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Education
주세페 시노폴리는 1946년 11월 2일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공부했지만, 부모의 바람에 따라 의학을 전공하게 되었다.
1.1. Academic and Musical Background
시노폴리는 베네치아의 베네데토 마르첼로 음악원에서 에르네스토 루빈 데 체르빈에게 작곡을 배웠으며, 동시에 파도바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여 신경정신과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는 정신과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범죄 인류학에 대한 논문을 완성하기도 했다. 마르첼로 음악원 재학 시절, 그는 브루노 마데르나의 영향을 받아 현대 음악에 깊이 몰두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다름슈타트에서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과 마데르나의 지도 아래 작곡을 심화 학습했으며, 빈 국립음악대학교에서는 한스 스바로프스키와 카를 외스터라이허에게 지휘를 사사했다. 훗날 그는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서 고고학 학위도 취득했으며, 그의 논문 발표는 장례식 당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2. Career
시노폴리는 작곡가로서 현대 음악 분야에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이후 세계적인 지휘자로 명성을 쌓았다.
2.1. Early Professional Activities and Compositions
1972년 시노폴리는 베네치아 베네데토 마르첼로 음악원의 현대 및 전자 음악 교수로 임용되었다. 그는 현대 음악을 위한 '새로운 베네치아 악파' 운동의 주요 주창자 중 한 명이었다. 1975년에는 스승의 이름을 따서 브루노 마데르나 앙상블을 창설하여 현대 음악 연주에 전념했으며, 이를 통해 지휘자로서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곡 작품은 오페라 《루 살로메》로, 1981년 뮌헨에서 카란 암스트롱이 주연을 맡아 초연되었다.
2.1.1. Major Compositions
주세페 시노폴리의 주요 작곡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신탁극 (Sintassi Teatrali, 1968년): "알크만의 프라그멘토 n. 48", "사포의 프라그멘토 n.2-4-80",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서 스타시모 IV와 엑소도"
- 경험 (Erfahrungen, 1968년)
- 3개 매개변수에 대한 5개 연구, 전자 음악 (5 studi su 3 parametri, musica elettronica, 1969년)
- 아날로그 계산기를 위한 음악, 전자 음악 (Musica per calcolatori analogici, musica elettronica, 1969년)
- 피아노를 위한 구조 (Strutture per pianoforte, 1969년 8월 31일)
- 수냐타, 크리다야 수트라 텍스트에 기반한 소프라노와 현악 5중주를 위한 변주곡이 있는 테마 (Sunyata, Thema con varianti per soprano e quintetto d'archi su testo di Kridaya Sutra, 1970년)
- 하프시코드와 플루트를 위한 '그리고 하나도 없는' (Numquid et unum per clavicembalo e flauto, 1970년)
- 등리듬, 전자 음악 (Isoritmi, musica elettronica, 1971년)
- 오케스트라를 위한 오푸스 달레스 (Opus Daleth per orchestra, 1971년)
-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오푸스 기멜 (Opus Ghimel per orchestra da camera, 1971년)
- 메조소프라노와 악기를 위한 오푸스 쉬르 (Opus Schir per mezzosoprano e strumenti su liriche di Rolando Damiani, 1971년)
-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 오보에 다모레를 위한 '있을까' (Numquid per oboe, corno inglese, oboe d'amore, 1972년)
- 피아노, 하프시코드, 첼레스타를 위한 헤클레폰 (Hecklephon per pianoforte, clavicembalo e celesta, 1972년)
- 하프시코드를 위하여 (Per clavicembalo, 1972년)
- 등리듬 II - 볼트, 전자 음악 (Isoritmi II - Volts, musica elettronica, 1972년)
- 독창 성부, 백인 성부 10명, 3개 합창단, 3개 오케스트라를 위한 상상의 교향곡 (Symphonie imaginaire per voci soliste, 10 voci bianche, 3 cori e 3 orchestre, 1973년)
- 피아노 소나타 (Klaviersonate per pianoforte, 1977년)
-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피아노 협주곡 (Klavierkonzert per pianoforte e orchestra, 1974년)
- 2명의 소프라노, 카운터테너, 오케스트라를 위한 추억 (Souvenirs à la mémoire per 2 soprani, controtenore e orchestra, 1974년)
- 오케스트라를 위한 베네치아의 책을 위하여 (Pour un livre à Venise per orchestra, 1975년)
- 아르모르의 무덤 I, 오케스트라를 위하여 (Tombeau d'Armor I per orchestra, 1976년)
- 아카펠라 합창단을 위한 레퀴엠 하쉬쉬림 (Requiem Hashshirim per coro a cappella, 1976년)
- 고고학 도시 레퀴엠, 오케스트라를 위하여 (Archeology City Requiem per orchestra, 1976년)
- 아르모르의 무덤 II, 대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하여 (Tombeau d'Armor II per grande orchestra, 1977년)
- 아르모르의 무덤 III,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하여 (Tombeau d'Armor III per violoncello e orchestra, 1977년)
- 현악 4중주를 위한 4중주 (Quartetto per quartetto d'archi, 1977년)
- 피아노, 관악기, 타악기, 하프, 첼레스타, 하프시코드를 위한 실내 협주곡 (Kammerkonzert per pianoforte, fiati, percussioni, arpa, celesta e clavicembalo, 1977-78년)
- 루 살로메, 극 오페라, 카를 디트리히 그레베 대본 (Lou Salomé, opera teatrale, libretto di Karl Dietrich Gräwe, 1981년)
2.2. Major Conducting Engagements

시노폴리는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을 역임했으며, 1984년에는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로 임명되어 1994년까지 그 자리를 지켰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에드워드 엘가와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전곡을 포함한 많은 녹음 작업을 필하모니아와 함께 진행했다. 1987년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 함께 일본을 방문했을 때, 그는 도호 가쿠엔 대학 오케스트라와 함께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운명의 힘》 서곡에 대한 비공개 수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 수업의 녹음은 당시 발매된 시노폴리의 《운명의 힘》 전곡 앨범 초회판에 첨부되었다.
1990년 베를린 도이체 오퍼의 상임 지휘자직을 맡기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임기 시작 직전에 계약을 철회했다. 1992년부터는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의 수석 지휘자로 활동하며 사망하기 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또한 바이로이트 축제의 주요 지휘자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 그는 바그너, 베르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말러, 신 빈 악파에 이르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 음악에 특화되었으며, 특히 이탈리아 작곡가들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에 대한 강렬하고 때로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해석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3. Musical Philosophy and Interpretive Style
주세페 시노폴리의 음악적 해석은 그의 의학(정신과) 및 인류학 연구 배경과 깊은 지적 탐구에서 비롯되었다. 그의 지휘는 종종 '학구적'이거나 '현학적'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음악 해석에 정신의학적 관점을 적용하려는 시사를 보여주는 발언이나 독특한 접근 방식은 열렬한 추종과 동시에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교향곡 분야에서는 그의 해석을 '기이하다'고 비난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지적이고 통찰력 있는 접근 방식에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이러한 다양한 관점은 그의 지휘가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독창성과 깊이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4. Other Interests and Activities
시노폴리는 음악 외적으로도 폭넓은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중동과 근동의 고대 역사에 매료되어 이러한 배경을 가진 오페라, 예를 들어 베르디의 《아이다》와 《나부코》 지휘를 즐겼다. 그는 이집트어와 그리스어를 포함하여 7개 국어에 능통했으며, 여러 나라를 오가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시노폴리는 저서도 남겼는데, 그 중 하나는 《시노폴리 컬렉션의 그리스 도자기 명작 (Masterpieces of Greek Ceramics from the Sinopoli Collection)》이다. 1995년에는 대한민국의 세종문화회관에서 첫 내한 공연을 열기도 했다.
5. Death
주세페 시노폴리는 2001년 4월 20일 54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그는 베를린의 베를린 도이체 오퍼에서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를 지휘하던 중 심근경색으로 쓰러졌다. 사건은 3막의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이중창 도중에 발생했으며, 그는 지휘봉을 떨어뜨리며 무대에서 의식을 잃었다. 시노폴리는 즉시 베를린의 독일 심장 센터로 옮겨졌지만, 결국 사망 선고를 받았다. 이 공연은 도이체 오퍼의 총감독이었던 괴츠 프리드리히의 추모를 위한 자리이자, 시노폴리에게는 화해의 의미를 담은 출연이 될 예정이었다.
그의 사망 이틀 후인 4월 22일, 마르첼로 비오티가 《아이다》 지휘를 맡아 시노폴리를 추모했다. 4월 23일 로마에서 열린 그의 장례식에는 이탈리아의 대통령과 총리뿐만 아니라 라 스칼라 오페라단 관계자 등 많은 인파가 참석했다. 그는 2002년부터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의 음악 총감독으로 부임할 예정이었으나, 안타깝게도 그 꿈을 이루지 못했다. 그의 마지막 녹음 작품으로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낙소스의 아리아드네》와 《평화의 날》, 그리고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스타바트 마테르》 등이 있다.
6. Legacy and Reception
주세페 시노폴리는 그의 독특한 지휘 해석과 폭넓은 학문적 관심으로 음악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6.1. Critical and Positive Reception
그의 지휘 해석은 종종 '기이함'이라는 비판적 시각을 받았지만, 동시에 그의 '통찰력 있는 지적 접근'이라는 긍정적 평가도 존재했다. 이러한 상반된 평가는 시노폴리가 단순히 악보를 따라 연주하는 것을 넘어, 작품에 대한 깊은 사색과 정신과 의사로서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해석을 시도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특히 구스타프 말러, 리하르트 바그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자코모 푸치니 등 독일과 이탈리아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들의 관현악곡 및 오페라에서 두드러졌다. 그는 독일어를 거의 모국어처럼 구사했으며, 이는 《루 살로메》와 같은 독일어 오페라 작곡에 기여했다.
6.2. Influence and Commemoration
2005년 10월부터 타오르미나 아르테는 시노폴리를 기리기 위해 매년 주세페 시노폴리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시노폴리는 1989년부터 1997년까지 타오르미나 페스티벌 음악 부문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기에, 이 페스티벌은 그를 단순한 음악가나 지휘자를 넘어 작곡가, 의사, 고고학자, 지식인으로서 조명한다. 페스티벌에서는 음악, 문학, 연극, 미술 등 다양한 분야의 행사뿐만 아니라 학술 회의, 전시회, 출판물 발표, 콘서트 등을 선보인다. 매년 중요한 오케스트라들이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페스티벌에 참여한다.
2005년 제1회 주세페 시노폴리 페스티벌을 기념하여 메시나의 "아르칸젤로 코렐리" 음악원과 협력하여 시노폴리 실내 오케스트라가 창단되었다. 이 오케스트라는 음악원의 재능 있는 학생들과 교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시노폴리의 작품을 연주한다.
7. Honors
주세페 시노폴리는 이탈리아 공화국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다.
- 1994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2등급 (Grande Ufficiale OMRI이탈리아어)
- 1998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1등급 (Cavaliere di Gran Croce OMRI이탈리아어)
8. External Links
- [https://www.allmusic.com/artist/q5796 AllMusic]
- [https://web.archive.org/web/20070821055318/http://www.sinopolifestival.it/home.asp?Lang=2 주세페 시노폴리 페스티벌 공식 웹사이트]
- [http://www.bruceduffie.com/sinopoli2.html 주세페 시노폴리 인터뷰], 1986년 9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