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유제프 얀 고스와프스키의 삶은 초기 교육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의 어려움, 그리고 전후 예술 활동에 이르기까지 폴란드 현대사의 격동 속에서 형성되었다.
1.1. 출생 및 가족 배경
유제프 고스와프스키는 1908년 4월 24일 폴란드 입헌왕국 루블린 주의 폴라노프카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모님, 두 형제(동생 스타니슬라프 고슬라프스키 또한 조각가가 됨), 그리고 두 자매와 함께 Wąwolnica에서 성장했다.
1.2. 교육
그의 예술 교육은 카지미에시 돌니에 위치한 얀 코슈치츠-비트키에비치가 설립한 빌딩 크래프츠 스쿨에서 시작되었다. 이 학교를 졸업한 후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 입학시험에 합격했으나, 당시 너무 어려서 바로 학업을 시작할 수 없었다. 대신 그는 크라쿠프에 있는 국립 장식 미술 및 예술 산업 학교에서 교육을 계속했다. 이 시기에 그는 스타니슬라프 슈칼스키의 영향을 받았지만, '뿔 달린 심장 부족'의 일원은 아니었다.
1932년, 그는 마침내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자비에리 두니코프스키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이후 바르샤바로 옮겨 타데우시 브레이어 교수에게 배웠다. 1937년에는 로마의 로마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안젤로 자넬리 교수의 가르침을 받으며 학위를 취득했다.
1.3. 초기 활동 및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이탈리아에 머무는 동안(1939년까지), 그는 폴란드 예술가 협회인 '카피톨'의 전시에 참여했으며, 이 협회의 부회장으로도 활동했다. 1939년 7월, 바르샤바 왕궁의 관리 위원이 되기 위해 폴란드로 돌아왔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이 직책을 맡지 못했다. 그는 전쟁 기간 동안 Wąwolnica에서 지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카지미에시 돌니에 있는 성 니콜라우스 아래의 17세기 가옥을 포함한 여러 건물 복원 작업에 참여했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은 그가 작은 조각 형태의 작품에 관심을 갖도록 이끌었으며, 이 시기에 제작된 메달들은 주로 폴란드 민족의 순교를 주제로 다루었다. 1939년 8월 폴란드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그의 전전(戰前) 작품 대부분이 유실되었는데, 일부는 카텔로 델 카타요에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다.
1.4. 전후 경력 및 개인 생활
전후인 1947년부터 고스와프스키는 포즈난 국립 예술 학교에서 메달 및 금속 조각 학과장을 역임했다. 또한 그는 폴란드 예술가 및 디자이너 협회(ZPAP) 포즈난 지부의 회장을 두 차례 지냈다. 1948년에는 자신의 학생이었던 완다 만킨과 결혼하여 보제나 스테파니아와 마리아 안나라는 두 딸을 두었다. 1956년 가족과 함께 바르샤바로 이주했으며, 그곳에서 ZPAP 중앙 이사회 조각 부문 회장이 되었다.
2. 사망
유제프 얀 고스와프스키는 1963년 1월 23일 바르샤바에서 새로운 예술적 전환기를 맞이하던 중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사망은 폴란드 예술계에 큰 손실로 여겨진다.
3. 예술 세계 및 작품
유제프 고스와프스키는 기념비적 조각, 인물 조각, 조각 캐리커처, 메달, 주화, 복원 작업 및 드로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작품을 창작했다.
3.1. 기념물 및 조각
그의 초기 작품들은 현재 대부분 보존되어 있지 않지만, 입체주의의 영향(1932~1933년의 '자화상', 1927~1928년의 '비톨트 호미치 초상화'), 스타니슬라프 슈칼스키의 사상(헨리크 우지엠브워의 조각 캐리커처), 그리고 폴란드 응용 미술 협회의 아이디어와 유사한 형태(성 프란치스코 제단 디자인)를 보여준다. 이탈리아 체류와 그곳의 예술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고스와프스키의 관점을 변화시켰다. '로베르트', '마리아 마로', '시칠리아인'의 초상화는 고대 연구의 강한 영향을 보여주며, 이러한 영향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과 결합되어 로마에서 제작된 초기 메달과 명판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기념비적 조각 분야로 돌아와 다음과 같은 주요 작품들을 남겼다.


- 젤라조바 볼라의 프레데리크 쇼팽 기념물 (1955년/1969년): 폴란드의 위대한 작곡가 프레데리크 쇼팽을 기리는 기념물이다.
- 고주프 비엘코폴스키의 아담 미츠키에비치 기념물 (1956년): 폴란드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를 기리는 작품이다.

- 자비코보의 '전쟁은 없다' 기념물 (1956년): 포즈난 근처 루보니의 자비코보에 세워진 반전(反戰) 기념물이다.
- 바르샤바 마르샤우코프스카 주거 지구의 조각 그룹 '음악' (1952년): 바르샤바에 위치한 우화적인 조각 그룹이다.

- 키엘체 근교 마스우프의 기념비적인 '예수 변모 제단'.

그는 '바르샤바의 영웅들', '폴란드 인민군 제1군 병사들', 볼레스와프 프루스 기념물 등 수많은 기념물 디자인 공모전에 참여하여 수상했다. 고스와프스키의 작품은 분류하기 어렵다. 끊임없는 탐구와 예술적 고뇌는 그로 하여금 다양한 형태와 재료를 사용하여 창작하게 했다. 그러나 그의 예술의 주요 초점은 항상 인간, 즉 영웅으로서의 인간과 일상생활 속의 인간이었다. 고스와프스키는 겸손하고 친근했으며, 조각가들 사이에서는 매우 드문 예술 유형인 그의 캐리커처조차도 악의보다는 온화한 유머 감각을 특징으로 한다.
3.2. 메달 및 주화
고스와프스키는 메달 분야에서 고전적인 형태와 모양에서 벗어나는 선구자였다. 그는 콘스탄티 라슈치카와 유제프 아우밀러 세대와 후대 메달리스트들을 연결하는 독보적인 존재가 되었다. 그의 메달 예술에서의 강력한 입지는 수많은 수상과 폴란드 내 박물관(예: 바르샤바, 브로츠와프, 크라쿠프, 루블린, 토룬) 및 유럽 전역의 박물관(예: 프라하, 아테네, 부다페스트, 로마, 바티칸 시국, 파리, 헤이그,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그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음을 통해 확인된다.
그의 대표적인 주화 및 메달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어부 그림이 새겨진 폴란드 5 PLN 동전 (1958년 디자인): 폴란드에서 유통된 주화 중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이다.
- 미에슈코 1세와 도브라바가 새겨진 10 PLN 동전 (1958년): 1등 수상작으로, 1966년 폴란드 건국 천년을 기념하는 100 PLN 은화로 발행되었다.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새겨진 10 PLN 동전 (1958년): 1959년부터 유통되었다.
- '바린스키 선박' 5 PLN 동전.
- '수탉' 2 PLN 동전 (2등 수상).
- '엘크' 2 PLN 동전.
- 독수리 이미지가 새겨진 2 PLN 동전 뒷면 (2등 수상).
- '1939년' 메달: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작되었으며, 2009년에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 희생과 용기를 위한 메달 (1960년).
- 루도비크 라자루스 자멘호프 메달 (1959년).
- '리드즈바르크 바르민스키 - 위대한 인물들의 도시' 메달: 2008년 폴란드 조폐국에서 발행된 리드즈바르크 바르민스키의 지역 통화인 '네 명의 남자' 두카트의 바탕이 되었다.
3.3. 조각 캐리커처 및 기타 작품
고스와프스키는 인물에 대한 독특한 조각 캐리커처를 제작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932년의 마하트마 간디 캐리커처와 헨리크 우지엠브워 캐리커처가 있다. 또한 그는 성 프란치스코 제단과 같은 종교적 작품과 기타 소형 조각 작품들을 다루었다. 전쟁 시기에는 작은 조각 형태의 작품에 집중하기도 했다.
4. 미술 대회 참가 및 전시
고스와프스키는 수많은 국내외 미술 대회에 참여하여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의 작품은 다양한 개인전 및 단체전을 통해 대중에게 선보였다.
4.1. 미술 대회 수상 경력
고스와프스키는 여러 미술 대회에서 수상하며 그의 예술적 역량을 입증했다. 다음은 그의 주요 수상 경력이다.
| 연도 | 대회 주제 | 비고 | |||
|---|---|---|---|---|---|
| 1936 |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흉상 | 1등 수상. 1938~1939년에 제작된 조각은 현재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주물은 투레크 박물관에 있다. | |||
| 1946/47 | 국장 | 2등 수상. | |||
| 1951 | 바르샤바 헌법 광장 조각 | 바르샤바 코시코바 거리 34/50 건물에 설치된 '음악'을 포함한 3개의 다인물 조각 그룹. | |||
| 1951 | GKKF (체육 중앙 위원회) 배지 | 1등 수상. | |||
| 1951 | 국가상 메달 | 1등 수상. | |||
| 1953 | 루블린 제2차 세계 대전 파르티잔 기념물 | 모델은 알 수 없는 장소에 보관 중. | |||
| 1953 | 루블린 개선문 | 모델은 알 수 없는 장소에 보관 중. | |||
| 1953 | 그단스크의 폴란드 귀환 500주년 기념 메달 | 루블린 주립 박물관, 포즈난 국립 박물관, 브로츠와프 금속 조각 예술 박물관, 바르샤바 왕궁, 오솔리네움 및 개인 소장품에 소장. | |||
| 1955 | 포즈난의 아담 미츠키에비치 기념물 | 모델은 개인 소장품에 있다. | |||
| 1957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희생자 기념물 | 모델은 알 수 없는 장소에 보관 중. | |||
| 1958 | 주화 |
>- | 1958 | 바르샤바 영웅 기념물 (1단계) | 첫 번째 모델은 알 수 없는 장소에 보관 중이며, 두 번째 모델은 바르샤바 역사 박물관 소장품에 있다. |
| 1958 | 폴란드 인민군 15주년 기념 메달 | 1등, 2등, 3등 수상. | |||
| 1959 | 바르샤바 영웅 기념물 (2단계) | 1등 수상 (6개 중 하나). 완다 고슬라프스카 및 스타니슬라프 고슬라프스키와 협력하여 제작되었으며, 현재 모델은 바르샤바 역사 박물관 소장품에 있다. | |||
| 1959/1960 | 폴란드 제1군 기념물 | 완다 고슬라프스카 및 스타니슬라프 고슬라프스키와 협력하여 제작되었으며, 모델은 알 수 없는 장소에 보관 중이다. | |||
| 1961 | 바르샤바의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기념물 | 첫 번째 모델은 브로츠와프 금속 조각 예술 박물관 소장품에 있으며, 두 번째 모델은 개인 소장품에 있다. | |||
| 1962 | 루블린의 학살된 유대인 기념물 | '불타는 게토'(Płonące getto폴란드어) 기념물 모델은 개인 소장품에 있다. | |||
| 1962 | 바르샤바의 볼레스와프 프루스 기념물 | 두 차례의 명예 언급. 한 모델은 완다 고슬라프스카와 협력하여 제작되었으며, 첫 번째 모델은 개인 소장품에, 두 번째 모델은 브로츠와프 금속 조각 예술 박물관 소장품에 있다. |
4.2. 개인전 및 단체전
고스와프스키는 14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그의 작품은 60회 이상의 국내 전시와 20회 이상의 해외 전시에서 선보였다.
다음은 그의 주요 개인전 목록이다.
| 연도 | 도시 | 기관 | 작품 수 |
|---|---|---|---|
| 1933 | 크라쿠프 | 예술 궁전 | ? |
| 1960 | 부다페스트 | 폴란드 문화 센터 | 30 |
| 1963 | 바르샤바 | 폴란드 군인의 집 | 49 |
| 1968 | 브로츠와프 | 시청 | 80 |
| 1973 | 바르샤바 | 중앙 예술 전시 사무소 | 343 |
| 1974 | 바르샤바 | 군사 갤러리 DWP | 34 |
| 1974 | 바르카 |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박물관 | 56 |
| 1974 | 비드고슈치 | 지역 박물관 | 18 |
| 1987 | 루블린 | 지역 박물관 | 76 |
| 1995 | 카지미에시 돌니 | 비스와 강변 박물관 - 여름 갤러리 | 80 |
| 1996 | 볼레스와비에츠 | 볼레스와비에츠 문화 센터 | 70 |
| 1997 | 헤움노 | 지역 박물관 | 50 |
| 2000 | 코닌 | 지역 박물관 | 84 |
| 2003 | 바르샤바 | 플라스틱 예술가의 집 갤러리 | 105 |
| 2014 | 오론스코 | 폴란드 조각 센터 | ? |
| 2014/2015 | 바르샤바 | 크룰리카르니아 조각 박물관 | ? |
다음은 그의 주요 단체전 목록이다.
4.3. 국내 단체전
| 연도 | 도시 | 전시회 제목 |
|---|---|---|
| 1946 | 루블린 | '예술 축제' (Festiwal Sztuk폴란드어) |
| 1947 | 크라쿠프 | '제2회 전국 겨울 살롱' (II Ogólnopolski Salon Zimowy폴란드어) |
| 1949 | 바르샤바 | '평화를 위한 예술가들의 투쟁' (Plastycy w walce o pokój폴란드어) |
| 1950 | 바르샤바 | '제1회 전국 플라스틱 예술 전시회' (I Ogólnopolska Wystawa Plastyki폴란드어) |
| 1951/1952 | 바르샤바 | '제2회 전국 플라스틱 예술 전시회' (II Ogólnopolska Wystawa Plastyki폴란드어) |
| 1953 | 바르샤바 | '폴란드 인민군 10년' (10 lat Ludowego Wojska Polskiego폴란드어) |
| 1953 | 루블린 | '루블린 개선문 프로젝트 전시회' (Wystawa projektów Łuku Triumfalnego w Lublinie폴란드어) |
| 1954 | 바르샤바 | '제4회 전국 플라스틱 예술 전시회' (IV Ogólnopolska Wystawa Plastyki폴란드어) |
| 1955 | 포즈난 | '폴란드 예술가 및 디자이너 협회 포즈난 지부 전시회' (Wystawa ZPAP Okręgu Poznańskiego폴란드어) |
| 1955 | 포즈난 | '폴란드 예술가 및 디자이너 협회 포즈난 지부 가을 전시회' (Jesienna wystawa ZPAP Okręgu Poznańskiego폴란드어) |
| 1958/1959 | 바르샤바 | '바르샤바 조각 1945-1958' (Rzeźba warszawska 1945-1958폴란드어) |
| 1959 | 바르샤바 | '현대 예술 속의 바르샤바' (Warszawa w sztuce współczesnej폴란드어) |
| 1959 | 바르샤바 | '제2회 전국 해양 예술 전시회' (II Ogólnopolska Wystawa Plastyki Marynistycznej폴란드어) |
| 1960 | 바르샤바 | '폴란드 조각 1945-1960' (Rzeźba polska 1945-1960폴란드어) |
| 1961/1962 | 바르샤바 | '폴란드 인민 공화국 15주년 폴란드 예술 작품' (Polskie dzieło plastyczne w XV-lecie PRL폴란드어) |
| 1962 | 루블린 | '폴란드 민족의 순교와 투쟁 1939-45' (Martyrologia i walka Narodu Polskiego 1939-45폴란드어) |
| 1962 | 포즈난 | '가을 살롱' (Salon Jesienny폴란드어) |
| 1963 | 바르샤바 | '플라스틱 예술 속 폴란드 인민군 20주년 전국 전시회' (Ogólnopolska Wystawa XX-lecia Ludowego Wojska Polskiego w twórczości plastycznej폴란드어) |
| 1963 | 바르샤바 | '제1회 전국 메달 예술 전시회' (I Ogólnopolska Wystawa Medalierstwa폴란드어) |
| 1963 | 바르샤바 | '예술 속의 바르샤바' (Warszawa w Sztuce폴란드어) |
| 1963 | 바르샤바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해방 18주년 전시회' (Wystawa w XVIII rocznicę wyzwolenia Oświęcimia폴란드어) |
| 1963 | 바르샤바 | '폴란드 인민 공화국 15주년 응용 예술 전시회' (Wystawa sztuki użytkowej w XV-lecie PRL폴란드어) |
| 1963 | 바르샤바 | '폴란드 예술가 및 디자이너 협회 바르샤바 지부의 조각 및 직물 전시회' (Wystawa rzeźb i tkanin Okręgu Warszawskiego ZPAP폴란드어) |
| 1964 | 바르샤바 | '예술 속의 바르샤바' (Warszawa w sztuce폴란드어) |
| 1964 | 바르샤바 | '전국 전시회 "직물, 도자기, 유리"' (Ogólnopolska Wystawa "Tkanina, ceramika, szkło"폴란드어) |
| 1965 | 바르샤바 | '폴란드 인민 공화국 20주년 고대 판화 및 조각 전시회' (Wystawa grafiki i rzeźby w XX-lecie PRL폴란드어) |
| 1965 | 토룬 |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훈장, 주화 및 메달' (Odznaczenia, monety i medale PRL폴란드어) |
| 1966 | 브로츠와프 | '폴란드 인민 공화국 메달 예술 1945-1965' (Sztuka medalierska w Polsce Ludowej 1945-1965폴란드어) |
| 1969 | 바르샤바 | '폴란드 메달 예술 25주년' (25 lat sztuki medalierskiej w Polsce폴란드어) |
| 1969 | 브로츠와프 | '폴란드 인민 공화국 25주년 도자기 및 유리 전시회' (Wystawa ceramiki i szkła w XXV-lecie PRL폴란드어) |
| 1969/1970 | 비드고슈치 | '폴란드 인민 공화국 메달' (Medale PRL폴란드어) |
| 1969/1970 | 바르샤바 | '바르샤바 조각 25년' (25 lat rzeźby warszawskiej폴란드어) |
| 1970 | 포즈난 | '플라스틱 예술 속의 전쟁과 평화' (Wojna i pokój w twórczości plastycznej폴란드어) |
| 1971 | 브로츠와프 |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기념물 및 기념비적 조각' (Rzeźba pomnikowa i monumentalna w PRL폴란드어) |
| 1971 | 토룬 | '메달 예술 및 화폐학 속의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주제' (Tematyka kopernikowska w medalierstwie i numizmatyce폴란드어) |
| 1971 | 비드고슈치 | '메달 속의 폴란드 도시들' (Miasta polskie w medalach폴란드어) |
| 1972 | 브로츠와프 | '폴란드 의학 메달 및 배지' (Polskie medale i odznaki medyczne폴란드어) |
| 1972 | 비드고슈치 | '메달 예술 속의 여성' (Kobieta w twórczości medalierskiej폴란드어) |
| 1972 | 비드고슈치 | '메달 속의 유명한 폴란드인들' (Sławni Polacy na medalach폴란드어) |
| 1974 | 루블린 | '폴란드 조각 1944-74 회고전' (Przegląd rzeźby polskiej 1944-1974폴란드어) |
| 1974 | 라돔 | '현대 초상 조각' (Współczesna rzeźba portretowa폴란드어) |
| 1974 | 비드고슈치 | '스포츠 메달' (Medale sportowe폴란드어) |
| 1974 | 비드고슈치 | '폴란드 박물관 메달' (Medale muzeów polskich폴란드어) |
| 1974 | 비드고슈치 | '메달 속의 폴란드 도시들' (Miasta polskie in medalach폴란드어) |
| 1977 | 비드고슈치 | '폴란드 인민 공화국 주화' (Monety PRL폴란드어) |
| 1977 | 비드고슈치 | '메달 예술 속의 극장인들' (Ludzie teatru in medalierstwie폴란드어) |
| 1977 | 쳉스토호바 | 폴란드 전후 주화 전시회 (Wystawa polskich monet powojennych폴란드어) |
| 1979 | 브로츠와프 | '현대 폴란드 메달 예술 1944-1979' (Współczesne medalierstwo polskie 1944-1979폴란드어) |
| 1979/1980 | 비드고슈치 | '메달 속의 폴란드 작가들' (Pisarze polscy na medalach폴란드어) |
| 1980 | 비드고슈치 | '폴란드 군대의 전통' (Tradycje wojska polskiego폴란드어) |
| 1980 | 비드고슈치 | '메달 예술 속의 여성' (Kobieta w twórczości medalierskiej폴란드어) |
| 1980 | 바르샤바 | '메달 속의 폴란드 과학' (Nauka polska w medalach폴란드어) |
| 1985/1986 | 비드고슈치 |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돈 1944-1983' (Pieniądz Polski Ludowej 1944-1983폴란드어) |
| 1986 | 루블린 | '루블린 플라스틱 예술' (Plastyka lubelska폴란드어) |
| 1986 | 오스트로웽카 | '폴란드 박물관 기념 메달' (Medale pamiątkowe Muzeów polskich폴란드어) |
| 1987 | 비드고슈치 | '메달 속의 여성' (Kobieta na medalu폴란드어) |
| 1988 | 투홀라 | '폴란드 도시들의 기념 메달' (Medale jubileuszowe miast polskich폴란드어) |
| 1990 | 비드고슈치 | '프레데리크 쇼팽과 그의 시대 사람들' (Fryderyk Chopin i ludzie jego epoki폴란드어) |
| 1996 | 비드고슈치 | '메달 속의 뛰어난 폴란드인들' (Wybitni Polacy na medalach폴란드어) |
| 1997 | 바르샤바 | '타데우시 브레이어와 그의 학생들' (Tadeusz Breyer i jego uczniowie폴란드어) |
| 1997 | 브로츠와프 | '폴란드 조각' (Rzeźba polska폴란드어) |
| 1998/1999 | 바르샤바 | '시간 터널. 세기말 바르샤바 조각' (Tunel czasu. Warszawska rzeźba końca wieku폴란드어) |
| 2002 | 바르샤바 | '메달 예술 속의 폴란드 과학' (Nauka polska w medalierstwie폴란드어) |
| 2007/2008 | 비드고슈치 | '메달 예술 속의 약학 및 의학' (Farmacja i medycyna w medalierstwie폴란드어) |
| 2008 | 바르샤바 | '현재 - 부재' (Obecni nieobecni폴란드어) |
| 2009 | 토룬 | '메달 예술 속의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Mikołaj Kopernik w medalierstwie폴란드어) |
| 2009 | 비드고슈치 | '폴란드 박물관 메달 예술. 레온 비추우코프스키 비드고슈치 지역 박물관 소장품' (Muzea polskie w medalierstwie ze zbiorów MOB폴란드어) |
| 2010 | 브로츠와프 | '쇼팽 인상' (Impresje Chopinowskie폴란드어) |
| 2010/2011 | 바르샤바 | '유제프 고스와프스키의 메달 예술과 중앙 군사 도서관의 메달 컬렉션 속의 폴란드 군대' (Wojsko Polskie w medalierstwie Józefa Gosławskiego i in kolekcji medali Centralnej Biblioteki Wojskowej폴란드어) |
| 2011 | 바르샤바 | '폴란드 거장 학교' (Polska Szkoła Mistrzów폴란드어) |
| 2011 | 바르샤바 | '어제와 오늘의 사스카 켕파 조각가들' (Rzeźbiarze Saskiej Kępy wczoraj i dziś폴란드어) |
| 2012 | 바르샤바 | '어디에나 있는 예술. 바르샤바 미술 아카데미 1904-1944' (Sztuka wszędzie. Akademia Sztuk Pięknych w Warszawie 1904-1944폴란드어) |
4.4. 해외 단체전
| 연도 | 국가 | 도시 | 전시회 제목 | 기관 |
|---|---|---|---|---|
| 1932 | 빈 | '국제 캐리커처 전시회' (Międzynarodowa Wystawa Karykatury폴란드어) | 빈 쿤스트하우스 | |
| 1936 | 이탈리아 | 로마 | '예술가 협회 "카피톨" 전시회' (Wystawa Koła Artystów Polskich "Kapitol"폴란드어) | ? |
| 1936 | 이탈리아 | 로마 | '예술가 협회 "카피톨" 전시회' (Wystawa Koła Artystów Polskich "Kapitol"폴란드어) | ? |
| 1950 | 프라하 | '세계 메달 예술 전시회' (Światowa Wystawa Medalierstwa폴란드어) | ? | |
| 1950 | 로마 | 성스러운 예술 전시회 (Wystawa sztuki sakralnej폴란드어) | ? | |
| 1959 | 카타니아 | '치르콜로 아르티스티코' | ? | |
| 1959 | 빈 | '현대 메달 국제 전시회' (Międzynarodowa Wystawa Medali Współczesnych폴란드어) | ? | |
| 1963/1964 | 모스크바-민스크 | '대조국전쟁 20주년 국제 전시회' (Wystawa w 20. rocznicę Wielkiej Wojny Ojczyźnianej폴란드어) | ? | |
| 1964 | 아레초 | '국제 메달 예술 공모전' (Międzynarodowy Konkurs Medalierstwa폴란드어) | ? | |
| 1965 | 베를린-에르푸르트-라이프치히 | '민족의 병사들 - 폴란드 군대' (Żołnierze narodu - polska armia w sztuce폴란드어) | ? | |
| 1966 | 크랄루페 | '국제 메달 전시회' (Międzynarodowa wystawa medali폴란드어) | ? | |
| 1966 | 불가리아 | 소피아 | '폴란드 메달 예술 전시회' (Wystawa medalierstwa polskiego폴란드어) | ? |
| 1966/1967 | 헝가리 | 순회 전시회 | '인민 방위를 위한 폴란드 군대' (Wojsko polskie w służbie ludowej obronności폴란드어) | ? |
| 1967 | 유고슬라비아 | 순회 전시회 | '인민 방위를 위한 폴란드 군대' (Wojsko polskie w służbie ludowej obronności폴란드어) | ? |
| 1967 | 순회 전시회 | ? | ? | |
| 1967 | 파리 | '제27회 성스러운 예술 살롱' (XXVII Salon Sztuki Sakralnej폴란드어) | ? | |
| 1968 | 모스크바 | '폴란드 미술 속의 사회-혁명적 주제' (Tematyka społeczno-rewolucyjna w polskiej sztuce plastycznej폴란드어) | ? | |
| 1969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국제 군사 미술 전시회' (Międzynarodowa Wojskowa Wystawa Plastyki폴란드어) | ? |
| 1971 | 파리 | '폴란드 메달 예술 50년' (50 lat sztuki medalierskiej in Polsce폴란드어) | ? | |
| 1971 | 헤이그 | '폴란드 메달 전시회' (Wystawa medali polskich폴란드어) | ? | |
| 1972 | 베를린 | '폴란드 인민 공화국 예술 속의 전쟁과 평화' (Wojna i pokój w sztukach plastycznych PRL폴란드어) | ? | |
| 1985 | 프라하 | '폴란드 현대 메달 예술' (Polskie medalierstwo współczesne폴란드어) | ? | |
| 2003 | 빈 | '새로운 국가. 실험과 재현 사이의 폴란드 예술 1918-1939' (Nowe Państwo. Polska sztuka między eksperymentem a reprezentacją 1918-1939폴란드어, Der neue Staat. Polnische Kunst zwischen Experiment und Repräsentation von 1918 bis 1939독일어) | 레오폴트 박물관 |
5. 예술적 영향 및 평가
유제프 고스와프스키의 예술은 후대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폴란드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으로 기억되고 기념된다.
5.1. 영감 및 영향
고스와프스키와 그의 작품, 특히 메달에 대한 기억은 단순히 전시회에서만 회자되는 것이 아니다. 2008년 12월 폴란드 조폐국은 리드즈바르크 바르민스키의 지역 통화인 '네 명의 남자'(Czterech mężów폴란드어) 두카트를 발행했는데, 이 주화의 앞면은 고스와프스키의 메달 '리드즈바르크 바르민스키 - 위대한 인물들의 도시'(Lidzbark Warmiński - miasto mężów znakomitych폴란드어)를 기반으로 했다. 2009년에는 폴란드 조폐국이 유제프 고스와프스키에게 헌정하는 '유명 메달리스트' 시리즈 메달을 제작했다. 이 세트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작된 '1939년' 메달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이 작품의 첫 공개 전시였다. 또한, 이 시리즈에는 한나 옐로네크가 제작한 메달도 포함되어 있는데, 앞면에는 고스와프스키의 초상화가, 뒷면에는 그가 만든 젤라조바 볼라의 프레데리크 쇼팽 기념물이 새겨져 있다. 2009년에는 1958년 대회에서 디자인된 어부 그림이 새겨진 5 PLN 동전의 은 및 금 복제품이 발행되기도 했다.
더 나아가, 고스와프스키가 수년간 거주하며 많은 작품을 창작했던 Wąwolnica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이는 그가 지역 사회와 폴란드 예술에 미친 영향을 상징한다.
5.2. 수상 및 기념
유제프 얀 고스와프스키는 은십자가 훈장을 수여받으며 그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의 작품은 폴란드 전역의 주요 박물관(예: 바르샤바, 브로츠와프, 크라쿠프, 루블린, 토룬)과 유럽의 여러 박물관(예: 프라하, 아테네, 부다페스트, 로마, 바티칸 시국, 파리, 헤이그,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장되어 그의 예술적 유산이 널리 보존되고 기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