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박경수(朴慶洙, Park Kyung-su영어, 1984년 3월 31일 ~ )는 대한민국의 전 KBO 리그 kt wiz 내야수이자 현 KBO 리그 코치이다. 성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 LG 트윈스에 입단했으며, 2014년 FA 자격을 얻어 kt wiz로 이적했다. 그는 2017년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개인 통산 100호 홈런을 달성했으며, 2019년에는 KBO 리그 최초로 5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한 2루수가 되었다. 2021년에는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하며 kt wiz의 창단 첫 통합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024년 시즌 종료 후 40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며, 2025년부터 kt wiz의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2. 개인사
박경수 선수의 개인적인 배경과 학업 과정은 그의 야구 경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1. 출생 및 성장 과정
박경수는 1984년 3월 31일에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야구에 두각을 나타내며 학창 시절을 보냈다.
2.2. 학력
그는 서울미성초등학교, 성남중학교 (서울), 성남고등학교 (서울)를 졸업했다. 이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특히 성남고등학교 시절의 경험은 그의 아마추어 야구 경력에 큰 영향을 주었다.
3. 선수 경력
박경수 선수는 아마추어 야구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냈으며, LG 트윈스와 kt wiz에서 프로 선수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3.1. 아마추어 시절
성남고등학교 재학 시절, 그는 투수 노경은과 동기였으며, 1년 선배인 고영민과 함께 키스톤 콤비를 이루며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이 시기 그의 뛰어난 수비와 타격 재능은 여러 프로 구단의 주목을 받았다.
3.2. LG 트윈스 시절
2003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박경수는 두산 베어스와 LG 트윈스의 영입 경쟁 대상이 되었다. 두산 베어스가 3.50 억 KRW의 계약금을 제시했으나 협상이 결렬되었고, 최종적으로 LG 트윈스가 4.30 억 KRW의 조건으로 그를 1차 지명하며 입단이 성사되었다.
LG 트윈스 소속으로 활동하는 동안, 그는 주로 서동욱이나 권용관의 백업 내야수로 활약했다. 하지만 잦은 부상으로 인해 주전으로 완전히 자리 잡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2011년 시즌이 끝난 후에는 사회복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시작했으며, 2013년에 소집 해제되었다. 소집 해제 후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부상으로 인해 출전 명단에 들지 못했다. 이후에도 오지환이나 정주현 등에게 포지션을 빼앗기며 주전으로 정착하지 못했고, 결국 2014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어 kt wiz로 이적하게 되었다.
3.3. kt wiz 시절
2014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kt wiz로 이적한 박경수는 1군 첫 시즌인 2015년에 큰 변화를 맞이했다. 시즌 개막 후 두 달 동안은 타격감이 매우 저조하여 '유망주'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부진할 것이라는 언론과 야구 팬들의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2015년 6월부터 놀라운 타격 실력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6월부터 8월 30일까지 20개의 홈런을 쳐냈으며, 타율을 3할까지 끌어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그는 2015년 시즌 성적이 향상된 것에 대해 "LG에서의 수많은 경험과 노력 덕분에 마침내 나만의 타격 폼과 스윙을 찾은 것 같다. 항상 LG 팬분들께 죄송하고 LG에서의 10년 동안의 시간이 없었더라면 현재의 성적도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시즌 초반 부진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LG에서의 타격은 대부분 번트, 희생 플라이, 진루타 등 작전적인 스윙이 많았다. 조범현 감독님께서 오직 나만의 스윙과 타격폼을 찾는 데 많은 시도를 하게 하셨다. 또 잠실 야구장에서 대부분 경기를 치렀기 때문에 잘 맞은 타구도 잡히고, 장타도 잘 나오지 않았다. 그런 심리적인 요인과 기술적인 부족함 때문에 그동안 부진한 것 같다. 이제 온전히 내 스윙을 찾아서 장타력이 강해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2015년 7월 1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2개의 홈런을 쳐내며 개인 역대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인 8홈런을 경신한 10홈런을 기록했다. 이로써 그는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 2015년 8월 28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는 김광수를 상대로 데뷔 첫 20호 홈런을 기록했다. 2015년 시즌에는 타율, 타점, 홈런, 장타율, OPS, 출루율 등 타격 관련 전 부문에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같은 해 8월 30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는 채병용을 상대로 만루 홈런을 쳐내며 시즌 1호이자 개인 통산 4번째 만루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홈 구장인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장타력을 더욱 과시하며 '수원 거포'라는 별명을 얻었다. 홈 구장이 '경수대로'에 있어서 홈런을 잘 친다는 속설과, LG 트윈스에서 이적 후 활약하여 이른바 '탈G 효과'를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2015년 시즌 팀의 주장을 맡았던 신명철이 은퇴를 선언하자, 그는 팀의 2대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2016년 9월 4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는 끝내기 역전 2점 홈런을 쳐내며 팀의 역전승을 이끌었다. 이 홈런으로 그는 KBO 리그 최초로 2루수로서 4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2017년에는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개인 통산 100호 홈런을 달성했다. 2018년에는 개인 최다인 25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2루수로서 5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며 KBO 리그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
2020년에는 뒤늦게 플레이오프 엔트리에 들면서 포스트시즌에 데뷔했다. 2021년에는 정규 시즌에서 9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7년 만에 한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지만, 2021년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결승 홈런을 기록한 후 2루 수비 중 다리 부상을 입어 4차전에는 결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수 양면에서 kt wiz의 창단 첫 통합 우승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2024년 시즌 종료 후, 박경수는 40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공식 발표했다.
4. 주요 성과 및 기록
박경수 선수는 프로 경력 동안 여러 중요한 개인 기록과 팀 우승에 기여하며 인상적인 업적을 남겼다.
4.1. 개인 기록
그는 KBO 리그에서 2루수로서 독보적인 기록들을 세웠다. 2016년 9월 4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끝내기 역전 2점 홈런을 기록하며 KBO 리그 최초로 2루수로서 4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 이어서 2019년에는 이 기록을 5년 연속으로 연장하며 2루수 포지션에서 전례 없는 꾸준한 장타력을 과시했다. 2017년에는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개인 통산 100호 홈런을 달성하는 이정표를 세웠으며, 2018년에는 개인 최다인 25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거포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4.2. 수상 경력
박경수는 2021년 한국시리즈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쳐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이는 그의 선수 경력에서 가장 빛나는 개인 수상 중 하나로, 팀의 우승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음을 인정받은 결과이다.
4.3. 팀 우승 기여
2021년 한국시리즈에서 그는 팀에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kt wiz의 창단 첫 통합 우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결승 홈런을 기록하는 등 중요한 순간마다 해결사 역할을 해내며 팀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비록 부상으로 일부 경기에 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공수 양면에서의 기여는 팀의 역사적인 우승에 필수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5. 플레이 스타일 및 평가
박경수 선수는 특유의 플레이 스타일과 리더십으로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5.1. 별명 및 응원가
kt wiz의 홈 구장인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장타를 연발하자, 그는 '수원 거포'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별명은 홈 구장 인근에 '경수대로'라는 도로가 있어 홈런을 잘 친다는 속설과, LG 트윈스에서 이적 후 활약하며 '탈G 효과'를 받았다는 이야기와 함께 회자되기도 했다.
LG 트윈스 시절 그의 응원가는 류지현의 응원가에서 유래한 곡을 사용했다. 이 원곡의 응원가는 손인호, 손주인, 강승호 등 다른 선수들도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2. 주장 활동
2015년 시즌 종료 후 신명철이 은퇴하며 공석이 된 kt wiz의 주장 자리에 박경수가 선임되어 팀의 2대 주장을 맡았다. 그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주장을 역임하며 팀의 리더로서 선수단을 이끌었고, kt wiz가 신생팀으로서 자리 잡는 과정에서 중요한 구심점 역할을 수행했다.
6. 통산 기록
박경수 선수의 프로 경력 동안의 상세한 타격 성적은 다음과 같다.
6.1.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3 | LG | 0.273 | 84 | 172 | 14 | 47 | 10 | 2 | 1 | 64 | 19 | 2 | 2 | 17 | 4 | 38 | 1 | 15 |
2004 | 0.268 | 92 | 328 | 50 | 88 | 15 | 0 | 6 | 121 | 33 | 7 | 6 | 40 | 13 | 72 | 6 | 8 | |
2005 | 0.171 | 35 | 105 | 13 | 18 | 2 | 0 | 2 | 26 | 7 | 1 | 0 | 18 | 3 | 32 | 1 | 4 | |
2006 | 0.210 | 107 | 329 | 32 | 69 | 6 | 2 | 6 | 97 | 28 | 5 | 2 | 36 | 4 | 72 | 6 | 9 | |
2007 | 0.238 | 115 | 248 | 32 | 59 | 8 | 3 | 3 | 82 | 19 | 10 | 3 | 33 | 5 | 42 | 9 | 5 | |
2008 | 0.259 | 116 | 367 | 46 | 95 | 11 | 1 | 8 | 132 | 43 | 6 | 5 | 37 | 7 | 65 | 13 | 11 | |
2009 | 0.238 | 106 | 269 | 45 | 64 | 12 | 0 | 8 | 100 | 31 | 6 | 4 | 54 | 7 | 55 | 5 | 10 | |
2010 | 0.260 | 80 | 231 | 33 | 60 | 21 | 0 | 3 | 90 | 21 | 10 | 2 | 30 | 16 | 52 | 3 | 6 | |
2011 | 0.227 | 111 | 317 | 36 | 72 | 11 | 1 | 4 | 97 | 26 | 10 | 8 | 48 | 7 | 66 | 7 | 17 | |
2014 | 0.228 | 87 | 162 | 33 | 37 | 6 | 1 | 2 | 51 | 19 | 7 | 1 | 25 | 5 | 33 | 6 | 10 | |
2015 | KT | 0.284 | 137 | 440 | 75 | 125 | 30 | 1 | 22 | 223 | 73 | 6 | 4 | 74 | 13 | 115 | 8 | 6 |
2016 | 0.313 | 121 | 402 | 64 | 126 | 22 | 1 | 20 | 210 | 80 | 3 | 1 | 65 | 5 | 80 | 9 | 13 | |
2017 | 0.262 | 131 | 442 | 62 | 116 | 27 | 1 | 15 | 190 | 66 | 1 | 2 | 57 | 6 | 118 | 14 | 6 | |
2018 | 0.262 | 135 | 458 | 65 | 120 | 21 | 0 | 25 | 216 | 74 | 4 | 1 | 58 | 9 | 129 | 16 | 14 | |
2019 | 0.247 | 137 | 421 | 43 | 104 | 24 | 0 | 10 | 158 | 65 | 0 | 1 | 55 | 4 | 102 | 14 | 9 | |
2020 | 0.281 | 119 | 324 | 33 | 91 | 17 | 0 | 13 | 147 | 59 | 0 | 1 | 48 | 9 | 96 | 14 | 8 | |
2021 | 0.192 | 118 | 239 | 24 | 46 | 10 | 0 | 9 | 83 | 33 | 0 | 1 | 34 | 3 | 76 | 7 | 3 | |
2022 | 0.120 | 100 | 166 | 13 | 20 | 3 | 0 | 3 | 32 | 10 | 0 | 0 | 24 | 1 | 70 | 3 | 7 | |
2023 | 0.200 | 107 | 185 | 12 | 37 | 13 | 0 | 1 | 53 | 12 | 0 | 0 | 30 | 1 | 46 | 2 | 4 | |
2024 | 0.667 | 5 | 3 | 2 | 2 | 1 | 0 | 0 | 3 | 1 | 0 | 0 | 0 | 0 | 1 | 0 | 0 | |
통산 | 20시즌 | 0.249 | 2043 | 5608 | 727 | 1396 | 270 | 13 | 161 | 2175 | 719 | 78 | 44 | 783 | 122 | 1360 | 144 | 165 |
6.2. 등번호 변천
박경수 선수는 프로 경력 동안 여러 등번호를 사용했다.
- 13 (2003년 ~ 2004년)
- 6 (2005년 ~ 2011년, 2014년 ~ 2024년)
- 69 (2025년 ~ )
7. 은퇴 및 지도자 경력
박경수는 현역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새로운 지도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7.1. 현역 은퇴
박경수는 2024년 10월 18일, 40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공식 발표했다. 이는 2024년 시즌 종료 후 결정된 사항으로, 오랜 선수 생활에 마침표를 찍는 순간이었다.
7.2. 지도자 생활
현역 은퇴 발표와 함께, 박경수는 2025년부터 kt wiz의 코치로 활동을 시작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는 그가 선수로서 쌓은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후배 선수들에게 전수하며 한국 야구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이다.
8. 평가 및 영향
박경수 선수의 선수 및 지도자로서의 경력은 한국 야구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8.1. 긍정적 평가
박경수는 LG 트윈스 시절의 부진을 딛고 kt wiz에서 커리어 하이를 달성하며 '탈G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았다. 그는 kt wiz의 창단 초기에 합류하여 팀의 핵심 내야수이자 주장으로서 팀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2021년 한국시리즈 MVP 수상은 그의 헌신적인 플레이와 리더십이 팀의 첫 통합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업적으로 남아있다. 2루수로서 꾸준히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며 KBO 리그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고, 이는 그의 뛰어난 장타력과 꾸준함을 입증하는 기록이다. 현역 은퇴 후 코치로 전향하며, 젊은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는 롤모델이자 실질적인 멘토로서 한국 야구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