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세체니 이슈트반은 1791년 9월 2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샤르바르펠쇠비데크 백작 세체니 페렌츠와 톨너의 페슈테티치 백작부인 율리애나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헝가리에서 유서 깊고 영향력 있는 귀족 가문이었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합스부르크가에 충성했으며, 리히텐슈타인 가, 에스테르하지 가, 로프코비치 가와 같은 다른 귀족 가문들과도 연관되어 있었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세체니 이슈트반의 아버지는 헝가리 국립 박물관과 헝가리 국립 도서관을 설립한 계몽주의적 귀족이었다. 어린 세체니는 빈과 헝가리의 가족 영지인 나지첸크를 오가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의 가정에서는 헝가리어 대신 주로 독일어를 사용했다. 그는 사립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1.2. 군 복무
사립 교육을 마친 후, 세체니는 오스트리아군에 입대하여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17세에 군대에 입대했으며, 뛰어난 공적을 세웠다. 1809년 6월 14일 라브 전투에서 탁월하게 싸웠고, 같은 해 7월 19일에는 목숨을 걸고 다뉴브강을 건너 요한 가브리엘 차스텔러 장군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여 두 오스트리아군이 합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기억할 만한 것은 1813년 10월 16일에서 17일 밤에 벌어진 그의 유명한 적진 돌파였다. 그는 블뤼허와 베르나도트에게 다음 날 라이프치히 전투에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참여해 달라는 두 황제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 적군 진영을 뚫고 갔다. 1815년 5월에는 이탈리아로 전속되어 톨렌티노 전투에서 대담한 기병 돌격으로 조아킴 뮈라의 경호대를 흩트리는 데 공헌했다. 그는 소령 진급이 거절된 후 1826년에 대위로 전역했으며, 이후 정치에 관심을 돌렸다.
2. 정치 경력 및 개혁 활동
세체니는 1815년 9월부터 1821년까지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그리스, 레반트 등 유럽 각지를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각국의 제도들을 연구했다. 이 시기에 중요한 인맥을 구축하기도 했다. 특히 영국의 급속한 근대화에 매료되었으며, 이는 그의 사상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프랑스의 미디 운하에도 깊은 인상을 받았고, 이후 다뉴브강 하류와 티서강의 항해를 개선할 방안을 구상하기 시작했다.
세체니 백작은 근대 세계와 고향인 헝가리 사이의 격차가 커지고 있음을 빠르게 인식했다. 남은 평생 동안 그는 확고한 개혁가로서 국가 발전을 추진했다. 그는 초기에 트란실바니아 출신의 귀족인 친구 미클로시 베셀레니 남작으로부터 정치적 지지를 얻었으나, 이후 그들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2.1.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설립

세체니는 1825년 쇼프론 주 대표 펄 너지의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설립 제안을 지지함으로써 더 넓은 명성을 얻었다. 그는 그 해 자신의 영지 연간 수입 전액인 6.00 만 HUF를 아카데미 설립 기금으로 기부했다. 그의 모범은 다른 세 명의 부유한 귀족들로부터 5.80 만 HUF의 기부를 이끌어냈고, 이들은 왕실로부터 아카데미 설립에 대한 승인을 얻었다. 세체니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헝가리어 사용을 장려하고자 했다. 그는 아카데미의 초대 부원장(원장은 궁중백)이 되었다. 헝가리와 그 언어의 발전이 세체니의 주요 목표였지만, 그는 더 큰 목표를 지향했다. 아카데미에 대한 첫 부원장 연설에서 그는 동포들에게 "이제 자신들의 아카데미를 설립했으니" "성 이슈트반 왕관" 아래 있는 다른 나라들(크로아티아인,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등)의 "건전한 민족주의" 추구를 지지할 의무를 상기시켰다. 이는 그의 삶과 개혁 운동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1827년, 그는 애국적인 헝가리 귀족들을 위한 토론의 장인 국립 카지노(Nemzeti Kaszinó)를 조직했다. 이 카지노는 정치적 대화를 위한 기관을 제공함으로써 개혁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2. 주요 저서와 사상
더 넓은 대중에게 자신의 사상을 알리기 위해 세체니는 저술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정치 저작 시리즈인 《신용(Hitel)》(1830), 《빛(Világ)》(1831), 그리고 《경기장(Stádium)》(1833)은 헝가리 귀족들을 대상으로 했다. 그는 귀족들의 보수주의를 비난하고, 봉건 제도적 특권(예: 면세 특권)을 포기하고 근대화를 이끄는 주도적인 엘리트 역할을 할 것을 독려했다.
세체니는 헝가리를 위한 자신의 프로그램을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틀 내에서 구상했다. 그는 헝가리가 점진적인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우선적으로 필요로 한다고 확신했으며, 지나친 급진주의와 민족주의를 모두 반대했다. 그는 헝가리 왕국이 민족, 언어, 종교에 따라 사람들이 나뉘어 있는 다민족 국가이므로 민족주의가 특히 위험하다고 보았다.
2.3. 인프라 개발 및 교통 개선
포괄적인 정치적 사상 외에도 그는 교통 인프라 개발에 집중했는데, 이는 발전과 소통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했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다뉴브강 하류의 수류를 정비하여 항해를 개선하고, 부다에서 흑해까지의 상업 선박 운항 및 무역을 가능하게 했다.
1830년대 초까지 그는 다뉴브강 항해 위원회의 핵심 인물이 되었고, 이 위원회는 10년 만에 작업을 완료했다. 이전에는 다뉴브강이 선박에게 위험하여 효율적인 국제 무역로로 사용되지 못했다. 세체니는 다뉴브강, 티서강, 벌러톤호에 증기선 운항을 처음으로 추진했으며, 헝가리를 무역과 발전에 개방하기 위한 조치들을 도입했다. 그는 이 지역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빈에서 오스트리아의 재정적, 정치적 지원을 얻기 위해 성공적으로 로비를 펼쳤다. 그는 고등 판무관으로 임명되어 수년간 사업을 감독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하여 발칸반도 지역과 관계를 구축했다.
또한 세체니는 부다와 페슈트를 헝가리의 주요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고자 했다. 그는 두 도시를 잇는 최초의 영구적인 다리인 세체니 다리 건설을 지지했다. 세체니 다리는 교통 연결을 개선하는 것 외에도 상징적인 구조물로, 강으로 나뉘어 있던 두 도시가 이후 부다페스트로 통합될 것을 예고하는 역할을 했다. 1835년에는 오스트리아의 선박 회사인 도나우담프프시파르츠게젤샤프트의 도움을 받아 하조자르 섬에 오부다 조선소를 설립했는데, 이는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최초의 산업 규모 증기선 건조 회사였다.
3. 코슈트 러요시와의 정치적 대립

세체니와 코슈트 러요시의 관계는 좋지 않았다. 세체니는 코슈트가 인기를 과도하게 이용하는 정치 선동가라고 항상 생각했다. 소수파였지만 세체니는 의회와 다른 회의에서 계속 신중론을 주장했다. 1848년 3월, 그는 버차니 러요시 휘하의 "최초 책임 마자르인 행정부"에서 교통부 장관직을 수락했지만, 혁명으로 인한 혼란을 두려워했다.
개혁가들 간의 "긴 논쟁" (1841년 ~ 1848년)은 언론을 통해 진행되었다. 1841년 자신의 소책자 《동양의 사람들(Kelet Népe)》에서 세체니 백작은 코슈트의 개혁 제안에 반박했다. 세체니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폭력적인 개입이라는 잠재적으로 재앙적인 전망을 피하기 위해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개혁은 신중하고 천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세체니는 코슈트의 사상이 헝가리 사회에 확산되는 것을 우려했는데, 이는 합스부르크 왕조와의 좋은 관계 유지 필요성을 간과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반면 코슈트는 귀족의 역할을 거부하고 확립된 사회적 지위 규범에 의문을 제기했다. 세체니와 대조적으로 코슈트는 사회 개혁 과정에서 시민 사회를 수동적인 역할에 묶어둘 수 없다고 믿었다. 그는 광범위한 사회 운동을 정치 생활에서 배제하려는 시도에 대해 경고했으며, 엘리트와 정부의 우위를 거부하고 민주주의를 지지했다. 1885년에 코슈트는 세체니를 자유주의적 엘리트주의 귀족으로 규정했고, 반면 세체니는 코슈트를 민주주의자라고 생각했다.
세체니는 고립주의적인 정치인이었던 반면, 코슈트는 자유의 성공을 위해 국제적인 자유주의 및 진보 운동과의 강력한 관계와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세체니는 영국 제국이 시행한 자유방임주의 원칙에 경제 정책의 기반을 두었으나, 코슈트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헝가리 산업 부문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관세를 지지했다. 코슈트가 급속히 산업화된 국가 건설을 꿈꾸었던 반면, 세체니는 경제의 주요 특징으로서 전통적으로 강했던 농업 부문을 보존하고자 했다.
4. 개인 생활
1836년 45세의 나이로 세체니는 부다에서 크레스첸치아 폰 자일런 운트 아스팡 백작부인과 결혼했다. 그들은 세 자녀를 두었다.
- 율리아 세체니: 생후 3개월 만에 사망
- 벨라 세체니: 여러 차례 동방 국가들을 여행했다. 그는 동인도, 일본, 중국, 자와섬, 보르네오섬, 서부 몽골, 티베트 국경 지역에서의 광범위한 여행과 탐험으로 유명해졌다。1893년에 그는 독일어로 자신의 경험에 대한 기록을 출판했다.
- 외된 세체니: 튀르키예의 파샤로 사망했다.
5. 1848년 헝가리 혁명과 정신 건강
1848년 헝가리 혁명은 헝가리가 합스부르크 통치로부터 벗어나려는 방향으로 발전했으며, 이는 결국 오스트리아 당국의 가혹한 탄압으로 좌절되었다. 이 두 가지 상황 모두 세체니의 사고방식과 헝가리 미래에 대한 그의 비전과는 매우 달랐다. 1848년 9월 초, 세체니는 신경쇠약으로 인한 우울증과 붕괴를 겪었고, 주치의는 그를 오버되블링에 있는 구스타프 괴르겐 박사의 사립 정신 병원으로 보냈다. 아내의 보살핌 덕분에 그는 점차 회복하여 다시 글을 쓸 수 있게 되었지만, 정치에는 복귀하지 않았다. 그는 어린아이, 교육, 교육학에 관한 책 《자기 인식(Önismeret)》을 썼다. 또한 1850년대 초 헝가리의 심각한 정치 문제에 대한 연구인 《한눈에(Ein Blick)》를 저술했다.
6. 말년과 죽음
세체니는 여전히 우울증에 시달리다가 1860년 4월 8일, 68세의 나이로 총기로 자살했다. 4월 8일은 한 세기 전 헝가리의 국가 영웅인 라코치 페렌츠 2세가 사망한 기념일이었다. 헝가리 전역이 세체니의 죽음을 애도했다. 아카데미는 공식적으로 애도했으며, 주요 정치 및 문화 단체의 가장 저명한 인물들(요제프 외트뵈시 백작, 야노시 어러니, 카로이 사스 포함)도 애도에 동참했다. 그의 정적이었던 코슈트조차 그를 "가장 위대한 마자르인"이라고 칭송했다. 1859년, 헝가리에 대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의 절대주의 통치를 비난하는 내용이 담긴 팸플릿을 출판한 것이 문제가 되어 반역죄로 기소하겠다는 위협을 받았던 것이 그의 죽음에 영향을 미쳤다.
7. 저술
세체니 이슈트반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신용(Hitel)》 (1830년)
- 《빛(Világ)》 (1831년)
- 《경기장(Stádium)》 (1833년)
- 《자기 인식(Önismeret)》
- 《한눈에(Ein Blick)》
그의 수많은 정치 및 경제 관련 저술 대부분은 유럽에서 더 널리 이해될 수 있도록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1884년부터 1896년까지 헝가리 아카데미는 페슈트에서 그의 저서 9권짜리 판본을 출판했다.
8. 유산과 기념

세체니 이슈트반은 헝가리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유산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려지고 있다.
8.1. 긍정적 평가와 영향
그는 "가장 위대한 헝가리인"으로 널리 불리며, 2007년 조사에서는 헝가리 역사상 "역대 가장 위대한 정치가"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의 개혁 정신, 국가 발전에 대한 기여, 그리고 사회적 진보에 미친 긍정적 영향은 오늘날까지 높이 평가된다.
8.2. 비판과 논란
그의 정적이었던 코슈트 러요시는 세체니를 "자유주의적 엘리트주의 귀족"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는 그가 점진적 개혁을 주장하고 합스부르크 왕조와의 관계를 중요시했던 태도에 대한 코슈트의 급진적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8.3. 기념물 및 명칭
- 1880년 5월 23일 부다페스트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 같은 해인 1880년 쇼프론에도 그를 기리는 동상이 제막되었다.
- 1898년, 다뉴브강에 놓인 사슬 다리는 그의 이름을 따 "세체니 사슬 다리"로 명명되었다.
- 1990년부터 세체니의 초상화는 헝가리 5000 HUF 지폐에 새겨져 있으며, 1999년에는 새로운 디자인이 도입되었다.
- 2002년에는 그의 1820년부터 1860년까지의 삶을 다룬 헝가리 TV 영화 《다리 위의 남자(A Hídember)》가 제작되었다.
- 1932년 7월 1일, 헝가리는 "유명한 헝가리인" 시리즈 우표에서 그를 기리는 우표를 발행했다. 1966년 5월 3일에는 그의 초상화를 배경으로 세체니 다리가 그려진 또 다른 우표가 발행되었다. 2016년 4월 8일에는 다뉴브강 섬 위에 세체니 이슈트반의 얼굴이 겹쳐진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 1998년 피슈케슈테퇴 관측소의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사르네츠키와 라슬로 L. 키스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 91024 세체니는 그의 기억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 2008년 미국 코네티컷주 햄든에 위치한 퀴니피액 대학교에는 "이슈트반 세체니 국제 경제학 석좌교수직"이 사적으로 기부되었다. 이는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콜레기움 및 트란실바니아의 사피엔티아 헝가리 대학교와 협력하여 중유럽, 특히 헝가리와의 관계 강화를 위한 세 가지 주요 학술 프로그램을 감독하고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