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올레크 파블로비치 타바코프(Олег Павлович Табаков올레크 파블로비치 타바코프러시아어, 1935년 8월 17일 ~ 2018년 3월 12일)는 소련과 러시아의 저명한 배우이자 무대 연출가, 교육자였다. 그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으며, 소브레멘니크 극단의 창립 멤버로서 러시아 연극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타바코프는 연극 무대뿐만 아니라 수많은 영화와 애니메이션 더빙에 출연하며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독특한 목소리는 특히 애니메이션 캐릭터 마트로스킨의 목소리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경력은 예술적 성취뿐만 아니라 정치적 참여로도 특징지어진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신뢰 대리인으로 활동하며 러시아 정부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표명했다. 특히 크림반도 합병에 대한 지지 서명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논란이 될 만한 발언은 그의 정치적 입장에 대한 비판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타바코프는 예술적 재능과 사회적 영향력을 동시에 지닌 인물로서, 현대 러시아 문화와 정치의 복합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된다.
2. 생애
2.1. 출생과 가족
올레크 타바코프는 1935년 8월 17일 사라토프에서 의사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독특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부계 증조부인 이반 이바노비치 우틴은 농노 출신이었으나, 타바코프라는 성을 가진 부유한 농민 가정에서 자랐다. 조부 콘드라티 타바코프는 사라토프에서 자물쇠공으로 일하며 직접 집을 짓고, 지역 평민 여성 안나 콘스탄티노브나 마트베예바와 결혼했다. 올레크의 아버지 파벨 콘드라티예비치 타바코프는 사라토프에 있는 러시아 연방 소비자 권리 및 인체 복지 감독청 산하 주립 지역 전염병학 및 미생물학 연구소 '미크롭'에서 근무했다.
모계 증조부인 안드레이 프란체비치 피온트코프스키는 폴란드 귀족인 슐라흐타 출신으로, 포돌리아 주에 토지를 소유했으며, 우크라이나 출신의 지역 주민 올가 테렌티예브나(성은 알려지지 않음)와 결혼했다. 올레크의 어머니 마리야 안드레예브나 베레좁스카야(결혼 전 성은 피온트코프스카야)는 방사선과 의사였다. 그녀는 이전 결혼에서 구고 골드스테른이라는 고위 소련 관료이자 정보 장교와의 사이에서 미라라는 딸을 두었으며, 구고 골드스테른은 임무 중 사망했다.
2.2. 어린 시절과 교육

올레크의 유년기는 대조국 전쟁의 격동기를 겪었다. 전쟁 중 그의 아버지는 자원하여 최전선에서 병원 열차에서 근무했고, 어머니는 아이들과 함께 우랄 지역으로 대피하여 그곳의 군 병원에서 일했다. 전쟁이 끝난 후 그의 부모는 헤어졌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연극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후 모스크바 예술극장 학교에 입학하여 연극 교육을 받았다. 이곳에서의 교육은 그의 연극 경력의 기반이 되었다.
3. 연극 경력
타바코프는 연극 배우이자 연출가로서 러시아 연극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혁신적인 극단 창립에 참여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러시아 연극의 발전에 기여했다.
3.1. 소브레멘니크 극단 창단
모스크바 예술극장 학교를 졸업한 후, 타바코프는 1956년에 소브레멘니크 극단을 공동으로 창립한 주역 중 한 명이다. 이 극단은 당시 소련 연극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으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1982년까지 소브레멘니크 극단의 운영을 맡으며 극단의 주요한 인물로 활동했다.
3.2. 모스크바 예술극장 및 타바코프 스튜디오
1982년, 타바코프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곳에서 그는 몰리에르와 안토니오 살리에리 역을 20년 넘게 연기하며 깊이 있는 연기력을 선보였다. 1986년에는 자신의 제자들을 설득하여 모스크바 예술극장 산하에 '타바코프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이 스튜디오는 단순한 연기 학교를 넘어, 타바코프의 연극 철학과 교육 방식을 전수하는 중요한 기관이 되었다.

3.3. 후학 양성
타바코프 스튜디오는 러시아 연극계의 미래를 이끌어갈 수많은 재능 있는 배우들을 배출했다. 그의 교육 방식을 통해 성장한 유명한 러시아 배우로는 예브게니 미로노프, 세르게이 베즈루코프, 블라디미르 마시코프, 안드레이 스몰랴코프, 알렉상드르 마린 등이 있다. 또한 미국 배우 존 번설도 이 스튜디오에서 연기를 배웠다. 타바코프는 제자들에게 연기 기술뿐만 아니라 배우로서의 인문학적 소양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러시아 연극 교육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다.
4. 영화 경력
타바코프의 영화 경력은 그의 연극 활동과 병행하며 풍부하게 펼쳐졌다. 그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출연하며 대중적으로도 큰 사랑을 받았다.
4.1. 초기 영화 활동
타바코프의 영화 경력은 그의 연극 데뷔와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었다. 그는 초기부터 다양한 영화에 얼굴을 비치며 배우로서의 폭넓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2. 주요 영화 출연작
타바코프는 다수의 유명 영화에 출연하며 인상 깊은 연기를 선보였다. 주요 출연작으로는 그리고리 추흐라이 감독의 1961년작 《맑은 하늘》,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감독의 《전쟁과 평화》(1966~1967), TV 시리즈 《봄의 17 순간》(1973)과 《달타냥과 삼총사》(1978) 등이 있다.
특히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1980년작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니키타 미할코프 감독의 《오블로모프》(1981)와 《검은 눈동자》(1986), 그리고 레드 웨스턴의 모방작인 《카푸친 대로에서 온 남자》(1987) 등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그는 각 작품에서 캐릭터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연기로 극의 완성도에 크게 기여했다.
4.3. 성우 활동
타바코프는 특유의 그르렁거리는 목소리로 여러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목소리를 연기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애니메이션 《프로스토크바시노에서 온 세 친구》의 수다쟁이 고양이 마트로스킨 역은 그의 상징적인 배역 중 하나이다. 마트로스킨 역 이후에는 장편 영화 《가필드》와 그 속편에서 가필드의 러시아어 더빙을 맡기도 했다.
5. 정치 활동

올레크 타바코프는 예술 활동 외에도 러시아의 정치적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강한 정치적 입장을 표명했다. 그의 정치적 견해는 특히 우크라이나와의 관계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5.1. 정치적 지지 및 참여
1992년부터 2008년까지 타바코프는 러시아 대통령 산하 국가 훈장 위원회의 일원이었다. 그는 통합 러시아당의 지지자였으며, 2001년에는 러시아 문화부 이사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12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타바코프는 블라디미르 푸틴의 "신뢰 대리인"으로 등록되었다. 2012년 7월, 푸틴 대통령의 칙령에 따라 그는 공공 텔레비전 위원회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활동들은 그가 러시아 정부의 정책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5.2. 크림반도 합병 지지 및 관련 발언
2014년 3월, 타바코프는 크림반도 합병에 대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입장을 지지하는 문화 예술인들의 서한에 서명했다. 이 서명은 그의 정치적 행보 중 가장 큰 논란을 일으켰다.
2014년 9월, 타바코프는 크림반도가 우크라이나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며 우크라이나인들을 비난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모든 것이 공정하게 일어났다. 만약 우리 우크라이나 형제들이 더 현명했다면, 그들은 그 주제를 논의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하나님께 맹세코 우리를 용서하라! 우리는 공짜 이득을 침해했었다'라고 말했어야 했다. 왜냐하면 크림은 종속적이든 독립적이든 우크라이나와 아무런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 발언으로 인해 2015년 12월, 그는 우크라이나 입국이 금지되었다.
2015년 7월에는 우크라이나 문화부가 러시아 예술인 117명의 블랙리스트를 작성한 것과 관련하여 REN TV 채널에 발언했다. 그는 블랙리스트를 옹호하는 우크라이나인들에 대해 "그들은 그리 깨우친 사람들이 아니다. 할머니가 가끔 말씀하시던 것과 같다: '그들을 신경 쓰지 마라, 그들은 어둡고 문맹인 사람들이다.' 문제는 정상적인 정보가 그들에게 도달하지 못해 정상적인 사람들이 고통받을 것이라는 점이다. 나는 그들이 불쌍하다. 그들은 어떤 의미에서는 불쌍한 존재들이다"라고 말했다. 같은 발언에서 타바코프는 "항상, 그들의 가장 좋았던 시절, 그들의 가장 빛나는 지식인 대표자들은 러시아인들 다음으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위치에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발언들은 외국인 혐오와 국수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6. 사망
올레크 타바코프는 2018년 3월 12일 모스크바에서 향년 82세로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패혈증이었다. 그의 장례는 엄숙하게 치러졌으며, 시신은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7. 수상 및 영예

올레크 타바코프는 연극 및 영화 예술에 대한 탁월한 기여를 인정받아 수많은 국내외 훈장과 상을 수상했다.
- 조국 공로 훈장
- 1등급 (2010년 8월 17일) - 국내 연극 예술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과 다년간의 창작 활동 공로
- 2등급 (2005년 8월 17일) - 연극 예술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과 다년간의 창작 활동 공로
- 3등급 (1998년 10월 23일) - 연극 예술 분야에서 다년간의 성공적인 활동과 모스크바 예술극장 100주년 기념
- 4등급 (2015년 6월 29일)
- 인민 우의 훈장 (1993년 11월 10일) - 연극 예술 발전에 대한 지대한 공헌과 연극 및 영화 분야의 유능한 인재 양성 공로
- 노동적기훈장 (소련, 1982년)
- 명예의 휘장 훈장 (소련, 1967년)
- 소련 국가상 (1967년)
- 러시아 연방 국가상 (1997년)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공훈 예술가 (1969년)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 예술가 (1977년)
- 소련 인민 예술가 (1988년)
- 러시아 예술 아카데미 명예 회원 (2008년 10월 8일)
- 황금 가면상 (1995년)
- 갈매기 연극상
- 크리스탈 투란도트상
- 러시아 대통령 문학 및 예술상 (2003년)
- 모스크바 콤소몰 상 (1967년)
- 모스크바 시장 문학 및 예술상 (1997년)
- 모스크바 시 의회 졸업장 (2008년)
- "용감한 노동" 메달 (타타르스탄, 2010년)
- 모르도비아 공화국 명예 시민 (2010년), 사라토프 주 명예 시민 (2010년), 사라토프시 명예 시민 (2003년)
- "우정의 열쇠" 훈장 (케메로보 주, 2010년)
- "믿음과 선행" 메달 (케메로보 주, 2011년)
- 테라 마리아나 십자 훈장 3등급 (에스토니아, 2005년)
- 레지옹 도뇌르 장교 훈장 (프랑스, 2013년)
8. 주요 출연작 목록
올레크 타바코프의 주요 영화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 《사샤 인생에 들어서다》(Sasha Enters Life) (1957) - 사샤 코멜레프 역
- 《잡색의 사건》(The Variegateds Case) (1958) - 이고르 페레스베토프 역
- 《다리 위의 사람들》(People on the Bridge) (1960) - 빅토르 불리긴 역
- 《수습 기간》(Probation) (1960) - 사샤 예고로프 역
- 《시끄러운 날》(A Noisy Day) (1960) - 올레그 사빈 역
- 《맑은 하늘》(Clear Skies) (1961) - 세료슈카 역
-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The Alive and the Dead) (1964) - 크루티코프 역
- 《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1965-1967, 1-4부) - 니콜라이 로스토프 역
- 《다리가 건설되다》(The Bridge Is Built) (1966) - 세르게이 자이체프 역
- 《권총 한 발》(A Pistol Shot) (1967) - 벨킨 역
- 《V. I. 레닌 초상화에 대한 터치》(Touches to the Рortrait of V. I. Lenin) (1967) - 니콜라이 부하린 역
- 《빛나라, 빛나라, 나의 별이여》(Gori, gori, moya zvezda) (1970) - 블라디미르 이스크레마스 역
- 《철문 비밀》(The Secret of the Iron Door) (1970) - 아버지 역
- 《왕 사슴》(King Stag) (1970) - 치골로티 역
- 《폴리닌 사건》(The Polynin Case) (1970) - 빅토르 발라키레프 역
- 《공화국의 재산》(Property of the Republic) (1972) - 마카르 오브치니코프 역
- 《봄의 17 순간》(Seventeen Instants of Spring) (1973, TV 시리즈) - 발터 셸렌베르크 역
- 《마크 트웨인은 아니라고 말한다》(Mark Twain Says No) (1975, TV 영화) - 마크 트웨인 역
- 《표트르 대제가 무어를 결혼시킨 방법》(How Czar Peter the Great Married Off His Moor) (1976) - 예구진스키 역
- 《장난》(Practical Joke) (1977) - 코마롭스키의 아버지 역
- 《피아노를 위한 미완성 희곡》(An Unfinished Piece for Mechanical Piano) (1977) - 파벨 페트로비치 시체르북 역
- 《외로운 늑대》(Lone Wolf) (1978) - 베르세네프 역
- 《프로스토크바시노에서 온 세 친구》(Three from Prostokvashino) (1978, 단편) - 마트로스킨 고양이 (목소리) 역
- 《달타냥과 삼총사》(D'Artagnan and Three Musketeers) (1979, TV 미니시리즈) - 루이 13세 역
-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Moscow Does Not Believe In Tears) (1980) - 블라디미르 (카테리나의 연인) 역
- 《오블로모프》(A Few Days from the Life of I. I. Oblomov) (1980) - 일리야 일리치 오블로모프 역
- 《공석》(The Vacancy) (1981) - 유소프 역
- 《모든 것이 잘못된 길로》(Everything's the Wrong Way) (1982) - 예르마코프 (아빠) 역
- 《꿈과 현실 속의 비행》(Flights in Dreams and Reality) (1983) - 니콜라이 파블로비치 역
- 《메리 포핀스, 안녕》(Mary Poppins, Goodbye) (1984, TV 영화) - 미스 앤드류 역
- 《시간과 콘웨이 가족》(Time and the Conways) (1984) - 로빈 (성인) 역
- 《어두운 숲 속의 뻐꾸기》(Kukacka v temném lese) (1985) - 오토 쿠쿠크 역
- 《박수갈채, 박수갈채...》(Applause, Applause...) (1985) - 세르게이 셰프초프 역
- 《비 온 뒤 목요일》(After the Rain, on Thursday) (1985) - 코셰이 불사신 역
- 《검은 눈동자》(Dark Eyes) (1987) - 수아 그라치아 역
- 《카푸친 대로에서 온 남자》(A Man from the Boulevard des Capuchines) (1987) - 해리 역
- 《춤》(Shag) (1989) - 투투노프 역
- 《특권 있는 사랑》(Love with Privileges) (1989) - 니콜라이 페트로비치 (KGB 장군) 역
- 《그것》(It) (1989) - 브루다스티 역
- 《로열 헌트》(Royal Hunt) (1990) - 알렉산드르 골리친 역
- 《이너 서클》(The Inner Circle) (1991) - 블라시크 역
- 《스탈린》(Stalin) (1992) - 비노그라도프 박사 역
- 《모스크바 휴가》(Moscow Vacation) (1995) - 마우리치오 역
- 《셜리-미를리》(Shirli-Myrli) (1995) - 수호드리셰프 역
- 《세 가지 이야기》(Three Stories) (1997) - 노인 역
- 《동정심 구하는 자》(Sympathy Seeker) (1997) - 요리사 역
- 《콰드리유》(Quadrille) (1999) - 사냐 아레피예프 역
- 《대통령과 그의 손녀》(The President and His Granddaughter) (2000) - 대통령 역
- 《내게 달빛을 줘》(Give Me Moonlight) (2001) - 카메오 역
- 《테이킹 사이즈》(Taking Sides) (2001) - 딤시츠 대령 역
- 《국가 고문관》(The State Counsellor) (2005) - 돌고루코이 공작 역
- 《예세닌》(Yesenin) (2005, TV 미니시리즈) - 시마긴 KGB 장군 역
- 《친척들》(Relatives) (2006) - 시장 역
- 《욜키 2》(Yolki 2) (2011) - 카메오 역
- 《더 키친 인 파리》(The Kitchen in Paris) (2014) - 표트르 바리노프 역
- 《키친. 최후의 전투》(Kitchen. The Last Battle) (2017) - 표트르 바리노프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