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배경
1.1. 출생 및 교육
미쓰하시 켄야는 1997년 7월 11일 일본 군마현에서 태어났다. 그는 도미오카 제일 중학교와 도미오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니혼 대학에 진학했다. 고등학교 재학 시절, 그는 와타나베 유타와 환상의 복식조를 이루며 전국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인터하이 개인전 복식 우승과 전국 고등학교 선발 배드민턴 대회 복식에서 2014년과 2015년 연속으로 우승하며 강력한 실력을 입증했다.
2. 경력
미쓰하시 켄야는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대학 진학 후 시니어 대회로 영역을 넓히고 졸업 후 프로 선수로서 꾸준히 성장하며 세계 랭킹을 끌어올렸다. 그의 경력은 여러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발전해왔다.
2.1. 주니어 경력
미쓰하시 켄야는 2014년부터 일본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2014년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혼합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팀에 기여했다. 또한 와타나베 유타와 함께 남자 복식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추가했다. 같은 해 말레이시아 알로르 스타에서 열린 BWF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도 일본 주니어 대표팀의 일원으로 혼합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어서 2014년 코리아 주니어 오픈 남자 복식에서 와타나베 유타와 함께 우승을 차지했다.
2015년 시즌은 와타나베 유타와 함께 더치 주니어 남자 복식 우승으로 시작했다.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혼합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또한 오사카 국제 대회에 시니어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이후 호주 주니어 인터내셔널에서 남자 단식과 복식 두 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덴마크 주니어 컵에서도 남자 복식 우승을 거머쥐었다. 같은 해 11월, 페루 리마에서 열린 BWF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주니어 경력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2. 대학 및 초기 성인 경력
고등학교 졸업 후 미쓰하시는 니혼 대학에 진학하며 시니어 대회에 본격적으로 출전하기 시작했다. 2016년, 그는 오스트리아 오픈에서 시니어 대회 첫 결승에 진출했으나, 마커스 엘리스와 크리스 랭그리지 조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베트남 인터내셔널 챌린지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다마테 가쓰키와 파트너를 이뤄 유니버시아드 (세계 대학생 대회)에 참가했다. 준결승에서 2020년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이양과 이철휘 조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김재환과 서승재 조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또한 이 대회 혼합 단체전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8년에는 시노야 나루와 혼합 복식조를 구성하여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 해 가장 좋은 성적은 오사카 인터내셔널 준결승 진출이었고, 말레이시아 인터내셔널과 베트남 오픈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2.3. 프로 경력 및 도약
대학 졸업 후 미쓰하시 켄야는 일본 유니시스(현 BIPROGY)에 입사하며 본격적인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3.1. 이노우에 다쿠토와의 파트너십
그는 자신보다 두 살 많은 이노우에 다쿠토와 파트너를 이루었다. 이들은 2021년 전일본 종합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22년 전일본 사회인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는 우승을 달성하는 등 국내 무대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2022년 초 시즌에는 레위니옹 오픈, 몽골 인터내셔널, 캐나다 오픈 등 세 개의 국제 대회 결승에 진출했으나 모두 준우승에 머물렀다.
2.3.2. 오카무라 히로키와의 파트너십
2023년부터 미쓰하시는 자신보다 한 살 어린 오카무라 히로키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들은 단숨에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기 시작하며 국제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3. 주요 성과
미쓰하시 켄야는 주니어 시절부터 현재까지 여러 국제 및 국내 대회에서 메달과 타이틀을 획득하며 꾸준히 성장해왔다.
3.1. 국제 대회
- 유니버시아드
|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17 | 타이베이 체육관, 타이베이, 타이완 | 다마테 가쓰키 | 김재환 서승재 | 12-21, 19-21 | ![]() 은메달 |
- BWF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15 | 센트로 데 알토 렌디미엔토 데 라 비데나, 리마, 페루 | 와타나베 유타 | 허지팅 정쓰웨이 | 13-21, 16-21 | ![]() 동메달 |
-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14 | 타이베이 체육관, 타이베이, 타이완 | 와타나베 유타 | 황카이샹 정쓰웨이 | 10-21, 8-21 | ![]() 동메달 |
3.2. BWF 월드 투어
BWF 월드 투어는 BWF가 주관하는 엘리트 배드민턴 토너먼트 시리즈로, 2018년부터 시행되었다. 월드 투어는 월드 투어 파이널스, 슈퍼 1000, 슈퍼 750, 슈퍼 500, 슈퍼 300 (HSBC 월드 투어의 일부), 그리고 BWF 투어 슈퍼 100 레벨로 나뉜다.
- 남자 복식
| 연도 | 대회명 | 등급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22 | 캐나다 오픈 | 슈퍼 100 | 이노우에 다쿠토 | 엔도 아야토 다케이 유타 | 15-21, 8-21 | 준우승 |
| 2023 | 베트남 오픈 | 슈퍼 100 | 오카무라 히로키 | 하르디안토 아데 유수프 산토소 | 21-19, 21-19 | 우승 |
| 2023 | 인도네시아 마스터스 | 슈퍼 100 | 오카무라 히로키 | 충 홍 지안 무함마드 하이칼 | 21-16, 21-18 | 우승 |
3.3. BWF 인터내셔널 챌린지/시리즈
- 남자 복식
| 연도 | 대회명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 2016 | 베트남 인터내셔널 | 와타나베 유타 | 옹 유 신 테오 이 이 | 19-21, 14-21 | 준우승 |
| 2016 | 오스트리아 오픈 | 와타나베 유타 | 마커스 엘리스 크리스 랭그리지 | 14-21, 16-21 | 준우승 |
| 2022 | 레위니옹 오픈 | 이노우에 다쿠토 | 메자키 슌타로 니시다 하루야 | 21-16, 18-21, 10-21 | 준우승 |
| 2022 | 몽골 인터내셔널 | 이노우에 다쿠토 | 엔도 아야토 다케이 유타 | 14-21, 21-12, 19-21 | 준우승 |
| 2023 | 인도네시아 인터내셔널 | 오카무라 히로키 | 기동주 김재환 | 20-22, 21-16, 21-8 | 우승 |
3.4. 국내 대회
- 전일본 종합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준우승 (2021년)
- 전일본 사회인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우승 (2022년)
- 전국 고등학교 선발 배드민턴 대회 남자 복식 2연패 (2014년-2015년)
4. 같이 보기
- 배드민턴
- BWF 월드 투어
- 와타나베 유타
- 이노우에 다쿠토
- 오카무라 히로키
- 김재환 (배드민턴 선수)
- 서승재
- 이양 (배드민턴 선수)
- 리저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