11일 방출되었다.
- 웨스트버지니아 파워 (두 번째 stint)**: 2021년 8월 19일, 애틀랜틱 리그의 웨스트버지니아 파워와 재계약했다. 웨스트버지니아에서 총 7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08, 출루율 .381, 장타율 .563에 17홈런, 68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 와일드 헬스 게놈스**: 2022년 2월 7일, 애틀랜틱 리그의 와일드 헬스 게놈스와 계약했다. 106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83, 출루율 .345, 장타율 .493에 18홈런, 68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 스파이어 시티 고스트 하운즈**: 2023년 2월 27일, 애틀랜틱 리그의 스파이어 시티 고스트 하운즈와 계약했다. 7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59, 출루율 .306, 장타율 .485에 18홈런, 50타점, 5도루를 기록했다. 9월 9일 고스트 하운즈에서 방출되었다.
- 스태튼아일랜드 페리호크스**: 2024년 4월 9일, 애틀랜틱 리그의 스태튼아일랜드 페리호크스와 계약했다. 4경기에서 13타수 3안타(타율 .231)를 기록했으며 홈런이나 타점은 없었다.
2. 선수로서의 특징
지미 파레디스는 스위치 히터로서 양쪽 타석에서 타격이 가능하며, 프로 경력 동안 다양한 수비 포지션을 소화하며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가치를 입증했다.
2.1. 타격
파레디스는 스위치 히터이지만, 메이저 리그에서는 주로 우완 투수를 상대로 좌타석에 들어서는 경우가 많았다. 본인은 "좌타석에서 더 파워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2. 수비
프로 데뷔 초에는 주로 2루수와 3루수로 기용되었으나, 2012년경부터 외야수로서의 출전이 늘어났다. 지바 롯데 마린스 입단 초기에는 주로 지명 타자로 출전했지만, 시즌 중 윌리 모 페냐가 지명 타자로 합류하면서 메이저 리그와 마이너 리그에서 경험이 없던 1루수로 기용되기도 했다. 또한 좌익수와 우익수 포지션도 소화했다.
3. 기록 및 경력 요약
지미 파레디스의 주요 기록과 연도별 성적, 그리고 선수 생활 동안 착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3.1. 연도별 성적
연 도 | 시 합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루 타 | 타 점 | 도 루 | 도 루 실패 | 희 생 번 트 | 희 생 플 라이 | 볼 넷 | 고 의 사 구 | 사 구 | 삼 진 | 병 살 타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
---|---|---|---|---|---|---|---|---|---|---|---|---|---|---|---|---|---|---|---|---|---|---|---|---|
2011 | HOU | 46 | 179 | 168 | 16 | 48 | 8 | 2 | 2 | 66 | 18 | 5 | 4 | 1 | 1 | 9 | 0 | 0 | 47 | 3 | .286 | .320 | .393 | .713 |
2012 | 24 | 82 | 74 | 7 | 14 | 1 | 1 | 0 | 17 | 3 | 2 | 1 | 0 | 2 | 6 | 0 | 0 | 21 | 0 | .189 | .244 | .230 | .474 | |
2013 | 48 | 135 | 125 | 8 | 24 | 4 | 0 | 1 | 31 | 10 | 4 | 4 | 1 | 2 | 6 | 0 | 1 | 44 | 1 | .192 | .231 | .248 | .479 | |
2014 | KC | 9 | 10 | 10 | 3 | 2 | 0 | 0 | 0 | 2 | 0 | 2 | 0 | 0 | 0 | 0 | 0 | 0 | 3 | 0 | .200 | .200 | .200 | .400 |
BAL | 18 | 55 | 53 | 9 | 16 | 4 | 0 | 2 | 26 | 8 | 2 | 0 | 0 | 0 | 2 | 0 | 0 | 13 | 1 | .302 | .327 | .491 | .818 | |
'14 합계 | 27 | 65 | 63 | 12 | 18 | 4 | 0 | 2 | 28 | 8 | 4 | 0 | 0 | 0 | 2 | 0 | 0 | 16 | 1 | .286 | .308 | .444 | .752 | |
2015 | 104 | 384 | 363 | 46 | 100 | 17 | 2 | 10 | 151 | 42 | 4 | 4 | 0 | 2 | 19 | 0 | 0 | 111 | 8 | .275 | .310 | .416 | .726 | |
2016 | TOR | 7 | 17 | 15 | 2 | 4 | 1 | 0 | 1 | 8 | 2 | 0 | 0 | 0 | 0 | 2 | 0 | 0 | 8 | 0 | .267 | .353 | .533 | .886 |
PHI | 76 | 150 | 143 | 13 | 31 | 7 | 0 | 4 | 50 | 17 | 0 | 1 | 1 | 1 | 5 | 0 | 0 | 50 | 0 | .217 | .242 | .350 | .591 | |
'16 합계 | 83 | 167 | 158 | 15 | 35 | 8 | 0 | 5 | 58 | 19 | 0 | 1 | 1 | 1 | 7 | 0 | 0 | 58 | 0 | .222 | .253 | .367 | .620 | |
2017 | 지바 롯데 | 89 | 289 | 269 | 31 | 59 | 9 | 0 | 10 | 98 | 26 | 1 | 0 | 0 | 1 | 16 | 0 | 3 | 97 | 5 | .219 | .270 | .364 | .634 |
2018 | 두산 | 20 | 67 | 61 | 7 | 9 | 2 | 1 | 1 | 16 | 4 | 1 | 0 | 0 | 1 | 4 | 1 | 1 | 15 | 0 | .148 | .209 | .262 | .471 |
MLB 6년 | 332 | 1012 | 951 | 104 | 239 | 42 | 5 | 20 | 351 | 100 | 19 | 14 | 3 | 8 | 49 | 0 | 1 | 287 | 13 | .251 | .286 | .369 | .656 | |
NPB 1년 | 89 | 289 | 269 | 31 | 59 | 9 | 0 | 10 | 98 | 26 | 1 | 0 | 0 | 1 | 16 | 0 | 3 | 97 | 5 | .219 | .270 | .364 | .634 | |
KBO 1년 | 20 | 67 | 61 | 7 | 9 | 2 | 1 | 1 | 16 | 4 | 1 | 1 | 0 | 1 | 4 | 1 | 1 | 15 | 0 | .148 | .209 | .262 | .471 |
3.2. 주요 기록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첫 타석 2타점 3루타 (휴스턴 애스트로스 구단 역사상 최초)
- 끝내기 안타 (2014년 9월 12일, 뉴욕 양키스전, 2루타)
- 사이클링 히트 (2014년 5월 28일, 트리플-A 오마하 스톰 체이서스 소속, 8타점 동반)
- 일본 프로 야구 첫 출장 및 첫 선발 출장: 2017년 3월 31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차전 (후쿠오카 야후 돔), 4번 지명 타자로 선발 출장
- 일본 프로 야구 첫 타석: 2017년 3월 31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차전, 2회초 와다 쓰요시에게 직선타
- 일본 프로 야구 첫 안타: 2017년 3월 31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차전, 7회초 와다 쓰요시에게 좌전 안타
- 일본 프로 야구 첫 타점: 2017년 4월 16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3차전 (ZOZO 마린 스타디움), 8회말 마키타 가즈히사에게 우익수 희생 플라이
- 일본 프로 야구 첫 도루: 2017년 5월 14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9차전 (도쿄 돔), 2회초 2루 도루 (투수: 루이스 멘도사, 포수: 오노 쇼타)
- 일본 프로 야구 첫 홈런: 2017년 5월 17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8차전 (ZOZO 마린 스타디움), 9회말 다무라 이치로에게 우월 솔로 홈런
- 한국 프로 야구 첫 안타: 2018년 3월 24일, 대 삼성 라이온즈 개막전
- 한국 프로 야구 첫 홈런: 2018년 3월 25일, 대 삼성 라이온즈전
3.3. 등번호
- 38 (2011년 ~ 2013년, 2014년 중반 ~ 2015년) - 휴스턴 애스트로스, 볼티모어 오리올스
- 32 (2014년 ~ 2014년 중반) - 캔자스시티 로열스
- 37 (2016년 ~ 2016년 중반) - 토론토 블루제이스
- 41 (2016년 중반 ~ 2016년 말) - 필라델피아 필리스
- 42 (2017년) - 지바 롯데 마린스
- 44 (2018년 ~ 2018년 중반) - 두산 베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