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삶과 경력 시작
알렉산드르 쿠를로비치는 1961년 7월 28일 구 소련의 흐로드나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향인 흐로드나에 위치한 군대 스포츠 클럽인 SKA 흐로드나에서 훈련을 시작하며 역도 선수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그의 키는 약 185cm로, 최중량급 선수로서 이상적인 신체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2. 역도 경력
알렉산드르 쿠를로비치는 110kg 이상급(+110kg) 및 108kg 이상급(+108kg)에서 활동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그의 경력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세계 역도의 최정상급 선수로 군림했다. 그의 주요 성과들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등 여러 국제 무대에서 빛을 발했다.
2.1. 주요 성과
쿠를로비치는 올림픽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남자 +110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4년 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독립 국가 연합 소속으로 남자 +110kg급에서 다시 금메달을 따내며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다.
그는 또한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4번의 금메달과 1번의 은메달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는 1987년 오스트라바, 1989년 아테네, 1991년 도나우에싱겐에서 +110kg급 금메달을, 1994년 이스탄불에서 +108kg급 금메달을 차지했다. 1983년 모스크바 대회에서는 +110kg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그의 활약은 두드러졌다. 1989년 아테네와 1990년 올보르에서 +110kg급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83년 모스크바에서는 +110kg급 은메달을 기록했다. 국내 대회인 소련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83년 모스크바, 1989년 프룬제, 1991년 도네츠크에서 금메달을, 1984년 민스크와 1987년 아르한겔스크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쿠를로비치의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개최지 | 체급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 순위 | ||||||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순위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순위 | |||||
올림픽 역도 | ||||||||||||
1988년 서울 올림픽 | 대한민국 서울 | +110 kg | 202.5 kg | 207.5 kg | 212.5 kg | 1 | 245 kg | 250 kg | 250 kg | 1 | 462.5 kg | - |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 스페인 바르셀로나 | +110 kg | 195 kg | 200 kg | 205 kg | 1 | 237.5 kg | 245 kg | 250 kg | 1 | 450 kg | -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 미국 애틀랜타 | +108 kg | 195 kg | 195 kg | 195 kg | 4 | 230 kg | 247.5 kg | -- | 7 | 425 kg | 5 |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
198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소련 모스크바 | +110 kg | 195 kg | 200 kg | 205 kg | - | 245 kg | 245 kg | 262.5 kg | - | 450 kg | - |
198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라바 | +110 kg | 205 kg | 210 kg | 212.5 kg | - | 247.5 kg | 260 kg | 266 kg | - | 472.5 kg WR | - |
198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그리스 아테네 | +110 kg | 202.5 kg | 210 kg | 215 kg | - | 240 kg | 245 kg | 262.5 kg | - | 460 kg | - |
1991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독일 도나우에싱겐 | +110 kg | 195 kg | 202.5 kg | 205 kg | - | 237.5 kg | 250 kg | 262.5 kg | - | 455 kg | - |
199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튀르키예 이스탄불 | +108 kg | 197.5 kg | 203 kg WR | 205 kg WR | - | 240 kg | 250.5 kg WR | 253 kg WR | - | 457.5 kg WR | - |
2.2. 세계 기록 및 개인 최고 기록
알렉산드르 쿠를로비치는 선수 경력 동안 총 12개의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 그의 개인 최고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인상: 215 kg (1989년 아테네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용상: 260 kg (1987년 오스트라바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합계: 472.5 kg (1987년 오스트라바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110kg급)
2019년 기준으로, 쿠를로비치의 인상 기록인 215 kg보다 더 높은 기록을 세운 선수는 안토니오 크라스테프 (불가리아), 베흐다드 살리미 (이란), 고르 미나시안 (아르메니아, 바레인), 라샤 탈라하제 (조지아) 단 네 명뿐이다. 그의 용상 기록인 260 kg보다 높은 기록을 세운 선수는 세르게이 디디크, 아나톨리 피사렌코, 레오니트 타라넨코 (이상 소련), 안드레이 체메르킨 (러시아), 라샤 탈라하제 (조지아), 호세인 레자자데 (이란) 단 여섯 명뿐이다. 합계 기록인 472.5 kg보다 높은 기록은 라샤 탈라하제, 호세인 레자자데, 레오니트 타라넨코만이 달성했다. 이는 그가 당대 최고의 역도 선수 중 한 명이었음을 보여준다.
3. 논란
알렉산드르 쿠를로비치는 선수 경력 중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관련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1984년, 그는 캐나다에 입국하는 과정에서 약 1.00 만 USD 상당의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를 소지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당시 그는 동료 역도 선수들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불법 소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으로 인해 쿠를로비치뿐만 아니라 동료 선수인 아나톨리 피사렌코와 소련 국가대표팀 트레이너도 함께 체포되었으며, 이 사건은 국제 역도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4. 수상 및 인정
쿠를로비치는 그의 탁월한 역도 경력을 인정받아 다양한 칭호와 상훈을 받았다. 1987년에는 소련의 '공훈 스포츠 마스터' 칭호를 획득했다. 또한, 그는 '명예의 배지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1992년에는 '벨라루스 공화국 물리 문화 명예 노동자'로 선정되었다. 그의 사후 평가 또한 높이 평가되며, 2006년에는 그의 업적을 기려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5. 사망
알렉산드르 쿠를로비치는 2018년 4월 6일 벨라루스 흐로드나에 위치한 고향에서 향년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사망 원인은 심장 발작으로 알려져 있다.
6. 유산 및 평가
알렉산드르 쿠를로비치는 그의 탁월한 기량과 압도적인 성과로 역도 역사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그의 유산과 선수로서의 업적은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된다.
6.1. 역도계에 미친 영향
쿠를로비치는 최중량급 역도 선수로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그가 선수 경력 동안 세운 12개의 세계 기록은 그의 독보적인 위치를 증명하며, 그의 개인 최고 기록들은 오랫동안 다른 선수들에게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로 남아있었다. 특히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한 합계 472.5 kg는 당대 최고 기록 중 하나였으며, 이후 소수의 엘리트 선수들만이 이 기록을 경신할 수 있었다. 그는 인상과 용상 기술 모두에서 뛰어난 완성도를 보여주며 후대 최중량급 선수들의 롤 모델이 되었다.
6.2. 대중적 및 역사적 평가
대중적, 역사적 관점에서 알렉산드르 쿠를로비치는 뛰어난 운동 능력과 꾸준한 성과로 찬사를 받았다. 올림픽 2연패와 세계 선수권 4회 우승은 그를 역도계의 전설로 만들기에 충분한 업적이었다. 그의 강력한 힘과 기술은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러나 1984년에 발생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관련 논란은 그의 경력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이 사건은 당시 소련 스포츠 시스템의 도핑 문제와 맞물려 비판적인 시각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경기력과 스포츠 역사에 미친 영향력은 부인할 수 없으며,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 헌액은 그의 전반적인 업적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그는 빛나는 성과와 함께 논란을 겪은 복합적인 인물로 역도사에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