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노경은(盧景銀, 1984년 3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KBO 리그의 SSG 랜더스 소속 투수이다. 그는 이전에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활약했다. 노경은은 선수 생활 초기 어려움을 겪었으나, 재기에 성공하며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국가대표로 발탁되었고, 2023년에는 KBO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며, 2024년에는 홀드왕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꾸준한 기량을 선보이고 있다. 본 문서에서는 그의 출생과 성장 배경, 아마추어 및 프로 경력의 주요 시점과 기록, 그리고 그와 관련된 주요 논란과 야구 외 활동을 상세히 다룬다.
2. 초기 생애 및 아마추어 경력
노경은은 학창 시절부터 야구 선수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교육 과정과 아마추어 시절 활동은 다음과 같다.
2.1. 학력
노경은은 서울화곡초등학교, 서울 성남중학교, 서울 성남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2. 아마추어 경력
2002년, 성남고등학교 3학년이던 노경은은 동산고등학교의 송은범, 광주제일고등학교의 김대우와 함께 고교 야구 투수 '빅 3'로 평가받으며 메이저 리그 스카우트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3. 프로 경력
노경은은 KBO 리그에서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그리고 현재 SSG 랜더스를 거치며 꾸준한 선수 생활을 이어왔다. 잠시 호주 프로야구 리그에서 뛰기도 했다. 그의 프로 경력은 크게 두산 베어스 시절, 롯데 자이언츠 시절, 호주 프로야구 리그 시절, 그리고 SSG 랜더스 시절로 나뉜다.
3.1. 두산 베어스 시절
노경은은 2003년 1차 지명으로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나, 초기에는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재기에 성공하며 팀의 주축 투수로 성장했다.
3.1.1. 초기 어려움과 재기
입단 첫 해인 2003년에는 어깨 부상으로 인해 후반기에 들어서야 1군에 합류할 수 있었다. 2004년에는 부상 문제와 병역 문제로 구단과의 마찰을 겪으며 임의탈퇴 공시까지 고려되었고, 그 해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병역비리에 연루되어 2005년부터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 복무했다. 소집 해제 후에도 인터넷상에서 팬들과의 마찰 등 불미스러운 사건을 일으켜 기회를 많이 얻지 못했다. 포스트시즌에는 2009년 플레이오프에서 투수 지승민과 함께 처음으로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지만 등판하지는 못했다. 이후 2012년 준플레이오프에서 선발 등판하며 첫 포스트시즌 마운드를 밟았다. 그의 재기에는 당시 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였던 김진욱의 많은 도움이 있었다.
3.1.2. 성장기 및 주요 활약
2011년, 두산 베어스 투수진에 대거 누수가 발생하자 노경은은 많은 기회를 얻게 되었고, 김강률과 함께 불펜에서 활약하며 뒤늦게 두각을 나타냈다. 김진욱이 감독으로 부임한 2012년에는 임태훈의 부상으로 선발 로테이션에 복귀하여 선발승을 기록했다. 그 해 9월 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프로야구 데뷔 첫 완봉승을 달성했으며, 9월 19일 KIA 타이거즈전에서는 데뷔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승리를 거뒀다. 또한 9월 26일 한화 이글스를 상대로 개인 통산 두 번째이자 시즌 두 번째 완봉승을 기록하며 33이닝 연속 무실점 행진을 이어갔다. 이 기록은 10월 2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34이닝 연속 무실점으로 마감되었는데, 이는 KBO 리그 역대 통산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 노경은은 이 경기에서도 승리를 챙기며 2012 시즌 12승(선발 10승)을 기록했다. 2012년 준플레이오프 롯데 자이언츠와의 2차전에서는 선발로 등판하여 6.1이닝 동안 6피안타, 2탈삼진, 3사사구, 1실점을 기록했다. 2013년에는 이용찬의 부상 이탈과 김선우의 부진으로 인해 니퍼트와 함께 팀의 원투 펀치로 활약했다.
3.1.3. 2015년 한국시리즈
2015년 한국시리즈에서 노경은은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10월 3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4차전에서 선발 이현호에 이어 마운드에 올라 5.2이닝 동안 무실점 역투를 펼치며 두산 베어스의 승리 투수가 되었다.
3.2. 롯데 자이언츠 시절 (1기)
2016년 5월 31일, 노경은은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고원준과의 1:1 트레이드를 통해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했다. 이적 후 2016년 6월 22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5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롯데 자이언츠 소속으로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 6월 28일에는 6이닝 무실점 투구를 선보이며 이적 초기의 부진을 씻어내는 모습을 보였다. 2018년 시즌에는 9승 6패,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었으나, 롯데 자이언츠와의 FA 협상이 결렬되었다.
3.3. 호주 프로야구 리그 경력
롯데 자이언츠와의 FA 협상 결렬 이후, 노경은은 2019년 호주 프로야구 리그의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여 해외 리그에서 활동했다.
3.4. KBO 복귀 및 롯데 자이언츠 시절 (2기)
호주 프로야구 리그에서 활동한 뒤 노경은은 KBO 리그로 복귀했다. 2019년 시즌 종료 후 롯데 자이언츠와 2+1년 계약을 맺으며 팀에 복귀했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2년 간 11.00 억 KRW에 계약했다.) 2020년 5월 16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등판하여 7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복귀 후 첫 승리를 거뒀다. 2021년에는 14경기에 등판하여 3승 5패를 기록한 뒤, 10월 29일 롯데 자이언츠에서 방출되었다.
3.5. SSG 랜더스 시절
롯데 자이언츠에서 방출된 노경은은 2021년 시즌 종료 후 SSG 랜더스로 이적했다. 2023년에는 개인 경력 처음으로 KBO 올스타에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 2024년에는 홀드왕 타이틀을 획득하며 데뷔 첫 개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4. 국가대표 경력
노경은은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한국을 대표하여 뛰었다.
5. 논란
노경은은 선수 생활 중 몇 차례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팬들과의 온라인 마찰 (2009년): 2009년 7월 3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3이닝 동안 3개의 홈런을 허용하며 패전의 빌미를 제공했다. 당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과 과거 은퇴 파동 전력으로 인해 노경은에 대한 팬들의 감정은 좋지 않았고, 일부 두산 베어스 팬들이 그의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악성 댓글을 달았다. 이에 노경은은 해당 팬의 미니홈피를 찾아가 직접 댓글로 설전을 벌였다. 그는 프로 선수답지 못한 대응을 지적하는 팬들에게까지 화살을 돌리며 '카트라이더' 게임을 하겠다며 자리를 비웠고, 이 사건은 큰 화제가 되었다. 7월 7일에는 잠실 야구장에 그를 간접적으로 비꼬는 내용의 현수막이 잠시 걸리며 팬들 사이에서 또 다른 논란을 낳았다. 7월 8일 2군으로 강등된 노경은은 잠시 닫았던 미니홈피를 다시 열고, 인터넷에 떠돌던 자신의 얼굴이 합성된 '카트라이더' 게임 화면 사진을 메인 화면으로 설정하며 비꼬는 글을 올려 일말의 동정론마저 사라지게 만들었다. 이 사건으로 그는 '노카트'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투수코치였던 김진욱의 도움으로 2011년부터 중간 계투로 활약하고 2012년에는 선발 투수로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며 팀 공헌도가 높아지자 이러한 부정적인 시선은 점차 줄어들었다.
- 은퇴 선언 및 철회 (2016년): 2016년 5월 10일, 노경은은 돌연 은퇴 의사를 밝혔다. 두산 베어스는 그의 요청을 수용하여 임의탈퇴 공시했다. 그러나 불과 3일 뒤인 5월 13일, 그는 갑자기 임의탈퇴 공시 철회를 요청했다. KBO는 5월 14일 그의 임의탈퇴 철회를 공식적으로 수용하며 그가 두산 베어스로 복귀하게 했다. 이 복귀 직후 그는 고원준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게 되었다.
6. 그 외 활동 및 개인적 측면
노경은은 야구 외적인 활동과 몇 가지 독특한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6.1. 방송 출연
노경은은 2023년에 방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골프 매치 스윙 스타에 참가자로 출연했다.
6.2. 별명
노경은은 여러 별명으로 불린다.
- 노카트: 2009년 팬들과의 온라인 마찰 사건에서 '카트라이더' 게임을 언급하며 논란을 빚은 이후 얻게 된 별명이다.
- 노갱: 그의 이름 '노경은'을 두 글자로 줄여 부르는 별명이다.
- 조선의 4번 투수, 노타니, 노타니 쇼헤이: 2017년 6월 1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오더 실수로 인해 투수 포지션인 노경은이 4번 타자로 표기되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실제로는 이대호와 최준석의 포지션 혼동 때문이었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투타 겸업으로 유명한 오타니 쇼헤이에 비유되며 '노타니' 등의 별명이 붙었다.
7. 통산 기록
노경은 선수의 프로 경력 시즌별 투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03 | 두산 | 4.12 | 5 | 0 | 0 | 3 | 1 | 0 | 0 | 0.750 | 79 | 19⅔ | 12 | 2 | 12 | 2 | 8 | 9 | 9 |
2004 | 6.89 | 20 | 0 | 0 | 2 | 2 | 0 | 0 | 0.500 | 244 | 49⅔ | 65 | 11 | 31 | 2 | 35 | 41 | 38 | |
2007 | 4.67 | 29 | 0 | 0 | 1 | 2 | 0 | 1 | 0.333 | 199 | 44⅓ | 45 | 2 | 25 | 3 | 21 | 25 | 23 | |
2008 | 6.23 | 3 | 0 | 0 | 0 | 1 | 0 | 0 | 0.000 | 43 | 8⅔ | 12 | 0 | 5 | 1 | 7 | 8 | 6 | |
2009 | 4.50 | 9 | 0 | 0 | 0 | 2 | 0 | 0 | 0.000 | 107 | 24 | 18 | 4 | 19 | 2 | 11 | 14 | 12 | |
2010 | 13.50 | 6 | 0 | 0 | 0 | 0 | 0 | 0 | - | 47 | 9⅓ | 17 | 1 | 1 | 1 | 8 | 14 | 14 | |
2011 | 5.17 | 44 | 0 | 0 | 5 | 2 | 2 | 3 | 0.714 | 290 | 62⅔ | 71 | 3 | 36 | 2 | 53 | 39 | 36 | |
2012 | 2.53 | 42 | 2 | 2 | 12 | 6 | 0 | 7 | 0.667 | 608 | 146 | 106 | 6 | 69 | 8 | 133 | 46 | 41 | |
2013 | 3.84 | 30 | 0 | 0 | 10 | 10 | 0 | 0 | 0.500 | 765 | 180⅓ | 171 | 16 | 75 | 6 | 153 | 88 | 77 | |
2014 | 9.03 | 29 | 0 | 0 | 3 | 15 | 0 | 0 | 0.167 | 530 | 109⅔ | 147 | 14 | 69 | 1 | 74 | 117 | 110 | |
2015 | 4.47 | 47 | 0 | 0 | 1 | 4 | 4 | 0 | 0.200 | 267 | 57⅓ | 57 | 6 | 37 | 5 | 41 | 33 | 29 | |
2016 | 롯데 | 6.85 | 22 | 0 | 0 | 3 | 12 | 0 | 0 | 0.200 | 454 | 95⅔ | 128 | 13 | 48 | 5 | 52 | 79 | 72 |
2017 | 11.66 | 9 | 0 | 0 | 0 | 2 | 0 | 0 | 0.000 | 76 | 14⅔ | 25 | 4 | 8 | 1 | 8 | 19 | 19 | |
2018 | 4.08 | 33 | 0 | 0 | 9 | 6 | 0 | 0 | 0.600 | 547 | 132⅓ | 127 | 18 | 30 | 4 | 89 | 65 | 60 | |
2020 | 4.87 | 25 | 1 | 0 | 5 | 10 | 0 | 0 | 0.333 | 574 | 133 | 139 | 19 | 40 | 3 | 77 | 76 | 72 | |
2021 | 7.35 | 14 | 0 | 0 | 3 | 5 | 0 | 0 | 0.373 | 269 | 56⅓ | 79 | 11 | 24 | 4 | 35 | 50 | 46 | |
2022 | SSG | 3.05 | 41 | 0 | 0 | 12 | 5 | 1 | 7 | 0.706 | 323 | 79⅔ | 69 | 5 | 27 | 4 | 55 | 28 | 27 |
2023 | 3.58 | 76 | 0 | 0 | 9 | 5 | 2 | 30 | 0.643 | 357 | 83 | 78 | 4 | 40 | 4 | 65 | 33 | 33 | |
총계 | 18시즌 | 4.99 | 484 | 3 | 2 | 78 | 90 | 10 | 48 | 0.464 | 5799 | 1306⅓ | 1366 | 139 | 646 | 58 | 925 | 784 | 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