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경력 및 배경
1.1. 유소년 및 초기 축구 활동
갈레코비치의 유소년 축구 경력은 주로 멜버른 남동부 교외 지역의 첼시 하이덕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또한 세인트 비드 칼리지에서 학교 축구를 병행하며 성장했다. 유소년 시절에는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댄데농 시티 SC에서, 1997년부터 1998년까지는 빅토리아주 불린에서 활동했다.
1.2. 프로 데뷔 및 초기 경력
갈레코비치는 2000년 12월, 19세의 나이에 모웰을 연고로 하는 내셔널 사커 리그(NSL) 클럽인 깁스랜드 팰컨스(현 이스턴 프라이드)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강팀인 사우스 멜버른과 계약하며 이적했다.
2. 클럽 경력
갈레코비치는 선수 생활 동안 여러 클럽을 거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1. 사우스 멜버른 FC
사우스 멜버른에서의 초기 시즌 동안 갈레코비치는 사커루스의 골키퍼였던 딘 아나스타시아디스에 이어 두 번째 골키퍼였다. 그는 2002년 레이크사이드 스타디움에서 라이벌인 멜버른 나이츠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활약을 연이어 선보인 갈레코비치는 2002년 시즌에 마이클 시오클리토스를 제치고 사우스 멜버른의 주전 골키퍼 자리를 꿰찼다.
사우스 멜버른에서 뛰는 동안 갈레코비치는 37경기에 출전하여 17번의 클린 시트를 기록했다. 클럽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그는 처음으로 올림피아코스 대표팀에 선발되는 영예를 안았다. 그는 NSL이 폐지된 2003-04 시즌까지 사우스 멜버른에 머물렀으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축구 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한 후 포르투갈의 SC 베이라마르에 입단했다.
갈레코비치는 2004년 사우스 멜버른의 마지막 내셔널 리그 경기에서 골키퍼로 출전했는데, 이 경기에서 사우스 멜버른은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에 골든 골로 2-1로 패하며 탈락했다.
2.2. SC 베이라마르
SC 베이라마르에서의 기간은 갈레코비치에게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그는 1군 경기에서 거의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으며, 2004-05 시즌에는 FC 마르코로 임대되어 6경기에 출전하기도 했다. 이처럼 해외에서의 경험은 짧은 기간에 그쳤다.
2.3. 멜버른 빅토리
포르투갈에서의 부진한 시기를 보낸 갈레코비치는 멜버른으로 돌아와 2005-06 시즌 A리그의 창설 팀인 멜버른 빅토리와 계약했다. 그는 개막전인 시드니 FC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이 시즌에 갈레코비치는 11경기에 출전했는데, 이는 어니 메릭 멜버른 감독이 채택한 이례적인 골키퍼 로테이션 정책 때문이었다. 나머지 10경기에서는 팀 동료이자 사우스 멜버른 출신인 마이클 시오클리토스가 골문을 지켰다. 갈레코비치는 2006-07 시즌에도 멜버른 빅토리의 두 번째 골키퍼였으나, 시오클리토스의 부상으로 인해 선콥 스타디움에서 열린 13라운드 퀸즐랜드 로어와의 경기에서 시즌 첫 선발 출전 기회를 얻었다.
2.4.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2007년 10월 30일, 유진 갈레코비치는 부상당한 골키퍼 다니엘 벨트라메의 대체자로 멜버른 빅토리의 라이벌 팀인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와 계약했다. 그는 하인드마시 스타디움에서 퀸즐랜드 로어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2008년 1월 20일, 갈레코비치는 브리즈번과의 경기에서 2-0 승리를 거두며 애들레이드 소속으로 첫 클린 시트를 기록했다. 2008년 12월 27일에는 퍼스 글로리와의 경기에서 여러 차례 인상적인 선방을 펼쳐 팀의 1-0 승리를 지켜냈고, 이로써 리그 시즌 5번째 클린 시트를 달성했다.
2010년 2월, 갈레코비치는 또 한 번의 뛰어난 한 해를 마무리하며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2011-12 A리그 시즌 중반, 존 매케인이 주장직을 사임하자 유진 갈레코비치가 새로운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 3월 11일, 멜버른 시티 FC와의 경기에서 1-0으로 패했지만, 갈레코비치는 개인 통산 250번째 A리그 출전 기록을 달성했다.
2.5. 멜버른 시티 FC
2017년 6월 16일, 갈레코비치는 멜버른 시티 FC와 2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멜버른 시티 소속으로 35번의 리그 경기에 출전했으며, 2018-19 시즌이 끝난 후 은퇴를 발표했다.
3. 국가대표 경력
3.1. 연령별 대표팀
갈레코비치는 사우스 멜버른에서의 뛰어난 활약을 바탕으로 올림피아코스 대표팀에 처음으로 선발되었다. 그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축구 캠페인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U-23 대표팀 소속으로 총 4경기에 출전했다.
3.2. 성인 대표팀
갈레코비치는 A리그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의 인상적인 활약으로 팀 동료인 스콧 제이미슨과 폴 리드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성인 대표팀 예비 명단에 소집되었다. 그는 2009년 1월 28일 인도네시아와의 AFC 아시안컵 예선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쿠웨이트와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2-0으로 앞서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골을 허용하며 아쉬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23인 최종 명단에는 처음에는 포함되지 못했으나, 브래드 존스가 아들의 백혈병 치료를 돕기 위해 대표팀을 떠나면서 대체 선수로 추가 소집되었다. 갈레코비치는 홀거 오지크 감독에 의해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예선 토너먼트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그는 개최국 홍콩과의 첫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브렛 에머튼의 단독 골로 1-0 승리를 거두는 데 결정적인 선방들을 보여주며 오스트레일리아를 굴욕에서 구했다. 갈레코비치가 출전한 또 다른 경기는 괌을 상대로 9-0 대승을 거둔 경기였다.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에서 꾸준히 좋은 활약을 펼친 후, 홀거 오지크 감독은 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오만전 23인 명단에 유진 갈레코비치를 포함시켰다.
그는 2014년 FIFA 월드컵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에 포함되었으나, 대회에서는 출전하지 못했다. 또한 그는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 및 일본과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기도 했다. 갈레코비치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성인 대표팀 소속으로 총 8번의 A매치에 출전했다.
4. 통계
CS = 클린 시트
아래 통계는 리그 파이널 시리즈 통계와 FIFA 클럽 월드컵 통계를 포함하며, AFC 챔피언스리그 통계는 조별 리그 이후 시작되는 시즌에 포함된다 (예: 2008 ACL은 2008-09 A리그 시즌에 포함).
|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국제 대회 | 합계 | ||||
|---|---|---|---|---|---|---|---|---|---|
| 출전 | CS | 출전 | CS | 출전 | CS | 출전 | CS | ||
| 이스턴 프라이드 | 2000-01 | 11 | 1 | - | - | - | - | 11 | 1 |
| 합계 | 11 | 1 | - | - | - | - | 11 | 1 | |
| 사우스 멜버른 | 2001-02 | 0 | 0 | - | - | - | - | 0 | 0 |
| 2002-03 | 15 | 7 | - | - | - | - | 15 | 7 | |
| 2003-04 | 22 | 10 | - | - | - | - | 22 | 10 | |
| 합계 | 37 | 17 | - | - | - | - | 37 | 17 | |
| 베이라마르 | 2004-05 | 2 | 0 | - | - | - | - | 2 | 0 |
| 합계 | 2 | 0 | - | - | - | - | 2 | 0 | |
| 멜버른 빅토리 | 2005-06 | 11 | 4 | 2 | 1 | - | - | 13 | 5 |
| 2006-07 | 4 | 1 | 4 | 1 | - | - | 8 | 2 | |
| 2007-08 | - | - | 1 | 0 | - | - | 1 | 0 | |
| 합계 | 15 | 5 | 7 | 2 | - | - | 22 | 7 | |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2007-08 | 11 | 1 | - | - | - | - | 11 | 1 |
| 2008-09 | 22 | 10 | 3 | 2 | 14 | 7 | 39 | 19 | |
| 2009-10 | 27 | 6 | - | - | 7 | 3 | 34 | 9 | |
| 2010-11 | 29 | 9 | - | - | - | - | 29 | 9 | |
| 2011-12 | 25 | 3 | - | - | 10 | 6 | 35 | 9 | |
| 2012-13 | 25 | 8 | - | - | - | - | 25 | 8 | |
| 2013-14 | 28 | 8 | - | - | - | - | 28 | 8 | |
| 2014-15 | 26 | 7 | 3 | 2 | - | - | 29 | 9 | |
| 2015-16 | 22 | 12 | 3 | 0 | 1 | 0 | 26 | 12 | |
| 2016-17 | 23 | 3 | 1 | 0 | 0 | 0 | 24 | 3 | |
| 합계 | 238 | 67 | 10 | 4 | 32 | 16 | 280 | 87 | |
| 멜버른 시티 | 2017-18 | 8 | 3 | 1 | 0 | 0 | 0 | 9 | 3 |
| 2018-19 | 10 | 4 | 3 | 2 | 0 | 0 | 13 | 6 | |
| 합계 | 18 | 7 | 4 | 2 | 0 | 0 | 22 | 9 | |
| 총합 | 321 | 97 | 21 | 8 | 32 | 16 | 374 | 121 | |
5. 수상 경력 및 업적
5.1. 클럽 수상
- 멜버른 빅토리:
- A리그 챔피언십: 2006-07
- A리그 프리미어십: 2006-07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FFA컵: 2014
- A리그 프리미어십: 2015-16
- A리그 챔피언십: 2015-16
5.2. 국가대표 수상
- 오스트레일리아:
- AFC 아시안컵: 2015
5.3. 개인 수상 및 기록
- A리그 올해의 골키퍼상: 2008-09, 2009-10, 2013-14, 2014-15 (총 4회로 최다 수상 기록 보유)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클럽 챔피언: 2008-09, 2009-10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올해의 선수 (선수 선정): 2008-09, 2009-10, 2011-12
- A리그 PFA 올해의 팀: 2008-09, 2009-10, 2012-13, 2013-14, 2014-15
- A리그 올스타: 2014
- PFA A리그 10년의 팀: 2005-15
6. 은퇴 후 활동
멜버른 시티 FC와의 계약이 끝난 후, 갈레코비치는 2019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로 돌아와 클럽의 골키퍼 코치 역할을 시작했다.
7. 평가 및 영향력
유진 갈레코비치는 A리그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골키퍼 중 한 명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특히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그의 꾸준한 활약과 리더십은 팀의 성공에 크게 기여했으며, 다수의 개인 수상 경력과 클린 시트 기록은 그의 뛰어난 기량을 증명한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축구계, 특히 A리그에서 골키퍼 포지션의 기준을 높이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