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Career Beginnings
티노 코스타는 유소년 클럽에서 축구 경력을 시작하여 과들루프와 프랑스 하위 리그를 거치며 프로 선수로서의 기반을 다졌다.
1.1. Birth and Youth
알베르토 파쿤도 "티노" 코스타는 1985년 1월 9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근처의 라스 플로레스에서 태어났다. 1996년부터 2002년까지 고향의 지역 클럽인 라 테라차 유소년 팀에서 뛰며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17세가 되던 2002년, 그는 과감하게 과들루프 섬으로 건너가 라싱 클럽 드 바스테르에 입단했다. 과들루프에 머무는 동안 그는 학업을 병행하며 슈퍼마켓에서 일하기도 했다.
1.2. Early Professional Steps
티노 코스타는 라싱 클럽 드 바스테르에서 2년 동안 뛰면서 팀이 리그와 컵을 동시에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2004 쿠프 드 과들루프 결승전에서 AS 고시에르를 3-1로 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과들루프에서의 뛰어난 활약은 라싱 클럽 드 파리의 주목을 받았고, 그는 입단 테스트를 거쳐 프랑스 3부 리그인 샹피오나 나시오날 소속의 라싱에 합류했다. 라싱에서 한 시즌(2004-05)을 보내며 총 28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다.
그 다음 시즌, 코스타는 같은 샹피오나 나시오날 소속의 포 FC로 이적했다. 포 FC에서는 두 시즌(2005-07) 동안 총 62경기(각 시즌 31경기씩)에 출전하여 4골을 넣었으며, 팀이 강등을 간신히 면하는 데 기여했다. 포 FC를 떠난 후, 그는 세 번째 샹피오나 나시오날 클럽인 FC 세트에 입단했다. 2007-08 시즌 FC 세트에서 29경기에 출전하여 3골과 7개의 도움을 기록하며 리그 내에서 유명세를 얻었다. 그는 또한 9장의 옐로카드를 받기도 했다. 그의 활약으로 코스타는 리그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고, 이는 상위 리그 클럽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2. Professional Club Career
티노 코스타는 프랑스 하위 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낸 뒤, 리그 1과 라 리가의 명문 클럽에서 핵심 미드필더로 성장했으며, 이후 러시아,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스페인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했다.
2.1. Montpellier HSC
티노 코스타는 2008-09 시즌을 앞두고 리그 2 소속의 몽펠리에와 3년 계약을 맺었다. 그는 시즌 개막전인 RC 스트라스부르와의 경기에서 풀타임 출전하며 데뷔했고, 몇 주 후 스타드 드 랭스를 4-0으로 대파한 경기에서 첫 골을 기록했다. 그는 시즌 전반기에는 득점이 주춤했지만, 시즌 중반에 US 불로뉴를 상대로 2골을 넣으며 폼을 되찾았다. 이후 디종 FCO, LB 샤토루, 스타드 브레스트 29, 클레르몽 푸트를 상대로 잇따라 득점했다. 그의 활약 덕분에 몽펠리에는 리그 1 승격을 위한 선두 그룹에 합류할 수 있었다. 시즌 최종전에서 스트라스부르를 2-1로 꺾으며 몽펠리에는 리그 1로 복귀했고, 코스타는 전반 19분 결승골을 넣으며 팀의 승격을 이끌었다. 이 시즌 동안 그는 35경기에서 8골 11도움을 기록했다. 그는 리그 2 올해의 선수상 후보에 올랐으나 폴 아로오에게 수상의 영광을 내주었다.
시즌이 끝난 후 RC 랑스와 툴루즈 FC를 포함한 여러 리그 1 클럽들이 코스타 영입에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코스타는 몽펠리에를 떠날 의사가 없음을 밝히고 2009년 7월 1일 계약을 2013년까지 연장했다. 2009-10 시즌에는 개막전 파리 생제르맹 FC와의 1-1 무승부 경기에 결장했지만, FC 로리앙과의 경기에서 리그 1 데뷔와 동시에 전반 60분 선제골을 기록하며 2-2 무승부를 이끌었다. 다음 주에는 FC 소쇼 몽벨리아르를 상대로 2-0 승리에 기여하는 골을 넣었고, 2주 후에는 랑스를 상대로 전반 39분 페널티 킥을 성공시키며 결승골을 기록했다. 이 시즌 그는 31경기에 출전하여 7골 6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5위와 UEFA 유로파리그 출전권 획득에 기여했다.
2.2. Valencia CF
2010년 7월 1일, 티노 코스타는 스페인 라리가의 명문 클럽인 발렌시아와 4년 계약을 맺으며 이적했다. 이적료는 약 650.00 만 EUR으로 알려졌다. 그는 발렌시아 데뷔전이자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였던 부르사스포르 원정 경기에서 강력한 30야드 중거리 슛으로 첫 골을 기록했고, 발렌시아는 이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그는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0년 11월 14일 헤타페를 상대로 첫 리그 골을 넣었으며, 12월 18일에는 레알 소시에다드를 상대로 35야드 거리에서 프리킥으로 두 번째 리그 골을 기록했다. 그는 발렌시아에서 2010-11 시즌 리그 24경기 4골, 컵 1경기 0골, 유럽 대항전 7경기 2골을 기록하며 총 32경기 6골을 기록했다. 2011-12 시즌에는 리그 27경기 5골, 컵 5경기 1골, 유럽 대항전 9경기 1골로 총 41경기 7골을 기록했다. 2012-13 시즌에는 리그 31경기 1골, 컵 3경기 2골, 유럽 대항전 8경기 0골로 총 42경기 3골을 기록했다. 2011년 그는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
2.3. FC Spartak Moscow and Loan Spells
2013년 6월 5일, 티노 코스타는 이적료 약 700.00 만 EUR에 러시아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이적했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 그는 2013-14 시즌 24경기 3골을 기록하는 등 총 27경기 3골을 기록했으며, 2014-15 시즌에는 7경기 0골을 기록했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소속이던 2015-16 시즌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제노아로 임대되었다. 제노아에서는 2014-15 시즌 후반기에 6경기 2골을 기록했으며, 2015-16 시즌 전반기에는 12경기 0골을 기록했다. 이후 2016년 1월 15일, 피오렌티나가 코스타를 시즌 종료 시 완전 영입 옵션이 포함된 6개월 임대 계약으로 영입했음을 확인했다. 피오렌티나에서 그는 7경기에 출전했지만 득점은 없었다.
2.4. Later Career
2016년 7월 21일 자정, 티노 코스타는 자유 계약 신분으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떠나 아르헨티나의 산 로렌소에 입단했다. 그러나 그는 산 로렌소에서 8경기 출전에 그쳤다.
2017년 8월 1일, 코스타는 세군다 디비시온 소속의 알메리아와 1년 계약을 맺으며 스페인으로 복귀했다. 그는 14경기에서 2골을 기록했지만, 부상으로 인해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다.
2018년 7월 4일, 그는 산 마르틴 투쿠만에 합류하며 1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갔다. 산 마르틴 투쿠만에서 그는 2018-19 시즌에 13경기 4골을 기록했다. 이후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에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11경기 1골을 기록했으며, 2020년 다시 산 마르틴 투쿠만으로 복귀했으며, 2021년과 2022년에 걸쳐 총 41경기 6골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CD 모론에서 2경기에 출전했다.
2023년 9월, 38세의 나이에 마지막 소속팀이었던 포 FC로 다시 돌아와 1년 계약을 맺었다. 그는 9월 4일부터 포 FC에서 훈련하며 좋은 신체 상태를 보여 구단으로부터 계약을 제의받았다. 이 두 번째 활동 기간 동안 그는 3경기에 출전했지만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3. International Career
티노 코스타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총 2경기에 출전했다. 그러나 국가대표팀에서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4. Playing Style
티노 코스타는 주로 중앙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그의 주요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였다. 그는 왼발잡이 선수로, 정확하고 강력한 킥 능력을 바탕으로 중거리 슛과 프리킥 상황에서 위협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한, 동료들에게 어시스트를 제공하는 능력이 뛰어났으며, 경기를 조율하고 공격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 신장: 176 cm, 체중: 70 kg
5. Retirement
2024년 5월, 티노 코스타는 마지막 소속팀이었던 포 FC에서 선수 경력의 은퇴를 공식 발표했다.
6. Honours
- 라싱 클럽 드 바스테르**
- 과들루프 디비전 도뇌르: 2003-04
- 쿠프 드 과들루프: 2004
7. Career Statistics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유럽 | 총합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라싱 클럽 드 바스테르 | 2003-04 | 과들루프 디비전 도뇌르 | ||||||||
라싱 클럽 드 파리 | 2004-05 | 샹피오나 나시오날 | 28 | 3 | 0 | 0 | 0 | 0 | 28 | 3 |
포 FC | 2005-06 | 샹피오나 나시오날 | 31 | 2 | 1 | 0 | 0 | 0 | 32 | 2 |
2006-07 | 샹피오나 나시오날 | 31 | 2 | 1 | 0 | 0 | 0 | 32 | 2 | |
합계 | 62 | 4 | 2 | 0 | 0 | 0 | 64 | 4 | ||
FC 세트 | 2007-08 | 샹피오나 나시오날 | 29 | 3 | 0 | 0 | 0 | 0 | 29 | 3 |
몽펠리에 HSC | 2008-09 | 리그 2 | 35 | 8 | 2 | 0 | 0 | 0 | 37 | 8 |
2009-10 | 리그 1 | 31 | 7 | 2 | 0 | 0 | 0 | 33 | 7 | |
합계 | 66 | 15 | 4 | 0 | 0 | 0 | 70 | 15 | ||
발렌시아 CF | 2010-11 | 라리가 | 24 | 4 | 1 | 0 | 7 | 2 | 32 | 6 |
2011-12 | 라리가 | 27 | 5 | 5 | 1 | 9 | 1 | 41 | 7 | |
2012-13 | 라리가 | 31 | 1 | 3 | 2 | 8 | 0 | 42 | 3 | |
합계 | 82 | 10 | 9 | 3 | 24 | 3 | 115 | 16 | ||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2013-14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24 | 3 | 1 | 0 | 2 | 0 | 27 | 3 |
2014-15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7 | 0 | 1 | 0 | 0 | 0 | 8 | 0 | |
합계 | 31 | 3 | 2 | 0 | 2 | 0 | 35 | 3 | ||
제노아 CFC (임대) | 2014-15 | 세리에 A | 6 | 2 | 0 | 0 | 0 | 0 | 6 | 2 |
2015-16 | 세리에 A | 12 | 0 | 0 | 0 | 0 | 0 | 12 | 0 | |
합계 | 18 | 2 | 0 | 0 | 0 | 0 | 18 | 2 | ||
ACF 피오렌티나 (임대) | 2015-16 | 세리에 A | 7 | 0 | 0 | 0 | 1 | 0 | 8 | 0 |
CA 산 로렌소 | 2016-17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8 | 0 | 2 | 0 | 3 | 0 | 13 | 0 |
UD 알메리아 | 2017-18 | 세군다 디비시온 | 14 | 2 | 1 | 0 | 0 | 0 | 15 | 2 |
CA 산 마르틴 (투쿠만) | 2018-19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13 | 4 | 2 | 0 | 0 | 0 | 15 | 4 |
2020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0 | 0 | 0 | 0 | 0 | 0 | 0 | 0 | |
2021 | 프리메라 나시오날 | 28 | 4 | 0 | 0 | 0 | 0 | 28 | 4 | |
2022 | 프리메라 나시오날 | 13 | 2 | 0 | 0 | 0 | 0 | 13 | 2 |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2019 |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 9 | 1 | 2 | 0 | 0 | 0 | 11 | 1 |
2020 |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 2 | 0 | 0 | 0 | 0 | 0 | 2 | 0 | |
합계 | 11 | 1 | 2 | 0 | 0 | 0 | 13 | 1 | ||
CD 모론 | 2023 | 프리메라 나시오날 | 2 | 0 | 0 | 0 | 0 | 0 | 2 | 0 |
포 FC | 2023-24 | 프랑스 리그 2 | 3 | 0 | 0 | 0 | 0 | 0 | 3 | 0 |
커리어 총합 | 410 | 53 | 24 | 3 | 30 | 3 | 464 | 59 |
8. Personal Life
티노 코스타는 2011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프랑스에서 성장하고 활약하며 프랑스어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