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반 및 교육
이나다 에츠코는 1924년 2월 8일 오사카부오사카시의 이나다 시계점 막내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1932년 8세의 나이에 나가이 야스미 코치에게 스케이팅 지도를 받기 시작하며 일찍이 재능을 꽃피웠다. 이후 바이카 고등여학교를 졸업하고 전문학교에서 영어를 공부했다.
2. 스케이팅 경력
이나다 에츠코는 일본 피겨스케이팅의 황금기를 이끌며 여러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2.1. 전전 경력 및 올림픽 데뷔
이나다 에츠코는 1933-34 시즌 전일본 피겨스케이팅 주니어 선수권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듬해인 1934-35 시즌에는 전일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에서 우승하며 첫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다. 1935년 11월 열린 일본 대표 선발전에서는 총점 1745.3점을 기록하며 2위인 도고 다마코를 300점 이상 크게 앞서 우승했다. 당시 언론은 그녀의 컴펄서리 피겨와 프리 스케이팅이 남자 선수들을 훨씬 능가하는 고득점이었으며, 특히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턴을 구사하는 능력이 남자 선수들조차 따라오지 못할 정도라고 극찬했다. 대표팀 발탁 소식을 들은 이나다는 "저는 소냐 헤니 언니만 무서워요"라고 말하며 세계적인 선수에 대한 존경심과 자신감을 동시에 드러냈다.

1936년 1월, 이나다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에 출전하여 당시 독일의 총통아돌프 히틀러와 악수하는 경험을 했다. 같은 해 2월, 이나다는 12세의 나이로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린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종목에 일본 대표로 참가했다. 이는 2020년 현재까지도 일본인 올림픽 최연소 출전 기록(하계 및 동계 올림픽 통틀어)으로 남아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유일한 일본인 여자 선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크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이나다는 일본 여자 피겨스케이팅의 선구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나다는 이 대회에서 베를린 주재 일본인 여성 협회에서 선물 받은 의상을 착용했다. 흰색 스커트에 빨간색 카네이션이 장식된 이 의상을 입고 독일 군대 행진곡에 맞춰 연기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그녀의 올림픽 의상은 현재 지치부노미야 기념 스포츠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박물관 개관 당시 기증된 후 이나다의 생전 소원에 따라 가슴의 일장기 아플리케와 카네이션이 당시와 거의 동일하게 복원 및 추가되었다. 이나다는 이 대회에서 26명의 선수 중 10위를 기록했지만, 이 대회에서 우승하며 3연패를 달성한 노르웨이의 소냐 헤니는 "머지않아 반드시 이나다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나다는 연습하는 헤니의 모습을 보고 동경했으며, 훗날 오슬로에 있는 헤니의 자택을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올림픽 출전 당시에도 스피드 스케이팅 대표 난도 구니오와 함께 경기를 관람하러 온 아돌프 히틀러와 다시 한번 악수를 나눴다. 개회식 때 히틀러는 신장 127 cm의 이나다를 보고 측근에게 "저 작은 소녀는 무엇을 하러 여기에 와 있는가?"라고 물었다고 전해진다.
올림픽 직후인 3월, 이나다는 프랑스파리에서 개최된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10위를 기록했다. 그녀는 1937년부터 1941년까지 전일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여자 싱글 부문에서 5연패를 달성했으며, 이 기록은 1977년 와타나베 에미가 6연패를 달성하기 전까지 일본 최고 기록이었다. 1938년에는 작곡가 하시모토 구니히코가 이나다의 활약을 기려 행진곡 '즐거운 스케이터'를 작곡했고, 월터 페터스의 왈츠 '떠오르는 태양'과 함께 음반으로 발매되어 빅터 레코드를 통해 판매되기도 했다.
이나다는 1940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의 유력한 출전 선수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중일 전쟁의 장기화 등 국제 정세 악화로 인해 일본이 1938년에 삿포로 올림픽 개최권을 반납하면서, 그녀의 두 번째 올림픽 출전 기회는 사라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만주로 위문 공연을 가 얼어붙은 강 위에서 스케이트를 탔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1945년 종전 당시에는 나라현으로 피난해 있었으며, 종전 이듬해에 결혼했다.
2.2. 전후 복귀 및 후기 경력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이나다 에츠코는 1949년 선수로 복귀했으나, 사생활에서는 이혼을 겪는 어려움도 있었다. 복귀 직후 그녀는 1949년 전일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직전에 열린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나, 전국 선수권 대회 자체는 기온 상승으로 날씨가 너무 따뜻해져 취소되었다.
1951년에는 7번째 전일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여자 싱글 우승을 차지하며, 이탈리아에서 열린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아리사카 류스케와 함께 일본 대표로 15년 만에 출전했다. 당시 그녀는 스타킹을 남성용 잠방이(ももひき모모히키일본어)로 대신하는 등 어려운 상황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음악 선곡 또한 세계적인 흐름에 뒤처져 총 23명 중 21위에 그쳤다. 이나다는 1952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은퇴 후 활동
선수 생활 은퇴 후 이나다 에츠코는 피겨스케이팅 코치와 사업가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3.1. 코치 경력
1952년 현역 은퇴 후 이나다 에츠코는 피겨스케이팅 코치로 전향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 그녀의 지도를 받은 주요 선수로는 히라마쓰 준코 (구 성명 우에노 준코), 이시다 하루코, 후쿠하라 미와 등이 있으며, 이들은 훗날 올림픽에 출전하는 등 일본 피겨스케이팅의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이나다는 일본 황족들에게 피겨스케이팅을 지도하기도 했다.
3.2. 기타 활동
피겨스케이팅 코치 외에도, 이나다는 도쿄아오야마 지역에 자신의 부티크를 열어 운영하는 등 개인적인 사업 활동에도 참여했다.
4. 철학과 개인 생활
이나다 에츠코는 종전 이듬해인 1946년 결혼하여 아들을 두었으나, 1949년 선수로 복귀하기 전 이혼을 경험했다. 그녀는 강한 의지와 철학을 가진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나다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는 것은 거짓말. 한 번뿐인 실전 기회를 성공시켜 1위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을 남겼으며, 평생의 신념은 "세계 제일이 되기 위해 노력, 노력, 노력하자"였다고 한다. 이러한 그녀의 신념은 많은 후배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5. 사망
이나다 에츠코는 2003년 7월 8일 지바시의 한 병원에서 위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79세였다. 그녀의 장례식은 쓰키지혼간지에서 치러졌으며, 이나다가 황족에게 스케이트를 지도한 인연으로 인해 덴노 부부를 비롯한 많은 황족들이 헌화하며 그녀의 죽음을 애도했다. 이는 고인이 일본 사회에서 가졌던 높은 위상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6. 유산과 영향
이나다 에츠코는 일본 피겨스케이팅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문화 예술 작품의 영감이 되었다.
6.1. 역사적 의의
이나다 에츠코는 일본 여자 피겨스케이팅의 명백한 개척자이자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1936년 12세의 나이로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한 기록은 현재까지도 일본인 올림픽 최연소 출전 기록(동하계 포함)으로 남아 있으며, 그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유일한 일본인 여자 선수였다. 또한 전일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에서 총 7회 우승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선수로서의 업적을 남겼다. 선수 은퇴 후 코치로서 히라마쓰 준코, 이시다 하루코, 후쿠하라 미와 등 여러 올림픽 선수를 육성하고 일본 황족을 지도하며 일본 피겨스케이팅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녀는 일본 피겨스케이팅이 발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6.2. 문화적 언급
이나다 에츠코의 생애와 경험은 여러 문화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나카니시 레이의 소설 <테루테루보즈의 테루코 씨>(신초샤)에 등장하는 피겨스케이팅 코치가 이나다를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소설을 원작으로 2003년 하반기에 방영된 NHK 연속 TV 소설 <테루테루 가족>에서는 배우 이시노 요코가 이나다를 모델로 한 '이나모토 에이코' 역을 맡아 열연했다.
7. 주요 성적
대회/연도 | 1933-34 | 1934-35 | 1935-36 | 1936-37 | 1937-38 | 1938-39 | 1939-40 | 1940-41 | 1948-49 | 1949-50 | 1950-51 | 1951-52 |
---|---|---|---|---|---|---|---|---|---|---|---|---|
동계 올림픽 | 10위 | |||||||||||
세계 선수권 | 10위 | 21위 | ||||||||||
유럽 선수권 | 9위 | |||||||||||
전일본 선수권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
국민체육대회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
전일본 주니어 선수권 |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