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야스마니 코페요 에스코바르(Yasmani Copello Escobar스페인어)는 쿠바 출신 튀르키예의 육상 선수로, 주 종목은 400m 허들이다. 쿠바의 수도 하바나에서 태어나 쿠바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여러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튀르키예로 이주하여 2013년 튀르키예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2014년부터 튀르키예 국가대표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튀르키예 육상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그는 튀르키예를 대표하여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400m 허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튀르키예 남자 트랙 종목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또한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017년 런던 대회 은메달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016년 암스테르담 대회 금메달, 2018년 베를린 대회 은메달, 2022년 뮌헨 대회 동메달을 획득했다. 개인 최고 기록은 47.81초로, 이는 튀르키예 국가 기록이다. 다이아몬드 리그를 포함한 주요 프로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며 튀르키예 육상계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 초기 생애 및 쿠바 경력
야스마니 코페요 에스코바르는 1987년 4월 15일 쿠바의 수도 하바나에서 태어났다. 그는 키 191 cm, 몸무게 85 kg의 신체 조건을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육상을 시작하여 십대 시절부터 쿠바 국내 대회에 출전하며 육상 선수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2.1. 쿠바에서의 아마추어 경력
2006년 십대 시절부터 쿠바 국내 대회에 출전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쿠바 육상 선수권 대회 400m 허들에서 4위를 차지했고, 올림피아다 쿠바나에서는 5위에 올랐다. 2007년에는 개인 최고 기록들을 연이어 경신했다. 라파엘 포르툰 전국 대회에서 400m 개인 최고 기록 47.48초를 세웠고, 하바나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400m 허들 50.43초를 기록했다. 그해 첫 국제 대회인 2007년 ALBA 게임에서 쿠바 동료 오마르 시스네로스에 이어 400m 허들 은메달을 획득하며 개인 최고 기록인 49.99초를 달성했다. 또한 시스네로스와 팀을 이뤄 쿠바가 4x400m 계주 금메달을 따는 데 기여했다.
2008년에는 이베로-아메리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쿠바 계주팀의 일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육상 선수권 대회에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여 자메이카의 아이사 필립스에 이어 400m 허들 은메달을 획득했고, 110m 허들 예선에도 출전하여 개인 최고 기록 14.35초를 세웠다. 그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쿠바 계주 선수단에 잠정적으로 포함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출전하지 못했다.
2009년 ALBA 게임에서는 2년 전과 동일하게 시스네로스에 이어 2위를 차지한 후 계주 종목에서 우승을 공유했다. 그러나 같은 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하비에르 쿨손, 펠릭스 산체스 (허들 선수), 제휴 고든 등 당시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결승 진출자들이었던 메달리스트들을 제치지 못하고 5위에 머물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9년 2월 하바나에서 200m 21.44초, 400m 46.77초, 400m 허들 49.56초의 새로운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며 기량을 한층 더 끌어올렸다.
2010년에는 쿠바 국내 대회인 바리엔토스 기념 대회에서 2위를, 2010년 올림피아다 쿠바나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등 간헐적으로 경기에 출전했다. 2011년에는 코파 쿠바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이는 쿠바에서 거둔 그의 마지막 우승이었다.
2.2. 튀르키예로의 귀화
2012년 야스마니 코페요는 튀르키예로 이주하여 페네르바흐체 SK 육상팀에 합류해 튀르키예 국내 클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3년 프랑스 발 드 뢰유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실내 400m 허들에서 49.54초의 개인 최고 기록이자 쿠바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그의 실외 기록보다 빠른 이례적인 기록이었다.
2013년 10월 튀르키예 국적을 선택했으며, 2014년 4월 30일부터 튀르키예를 대표하여 국제 대회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3. 튀르키예 국가대표 국제 경력
튀르키예 국가대표로 전환한 후 야스마니 코페요는 튀르키예 육상계에 전례 없는 성공을 안겨주었다. 특히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3.1. 세계 및 올림픽 선수권 대회
튀르키예 국가대표로 첫 출전한 주요 대회 중 하나는 2015년 베이징에서 열린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였다. 그는 이 대회 남자 400m 허들에서 튀르키예 선수로는 최초로 해당 종목에 출전했다. 예선에서 48.89초, 준결승에서 48.46초를 기록하며 대회 전 개인 최고 기록(49.39초)을 크게 단축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48.96초로 6위를 기록하며 메달을 놓쳤지만, 튀르키예 육상 역사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2016년 리오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400m 허들에서는 튀르키예 선수로는 최초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까지 통과하며 2년 연속으로 세계 주요 대회 결승 무대를 밟았다. 결승에서는 한 달 전 자신이 세운 개인 최고 기록이자 튀르키예 기록인 48.42초를 크게 경신하는 47.92초의 새로운 튀르키예 국가 기록을 수립하며 케런 클레먼트 (47.73초)와 보니파스 툼티 (47.78초)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튀르키예가 올림픽 남자 트랙 종목에서 획득한 최초의 메달로 기록되었다.
2017년 런던에서 개최된 201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남자 400m 허들에서는 시즌 세계 랭킹 5위, 출전 선수 중 4위인 48.24초의 기록을 가지고 출전했다. 그는 예선과 준결승을 무난히 통과하여 3년 연속으로 세계 주요 대회의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카르스텐 바르홀름에게 0.14초 뒤진 48.49초로 아쉽게 우승을 놓쳤지만 은메달을 획득하며 2년 연속으로 세계 무대에서 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남자 트랙 종목에서 튀르키예가 획득한 최초의 메달이다.
3.2. 유럽 및 지중해 선수권 대회
2014년 루마니아 바카우에서 열린 발칸 육상 선수권 대회 400m 허들에서 은메달을, 4x400m 계주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튀르키예 국가대표로서 첫 국제 대회 메달을 신고했다. 2015년 루마니아 피테슈티에서 열린 발칸 선수권 대회에서는 400m 허들 금메달과 4x400m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7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201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남자 400m 허들 준결승에서 48.42초의 튀르키예 신기록(당시)을 세우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기록이 다소 떨어졌지만, 결승 진출자 중 유일하게 48초대(48.98초)를 기록하며 세르히오 페르난데스 (49.06초)와 카림 후세인 (49.10초)을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남자 단거리 종목(허들 포함)에서 튀르키예가 획득한 최초의 금메달이다. 또한 2016년 발칸 선수권 대회 4x4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추가했다.
2017년 프랑스 릴에서 열린 유럽 육상 팀 선수권 대회 400m 허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201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400m 허들에서는 47.81초의 개인 최고 기록이자 튀르키예 국가 기록을 수립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2016년 대회에 이어 두 번째 유럽 선수권 메달이었다. 같은 해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18년 지중해 경기대회 400m 허들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독일 뮌헨에서 열린 202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400m 허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 번째 유럽 선수권 메달을 기록했다. 같은 해 알제리 오란에서 열린 2022년 지중해 경기대회 400m 허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4x400m 계주에서도 은메달을 추가했다.
3.3. 다이아몬드 리그 및 기타 프로 대회
야스마니 코페요는 국제적인 프로 육상 대회인 다이아몬드 리그에서도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016년 다이아몬드 리그의 일환으로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비스렛 게임즈 남자 400m 허들에서 48.79초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4. 개인 최고 기록
야스마니 코페요 에스코바르가 선수 경력 동안 달성한 주요 종목별 개인 최고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종목 | 기록 | 날짜 | 장소 | 비고 |
|---|---|---|---|---|
| 실외 | ||||
| 200m | 21.44초 | 2009년 2월 13일 | 하바나 | |
| 400m | 46.77초 | 2009년 2월 13일 | 하바나 | |
| 110m 허들 | 14.35초 (+1.9 m/s) | 2008년 7월 5일 | 칼리 | |
| 400m 허들 | 47.81초 | 2018년 8월 9일 | 베를린 | 튀르키예 국가 기록 |
| 실내 | ||||
| 400m 허들 | 49.54초 | 2013년 2월 13일 | 발 드 뢰유 | 쿠바 실내 기록 |
5. 주요 대회 결과
야스마니 코페요 에스코바르가 참가했던 주요 국제 대회 및 지역 대회의 상세 결과와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비고 |
|---|---|---|---|---|---|---|
| 쿠바 | ||||||
| 2007 | ALBA 게임 | 카라카스 | 400m 허들 | 은메달 | 49.99초 | |
| 4x400m 계주 | 금메달 | 3분06.84초 (3번 주자) | ||||
| 2008 | 이베로-아메리카 육상 선수권 대회 | 이키케 | 4x400m 계주 | 금메달 | 3분03.22초 (3번 주자) | |
|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육상 선수권 대회 | 칼리 | 110m 허들 | 예선 | 14.35초 (+1.9 m/s) | 개인 최고 기록 | |
| 400m 허들 | 은메달 | 50.08초 | ||||
| 2009 | ALBA 게임 | 하바나 | 400m 허들 | 은메달 | 50.13초 | |
| 4x400m 계주 | 금메달 | 3분08.17초 (4번 주자) | ||||
|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육상 선수권 대회 | 하바나 | 400m 허들 | 5위 | 50.09초 | ||
| 튀르키예 | ||||||
| 2014 | 발칸 육상 선수권 대회 | 바카우 | 400m 허들 | 은메달 | 50.62초 | 타임 레이스 종합 2위 |
| 4x400m 계주 | 금메달 | 3분07.41초 (1번 주자) | 타임 레이스 종합 1위 | |||
| 2015 | 발칸 육상 선수권 대회 | 피테슈티 | 400m 허들 | 금메달 | 50.19초 | 타임 레이스 종합 1위 |
| 4x400m 계주 | 금메달 | 3분06.55초 (3번 주자) |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베이징 | 400m 허들 | 6위 | 48.96초 | 준결승 48.46초: 튀르키예 국가 기록 | |
| 2016 | 발칸 육상 선수권 대회 | 피테슈티 | 4x400m 계주 | 금메달 | 3분04.21초 (2번 주자) | |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암스테르담 | 400m 허들 | 금메달 | 48.98초 | 준결승 48.42초: 튀르키예 국가 기록 | |
| 4x400m 계주 | 예선 | 3분04.65초 (2번 주자) | ||||
| 올림픽 | 리오데자네이루 | 400m 허들 | 동메달 | 47.92초 | 튀르키예 국가 기록 | |
| 201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런던 | 400m 허들 | 은메달 | 48.49초 | |
| 2018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베를린 | 400m 허들 | 은메달 | 47.81초 | 튀르키예 국가 기록 |
| 지중해 경기대회 | 타라고나 | 400m 허들 | 은메달 | 48.76초 | ||
| 2022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뮌헨 | 400m 허들 | 동메달 | 48.78초 | |
| 지중해 경기대회 | 오란 | 400m 허들 | 금메달 | 48.27초 | ||
| 4x400m 계주 | 은메달 | 3분02.59초 | ||||
6. 유산 및 국가 기록
야스마니 코페요 에스코바르는 튀르키예 육상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역사적인 이정표를 세웠다. 그는 400m 허들 종목의 튀르키예 국가 기록 (47.81초) 보유자이다.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400m 허들 동메달을 획득한 것으로, 이는 튀르키예 남자 트랙 종목에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사례이다. 그는 또한 튀르키예 육상 선수 중 처음으로 올림픽 400m 허들 준결승 및 결승에 진출한 선수이기도 하다.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튀르키예 육상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2016년 암스테르담 대회에서 남자 400m 허들 금메달을 획득하며 튀르키예 남자 단거리 종목(허들 포함) 최초의 유럽 선수권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어서 2018년 베를린 대회에서 은메달, 2022년 뮌헨 대회에서 동메달을 추가하며 꾸준히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7년 런던 대회 남자 400m 허들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세계 선수권 대회 남자 트랙 종목에서 튀르키예가 획득한 최초의 메달로, 그의 국제적 위상과 튀르키예 육상 발전에 기여한 바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처럼 야스마니 코페요 에스코바르는 쿠바에서 튀르키예로 귀화한 후 튀르키예 육상계에 전례 없는 성공을 안겨주었으며, 그의 뛰어난 성과는 튀르키예 육상 역사의 중요한 페이지로 기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