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초기 경력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드라마 비평가와 희극 작가로서의 초기 활동을 거쳐 영화 제작에 뛰어들었으며, 이후 국제적인 경험을 쌓으며 이탈리아 영화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1.1. 출생 및 유년 시절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1892년 1월 28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태어났다. 그의 유년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많지 않지만, 그는 일찍이 글쓰기에 재능을 보였다.
1.2. 초기 경력
제니나는 초기에 잡지 《일 몬도》(Il Mondo이탈리아어)에서 드라마 비평가이자 희극 작가로 활동하며 글쓰기 경력을 시작했다. 알도 데 베네데티(Aldo de Benedetti이탈리아어)의 조언을 받아 영화계로 전향했으며, 영화 제작사 '필름 다르테 이탈리아나'(Film d'Arte Italiana이탈리아어)에서 첫 영화 《그녀의 각하의 아내》(La moglie di sua eccellenza이탈리아어)를 제작하며 영화 감독으로서의 첫발을 내디뎠다.
2. 국제적인 활동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이탈리아를 넘어 프랑스와 독일에서 활동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영화 기술을 습득했다.
2.1. 프랑스 및 독일에서의 활동
1929년, 제니나는 프랑스로 이주하여 국제적인 경력을 시작했다. 프랑스에서 그는 미국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Louise Brooks영어)가 출연한 초기 유성 영화 《미스 유럽》(Prix de beauté프랑스어)을 감독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 이 작품은 루이즈 브룩스의 유일한 프랑스 영화이기도 하다. 제니나는 프랑스와 독일에서 활동하는 동안 사운드 기술을 연구했으며, 여러 언어로 동시에 제작되는 영화 작업에 참여하여 국제적인 제작 환경에 대한 경험을 쌓았다. 그는 이탈리아로 돌아오기 전까지 이들 국가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3. 이탈리아에서의 경력
국제적인 활동을 마치고 이탈리아로 돌아온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파시즘 시대와 전후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영화를 제작했다.
3.1. 파시즘 시대의 영화 제작
이탈리아로 복귀한 제니나는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 정권 하에서 여러 영화를 제작했다. 이 시기의 작품 중 상당수는 파시스트 선전 영화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작품들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의 최고상인 무솔리니 컵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1936년에는 《하얀 비행대》(Lo squadrone bianco이탈리아어)로, 1940년에는 《알카사르의 포위》(L'assedio dell'Alcazar이탈리아어)로 수상했으며, 일부 일본어 자료에 따르면 1942년에도 수상하여 총 세 차례 이 상을 받았다.
3.2. 전후 영화 활동
전후 이탈리아 영화계에서 제니나는 네오리얼리즘에 접근하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1949년에는 성인 마리아 고레티(Maria Goretti이탈리아어)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늪 위의 하늘》(Cielo sulla palude이탈리아어)을 감독했다. 이 작품은 네오리얼리즘 영화치고는 멜로드라마적인 경향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작품 자체로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이 영화로 1950년 나스트로 다르젠토 상의 최우수 작품 감독상을 수상했다. 1953년에는 주세페 데 산티스(Giuseppe De Santis이탈리아어)의 《로마 11시》(Roma ore 11이탈리아어)에서 다루었던 실제 사건을 다른 시각으로 재해석한 《세 가지 금지된 이야기》(Tre storie proibite이탈리아어)를 제작하기도 했다.
4. 주요 업적 및 작품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이탈리아 영화의 개척자로서 수많은 영화를 연출했으며, 그의 작품들은 이탈리아 영화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4.1. 연출 작품 목록
아우구스토 제니나가 감독한 주요 영화는 다음과 같다.
- 《그녀의 각하의 아내》(La moglie di sua eccellenza이탈리아어) (1913)
- 《몬로 성의 비밀》(Il segreto del castello di Monroe이탈리아어) (1914)
- 《작은 성냥팔이 소년》(Il piccolo cerinaio이탈리아어) (1914)
- 《죽이는 말》(La parola che uccide이탈리아어) (1914)
- 《다이아몬드의 도주》(La fuga dei diamanti이탈리아어) (1914)
- 《가장 무도회 후》(Dopo il veglione이탈리아어) (1914)
- 《시바의 반지》(L'anello di Siva이탈리아어) (1914)
- 《룰루》(Lulu이탈리아어) (1915)
- 《질투》(Gelosia이탈리아어) (1915)
- 《황금 날개의 나비》(La farfalla dalle ali d'oro이탈리아어) (1915)
- 《자정》(Mezzanotte이탈리아어) (1915)
- 《이중 상처》(Doppia ferita이탈리아어) (1915)
- 《100마력》(Cento H.P.이탈리아어) (1915)
- 《다이아몬드 정복》(La conquista dei diamanti이탈리아어) (1915)
- 《마지막 변장》(L'ultimo travestimento이탈리아어) (1916)
- 《생존자》(Il sopravvissuto이탈리아어) (1916)
- 《어느 날의 꿈》(Il sogno di un giorno이탈리아어) (1916)
- 《왕관의 드라마》(Il dramma della corona이탈리아어) (1916)
- 《사이클론 아가씨》(La signorina Ciclone이탈리아어) (1916)
- 《불멸의 혈족》(Il siluramento dell'Oceania이탈리아어) (1917)
- 《말괄량이》(Maschiaccio이탈리아어) (1917)
- 《반딧불이》(Lucciola이탈리아어) (1917)
- 《왕좌와 의자》(Il trono e la seggiola이탈리아어) (1918)
- 《불가능의 왕자》(The Prince of the Impossible이탈리아어) (1918)
- 《죄의 정직함》(L'onestà del peccato이탈리아어) (1918)
- 《칼리다 - 미라 이야기》(Kalidaa - la storia di una mummia이탈리아어) (1918)
- 《이민자》(L'emigrata이탈리아어) (1918)
- 《두 개의 십자가》(I due crocifissi이탈리아어) (1918)
- 《안녕, 청춘!》(Goodbye Youth이탈리아어) (1918)
- 《여인》(Femmina - Femina이탈리아어) (1918)
- 《화로》(Lo scaldino이탈리아어) (1919)
- 《루크레치아 보르지아》(Lucrezia Borgia이탈리아어) (1919)
- 《노리스》(Noris이탈리아어) (1919)
- 《여인과 시체》(La donna e il cadavere이탈리아어) (1919)
- 《가면과 얼굴》(La maschera e il volto이탈리아어) (1919)
- 《벨 아미》(Bel ami이탈리아어) (1919)
- 《비주의 모험》(Le avventure di Bijou이탈리아어) (1919)
- 《악마들》(I diabolici이탈리아어) (1920)
- 《세 명의 감상주의자》(I tre sentimentali이탈리아어) (1920)
- 《악덕의 바퀴》(La ruota del vizio이탈리아어) (1920)
- 《아내, 남편 그리고...》(Moglie, marito e...이탈리아어) (1920)
- 《고통스러운 여인》(La douloureuse이탈리아어) (1920)
- 《멜랑콜리 성》(Il castello della malinconia이탈리아어) (1920)
- 《신의 모험》(L'avventura di Dio이탈리아어) (1920)
- 《증오의 빚》(Debito d'odio이탈리아어) (1920)
- 《사슬에 묶인 여인》(L'incatenata이탈리아어) (1921)
- 《위기》(La crisi이탈리아어) (1921)
- 《검은 점》(Un punto nero이탈리아어) (1922)
- 《죄 없는 죄인》(La peccatrice senza peccato이탈리아어) (1922)
- 《한 여인이 지나갔다》(Una donna passò이탈리아어) (1922)
- 《트레쾨르의 루시》(Lucie de Trecoeur이탈리아어) (1922)
- 《제르맹》(Germaine이탈리아어) (1923)
- 《코르사로》(Il corsaro이탈리아어) (1924)
- 《아름다운 아내》(La moglie bella이탈리아어) (1924)
-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Cirano de Bergerac이탈리아어) (1925)
- 《꺼진 화로》(The Hearth Turned Off이탈리아어) (1925)
- 《마지막 영주》(L'ultimo lord이탈리아어) (1926)
- 《상하이의 죄수들》(The Prisoners of Shanghai이탈리아어) (1927)
- 《안녕, 청춘!》(Goodbye Youth이탈리아어) (1927)
- 《하얀 노예》(Die Weisse Sklavin독일어) (1927)
- 《스캄폴로》(Scampolo이탈리아어) (1928)
- 《어린 파리 여인의 이야기》(The Story of a Little Parisian이탈리아어) (1928)
- 《사랑의 가장무도회》(Love's Masquerade이탈리아어) (1928)
- 《16세의 드라마》(Un dramma a sedici anni이탈리아어) (1929)
- 《조롱의 음모》(La congiura delle beffe이탈리아어) (1929)
- 《라틴 지구》(Latin Quarter이탈리아어) (1929)
- 《미스 유럽》(Prix de beauté프랑스어) (1930)
- 《파리의 연인》(Paris-Beguin프랑스어) (1931)
- 《자정의 연인들》(Les Amants de minuit프랑스어) (1931)
- 《남자의 여인》(La femme en homme프랑스어) (1931)
- 《자정의 연인들》(Gli amanti di mezzanotte이탈리아어) (1931)
- 《우리는 아이들이 아니다》(We Are Not Children이탈리아어) (1934)
- 《나를 잊지 마》(Non ti scordar di me이탈리아어) (1935)
- 《나를 잊지 마》(Forget Me Not영어) (1935)
- 《환상의 곤돌라》(The Phantom Gondola이탈리아어) (1936)
- 《하얀 비행대》(Lo squadrone bianco이탈리아어) (1936)
- 《니스에서 온 꽃》(Flowers from Nice이탈리아어) (1936)
- 《불의 키스》(Napoli terra d'amore이탈리아어) (1937)
- 《여인의 사랑과 고통》(Amore e dolore di donna이탈리아어) (1937)
- 《여인의 사랑-여인의 고통》(Woman's Love-Woman's Suffering영어) (1937)
- 《공중의 성》(Castles in the Air영어) (1939)
- 《알카사르의 포위》(L'assedio dell'Alcazar이탈리아어) (1939-40)
- 《벵가지》(Bengasi이탈리아어) (1942)
- 《늪 위의 하늘》(Cielo sulla palude이탈리아어) (1949)
- 《헌신》(Devotion영어) (1950)
- 《세 가지 금지된 이야기》(Tre storie proibite이탈리아어) (1953)
- 《막달레나》(Maddalena이탈리아어) (1954)
- 《프루-프루》(Frou-Frou프랑스어) (1955)
5. 수상 경력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그의 경력 동안 여러 중요한 영화제에서 상을 수상하며 그의 예술적 기여를 인정받았다.
5.1.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제니나는 파시즘 정권 하에서 개최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무솔리니 컵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1936년에는 《하얀 비행대》(Lo squadrone bianco이탈리아어)로, 1940년에는 《알카사르의 포위》(L'assedio dell'Alcazar이탈리아어)로 이 상을 받았다. 일본어 자료에 따르면 그는 1942년에도 수상하여 총 세 차례 무솔리니 컵을 수상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5.2. 기타 주요 수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9년에 개봉한 그의 영화 《늪 위의 하늘》(Cielo sulla palude이탈리아어)은 1950년 나스트로 다르젠토 상에서 최우수 작품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이탈리아 영화 기자 조합이 수여하는 권위 있는 영화상이다.
6. 평가 및 영향
아우구스토 제니나의 작품과 경력은 이탈리아 영화사의 중요한 맥락에서 다양하게 평가되며, 특히 그의 정치적 연관성과 예술적 시도는 후대 영화계에 영향을 미쳤다.
6.1. 긍정적 평가
제니나는 이탈리아 영화의 개척자 중 한 명으로, 무성 영화 시대부터 유성 영화 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기술적 시도를 통해 영화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전후 그의 작품인 《늪 위의 하늘》(Cielo sulla palude이탈리아어)은 네오리얼리즘의 흐름에 접근하면서도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가미하여 대중과 평단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작품은 성인 마리아 고레티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그려내어 예술성과 사회적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6.2. 비판 및 논란
제니나의 경력에서 가장 비판받는 부분은 파시스트 정권 하에서 제작된 선전 영화들이다. 그는 이러한 영화들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무솔리니 컵을 여러 차례 수상했는데, 이는 그의 작품이 당시 정치 체제를 옹호하고 선전하는 데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예술적 가치와는 별개로 정치적 목적을 띠고 있었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평가된다.
6.3. 영화계에 미친 영향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이탈리아 영화의 초기 발전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프랑스와 독일에서 유성 영화 기술을 습득하고 다국어 동시 제작 영화에 참여하는 등 국제적인 경험을 이탈리아 영화계에 접목하려 노력했다. 그의 작품들은 이탈리아 영화의 기술적 진보와 장르적 다양성을 넓히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전후 네오리얼리즘과의 접점에서 보여준 시도는 이탈리아 영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데 일조했다.
7. 사망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1957년에 사망하며 그의 오랜 영화 경력을 마감했다.
7.1. 사망 정보
아우구스토 제니나는 1957년 9월 18일에 사망했다. 그의 사망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