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대학 경력
시드니 윅스는 어린 시절부터 UCLA 농구팀의 전설적인 시기를 이끌며 주목받았다. 그는 대학 시절 세 번의 NCAA 우승을 차지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1.1. 초기 생애 및 교육
시드니 윅스는 1949년 9월 19일 캘리포니아주 콘트라 코스타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로스앤젤레스의 알렉산더 해밀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성적이 좋지 않아 곧바로 그가 진학하기를 희망했던 UCLA에 입학할 수 없었고, 1년 동안 산타모니카 칼리지에 다니며 학업에 매진했다. 이후 UCLA에 입학하여 사회학 학위를 취득했으며, 1971년에는 학업 부문 올아메리칸에도 선정되는 등 학업과 운동 모두에서 뛰어난 면모를 보였다.
1.2. UCLA 선수 경력
파워 포워드이자 센터였던 시드니 윅스는 UCLA에서 경이로운 활약을 펼쳤다. 그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3년 연속 NCAA 남자 농구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다. 1968-69 시즌부터 UCLA 농구팀에 합류한 윅스가 있던 팀은 전년도에 루 앨신더 (후에 카림 압둘-자바)를 앞세워 NCAA 토너먼트를 제패한 강팀이었다. 윅스는 이 해 평균 7.5득점을 기록하며 우승에 기여했지만, 당시에는 그를 유망한 선수로 보는 시선이 많지 않았다. 그러나 명장 존 우든 감독은 그의 뛰어난 운동 능력을 일찌감치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기용했다.
1969년 우승 이후 앨신더가 대학을 졸업하면서 많은 이들이 UCLA의 3연패를 부정적으로 전망했지만, 윅스는 앨신더의 빈자리를 훌륭하게 메우며 팀의 중심 선수로 거듭났다. 1969-70 시즌에는 평균 18.6득점 11.9리바운드를 기록했으며, UCLA는 주변의 예상을 뒤엎고 토너먼트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잭슨빌 대학교를 상대로 윅스는 아티스 길모어와 맞대결을 펼쳤다. 당시 221 cm에 달하는 길모어보다 두 체급은 작은 윅스는 5개의 블록을 기록하는 등 맹활약하며 팀을 80-69 승리로 이끌었고, UCLA는 세 번째 NCAA 우승을 달성했다. 윅스는 이 대회에서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헬름스 애슬레틱 재단 선정 올해의 선수로도 뽑혔다. 또한 AP 통신 선정 올아메리칸 서드 팀에 이름을 올렸다.
다음 시즌인 1970-71 시즌에도 윅스는 21.3득점 12.8리바운드를 기록하며 UCLA를 NCAA 4연패로 이끌었다. 이 시즌에는 올아메리칸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고, USBWA와 스포팅 뉴스 선정 올해의 선수로 뽑혔으며, 1970년과 1971년에는 컨센서스 올아메리칸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등번호 35번은 1996년 2월 1일 UCLA의 홈 코트인 폴리 파빌리온에서 열린 하프타임 행사에서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윅스는 1985년 UCLA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10년에는 대학 농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2. 프로 경력
시드니 윅스는 NBA에서 인상적인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나, 팀 내부의 갈등과 부상으로 인해 점차 활약이 줄어들었다. NBA 은퇴 후에는 이탈리아 리그에서 잠시 활동했다.
2.1.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UCLA를 졸업한 시드니 윅스는 1971년 NBA 드래프트에 참가했다. 당시 드래프트 전체 1순위 지명이 유력했으나, 2순위 지명권을 가진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는 그를 강력하게 원했다. 트레일블레이저스는 1순위 지명권을 가진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 25.00 만 USD를 지불하며 윅스를 지명하지 않도록 설득했다. 결국 캐벌리어스는 오스틴 카를 지명했고, 윅스는 트레일블레이저스에 2순위로 입단하게 되었다.
윅스는 루키 시즌인 1971-72 시즌부터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평균 24.5득점 11.5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이 활약으로 NBA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NBA 올스타전에도 처음으로 출전했다. 창단 2년 차의 신생팀이었던 트레일블레이저스는 이 시즌에도 18승 64패로 부진했지만, 윅스를 필두로 전년도 신인왕 제프 페트리 등 젊고 유능한 선수들이 모여 미래가 기대되는 팀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윅스와 페트리는 팀의 주도권을 놓고 극심한 갈등을 겪으며 때로는 언론을 통해 서로를 비난하기도 했다. 구단은 두 사람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가족을 동반한 이스라엘 여행을 보내는 등 노력했으나, 윅스가 호수에서 익사할 뻔한 사고를 페트리가 구해내면서 극적으로 화해하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두 사람의 관계가 좋아졌을 무렵, 트레일블레이저스의 팀 분위기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이었다.
1975-76 시즌에는 UCLA 출신의 대형 신인 빌 월튼이 입단하면서 팀 성적이 37승 45패까지 상승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시즌 종료 후 트레일블레이저스는 월튼 중심의 팀을 재편하기 위해 레니 윌킨스 감독을 해임하고 잭 램지를 신임 감독으로 영입했다. 이 과정에서 윅스는 1976년 10월 보스턴 셀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윅스가 떠난 뒤 트레일블레이저스는 다음 시즌인 1976-77 시즌에 창단 첫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며 곧바로 NBA 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아이러니한 결과를 맞이했다. 윅스는 트레일블레이저스에서 1971년부터 1976년까지 5시즌 동안 활약했으며, 이 기간 동안 총 4차례 (1972-1975년)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그는 한 경기 최다 27리바운드 기록을 보유했으나, 이후 에네스 칸터 프리덤이 이 기록을 경신했다. 트레일블레이저스 소속으로 평균 22.3득점 10.3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2. 보스턴 셀틱스 및 샌디에이고 클리퍼스
트레일블레이저스에서 NBA 데뷔 이후 4시즌 연속 평균 20득점 이상을 기록하며 절정의 기량을 선보였던 윅스였지만, 루키 시즌을 정점으로 그의 성적은 점차 하락세를 보였다. 1976년 10월 보스턴 셀틱스로 이적하면서 이러한 하락세는 더욱 두드러졌다. 그는 셀틱스에서 1976년부터 1978년까지 뛰었다.
1978-79 시즌에는 샌디에이고 클리퍼스로 이적했으며, 이때부터 평균 득점이 두 자릿수 아래로 떨어졌다. 윅스는 1981년까지 클리퍼스에서 활약한 후 1980-81 시즌을 끝으로 NBA 경력을 마쳤다. NBA 10시즌 동안 760경기에 출전하여 통산 12,803득점 6,620리바운드 2,437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경기당 평균 16.8득점 8.7리바운드 3.2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3. 해외 리그 경력
NBA 경력을 마친 후, 시드니 윅스는 이탈리아로 건너가 한 시즌 동안 해외 리그에서 농구 선수로 활동했다.
3. 선수 생활 은퇴 후
선수 생활 은퇴 후, 시드니 윅스는 고국으로 돌아와 농구 관련 직업과 사업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1년을 보낸 뒤 미국으로 돌아왔다. 귀국 후 UCLA에서 월트 해저드가 감독으로 재직했던 4년 동안 어시스턴트 코치로 일했다. 코칭 경력을 마친 뒤에는 부동산 분야에 뛰어들었으며, 애틀랜타, 플로리다주, 그리고 로스앤젤레스에서 거주했다.
4. 개인 생활
시드니 윅스는 1973년부터 1979년까지 결혼 생활을 했으며, 딸 시반 엡스를 두었다. 1989년 5월 5일 오전 9시,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미라 메사에서 그는 심각한 교통사고를 당했다. 신호 위반을 한 시멘트 트럭이 윅스의 차량 운전석 쪽을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윅스는 캘리포니아주 라 호야에 있는 스크립스 메모리얼 병원에서 파열된 비장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으며, 얼굴에 열상과 경미한 머리 부상을 입었다. 윅스의 차량에 동승했던 승객 또한 경미한 뇌진탕과 얼굴 부상을 입었지만, 시멘트 트럭 운전사는 다치지 않았다. 2006년 기준으로 윅스는 노스캐롤라이나주와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었다.
5. 유산 및 업적
시드니 윅스는 UCLA와 NBA에서 뛰어난 선수 생활을 통해 농구계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UCLA 시절에는 전설적인 팀의 중심 선수로 활약했으며, NBA에서는 신인 시절부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5.1. 주요 업적 및 수상
시드니 윅스가 농구 선수로서 달성한 주요 업적과 영예는 다음과 같다.
-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 우승 (1969, 1970, 1971)
- NCAA 토너먼트 최우수 선수 (1970)
- 헬름스 내셔널 공동 올해의 선수 (1970, 1971)
- USBWA 및 스포팅 뉴스 올해의 선수 (1971)
- 컨센서스 올아메리칸 (1970, 1971)
- AP 통신 선정 올아메리칸 서드 팀 (1970)
- 올아메리칸 퍼스트 팀 (1971)
- NBA 올해의 신인상 (1972)
- NBA 올스타전 4회 선정 (1972-1975)
- UCLA 육상 명예의 전당 헌액 (1985)
- 대학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 (2010)
- UCLA 등번호 35번 영구 결번
5.2. 영향 및 팀 기록
윅스는 UCLA 시절 루 앨신더 (카림 압둘-자바)의 졸업 이후 팀의 주축으로 활약하며 팀의 NCAA 4연패를 이끌었다. 이는 대형 스타의 공백을 메우고 팀의 전설적인 시대를 이어가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에서는 창단 초기의 팀의 상징이자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팀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가 보유했던 팀 기록으로는 한 경기 최다 27리바운드 기록이 있으며, 이는 후에 에네스 칸터 프리덤에 의해 경신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윅스는 트레일블레이저스 통산 최다 리바운드 부문에서 4,086개로 5위, 통산 득점 부문에서 8,882점으로 9위를 기록하고 있다.
6. 경력 통계
시드니 윅스의 NBA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통계는 다음과 같다.
6.1. 정규 시즌
연도 | 팀 | 출장 경기 수 | 선발 출장 수 | 경기당 출장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
1971 | 포틀랜드 | 82 | - | 39.6 | .427 | - | .710 | 11.5 | 4.3 | - | - | 24.5 |
1972 | 포틀랜드 | 80 | - | 39.4 | .452 | - | .723 | 10.9 | 5.5 | - | - | 23.8 |
1973 | 포틀랜드 | 75 | - | 38.0 | .459 | - | .762 | 9.1 | 4.3 | 1.2 | .8 | 22.5 |
1974 | 포틀랜드 | 82 | - | 38.6 | .497 | - | .706 | 10.7 | 3.5 | 1.3 | 1.0 | 21.7 |
1975 | 포틀랜드 | 79 | - | 38.5 | .483 | - | .674 | 9.0 | 3.1 | 1.0 | .7 | 19.1 |
1976 | 보스턴 | 82 | - | 32.2 | .458 | - | .668 | 10.0 | 2.1 | .8 | .7 | 15.1 |
1977 | 보스턴 | 81 | - | 29.8 | .467 | - | .660 | 8.3 | 2.1 | .8 | .6 | 13.4 |
1978 | 샌디에이고 | 79 | - | 25.6 | .462 | - | .650 | 5.1 | 1.6 | .9 | .5 | 9.8 |
1979 | 샌디에이고 | 71 | - | 30.2 | .423 | .000 | .546 | 5.8 | 3.0 | 1.1 | .7 | 7.1 |
1980 | 샌디에이고 | 49 | - | 22.1 | .437 | .000 | .507 | 4.6 | 2.3 | .8 | .8 | 6.7 |
경력 합계 | 760 | - | 33.9 | .459 | .000 | .685 | 8.7 | 3.2 | 1.0 | .7 | 16.8 | |
올스타 | 4 | 1 | 20.3 | .450 | - | .722 | 8.3 | 1.0 | - | - | 12.3 |
6.2. 플레이오프
연도 | 팀 | 출장 경기 수 | 선발 출장 수 | 경기당 출장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
1977 | 보스턴 | 9 | - | 29.0 | .519 | - | .732 | 9.2 | 1.8 | 1.4 | .3 | 13.1 |
경력 합계 | 9 | - | 29.0 | .519 | - | .732 | 9.2 | 1.8 | 1.4 | .3 | 13.1 |
7. 외부 링크
- [https://www.basketball-reference.com/players/w/wickssi01.html Basketball-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