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매튜 제임스 린들랜드(Matthew James Lindland매튜 제임스 린들랜드영어, 1970년 5월 17일 ~ )는 미국의 은퇴한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올림픽 레슬링 선수, 연설가, 배우, 코치, 기업가, 그리고 정치인이다. 오리건주 하원의원 공화당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의류 회사인 '더티 복서(Dirty Boxer영어)'를 설립하기도 했다.
린들랜드는 주로 미들급에서 활동하며 UFC, 스트라이크포스, 어플릭션, IFL, Cage Rage, WFA, 그리고 BodogFight 등 다양한 단체에서 경기를 치렀다. 그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76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은메달을 추가했다. 특히 올림픽 출전을 위한 법정 싸움으로 인해 '더 로이어(The Lawyer영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린들랜드는 은퇴 후 2021년 렌조 그레이시의 제자로서 브라질리언 주짓수 블랙 벨트를 획득했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린들랜드는 15세에 오리건주 글래드스톤 고등학교에서 레슬링을 시작했다. 1991년에는 클래커마스 커뮤니티 칼리지 소속으로 주니어 칼리지 158파운드 전국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이후 네브래스카 대학교에서 NCAA 디비전 I 레슬링 선수로 활동하며 1993년 빅 에이트 컨퍼런스 158파운드급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93년 시즌에는 36승 0패의 기록으로 전국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랭킹 1위를 기록했으나, 첫 라운드에서 이변의 패배를 당하며 순위에 들지 못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프리스타일과 그레코로만형 두 가지 스타일에서 경쟁하기 시작했고, 두 분야 모두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궁극적으로 그레코로만형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3. 레슬링 경력
린들랜드는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로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국내외 대회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레슬링 경력은 대학 시절부터 시작되어 올림픽 메달 획득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발전을 보여주었다.
3.1. 아마추어 레슬링
린들랜드는 클래커마스 커뮤니티 칼리지 시절이던 1991년 72 kg (158 lb) 체급에서 NJCAA 전국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네브래스카 대학교로 진학하여 NCAA 디비전 I에서 활약했다. 1993년에는 72 kg (158 lb) 체급에서 빅 에이트 컨퍼런스 타이틀을 거머쥐었고, 같은 해 36승 0패의 무패 기록으로 전국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체급 1위로 랭크되었으나, 아쉽게도 첫 라운드에서 패배하여 순위권에 들지 못했다. 대학 경력 이후 그는 프리스타일 레슬링과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모두에서 경쟁하기 시작했으며, 두 분야 모두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최종적으로 그레코로만형에 모든 노력을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3.2.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성과
린들랜드 경력의 정점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9-76kg 체급에서 미국 대표로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이듬해인 2001년에는 그리스 파트라스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 85kg급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그는 또한 1994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팬아메리칸 레슬링 챔피언십 프리스타일 74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어 자료에 따르면 1997년 산후안 팬아메리칸 챔피언십 그레코로만형 76kg급 은메달, 1999년 위니펙 그레코로만형 76kg급 금메달, 2000년 칼리 그레코로만형 76kg급 금메달을 추가로 획득했다. 그의 종합격투기 경력은 이미 3년 전인 1997년에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올림픽 출전 이후에도 아마추어 레슬링과 종합격투기 경기를 병행했다.
특히 린들랜드는 법정 소송을 통해 미국 올림픽 대표팀에 합류한 것으로 유명하다. 미국 올림픽 선발전 결승에서 키스 시에라키에게 패배했는데, 린들랜드는 시에라키가 자신을 걸어 넘어뜨렸다고 주장했다.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규칙에 따르면 공격 방어 시 다리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항소 끝에 중재자는 린들랜드와 시에라키의 재경기를 명령했고, 린들랜드는 재경기에서 9대 0으로 승리했다. 그러나 USOC는 시에라키를 팀에 유지하기 위해 연방 법원에 항소했다. 연방 지방 법원과 제7 연방 순회 항소 법원의 3인 판사 패널은 모두 린들랜드의 손을 들어주었다. 미국 대법원에 USOC의 심리 요청이 거부되면서 린들랜드의 올림픽 팀 합류는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이 길고 복잡한 법적 분쟁 이후 린들랜드는 "더 로이어(The Lawyer영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린들랜드는 2001년 UFC 첫 경기 이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미국 내셔널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는 2004년 레슬링 경력이 마무리될 때까지도 해당 체급에서 국내 톱 10 레슬러로 남아 있었으며, 이미 10여 차례 이상의 종합격투기 경기를 치른 베테랑이었다.
4. 종합격투기 경력
린들랜드는 팀 퀘스트에서 랜디 커투어, 댄 헨더슨 등과 함께 종합격투기 훈련을 시작했다. 그의 종합격투기 경력은 레슬링과 함께 병행되며 여러 단체에서 다양한 경기를 치렀다.
4.1. 초기 경력 및 UFC
린들랜드는 1997년 2월 14일 또는 24일에 World Fighting Federation에서 카로 다브티안을 상대로 TKO 승리를 거두며 프로 종합격투기 데뷔전을 치렀다. 같은 해 9월 20일 IFC 6 미들급 토너먼트 결승에서 트래비스 풀턴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12월 16일 UFC 29를 통해 UFC에 데뷔하여 안조 요지를 상대로 마운트 펀치로 TKO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UFC 미들급에서 4연승을 기록하며 주목받았으나, 2002년 5월 10일 UFC 37에서 무릴로 부스타만치의 UFC 미들급 챔피언십에 도전하여 길로틴 초크로 서브미션 패배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2003년 6월 6일 UFC 43에서 팔라니코 비탈레와 맞붙었는데, 상대를 슬램하려다 스스로 후두부를 매트에 강타하여 실신하는 이변을 겪으며 KO 패배를 당했다. 하지만 같은 해 11월 21일 UFC 45에서 비탈레와의 재경기에서 TKO 승리를 거두며 설욕에 성공했다. UFC에서 방출된 이후에도 린들랜드는 B.J. 펜 대 조르주 생 피에르 경기와 같은 UFC 이벤트에서 계속해서 코너 맨으로 활동했다.
4.2. 다양한 프로모션에서의 활동
UFC를 떠난 후 린들랜드는 IFL과 BodogFight에서 5승 2패의 기록을 이어갔다. 이 두 번의 패배는 그의 평체급이 아닌 상위 체급에서 이루어졌는데, 미래의 UFC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인 퀸튼 잭슨과 전 PRIDE 헤비급 챔피언 에밀리아넨코 표도르를 상대로였다.
2006년 7월 22일 WFA에서 퀸튼 잭슨에게 스플릿 판정패를 당한 후, 린들랜드는 IFL에 합류하며 IFL 팀 코치로서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2006년 9월 9일 IFL 포틀랜드 대회에서 제레미 혼을 2라운드 초반 TKO로 꺾었다. 2007년 2월 2일 IFL 휴스턴 대회에서는 카를로스 뉴턴을 2라운드 1분 43초 길로틴 초크로 서브미션 승리했다.
2007년 4월 14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BodogFIGHT: Clash of the Nations에서 표도르 에밀리아넨코를 상대로 헤비급 경기를 치렀으나, 1라운드 2분 58초에 암바로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다. 2008년 7월 19일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열린 Affliction: Banned 대회에서 파비오 나시멘토를 상대로 3대 0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2009년 1월 24일 Affliction: Day of Reckoning에서 비토르 벨포트에게 1라운드 37초만에 KO 패배를 당했다. 그는 또한 Cage Rage 14에서 니노 솀브리에게 TKO 승리, Cage Rage 9에서 마크 위어에게 TKO 승리를 거두었다.
그 외 주요 경기:
- 2006년 4월 29일 Raze MMA: Fight Night에서 마이크 밴 아스달에게 길로틴 초크로 서브미션 승리.
- 2006년 3월 3일 GFC: Gracie vs. Hammer House에서 파비오 레오폴도에게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서브미션 승리.
- 2005년 8월 20일 UFC 54에서 조 도어크센에게 만장일치 판정승.
- 2005년 4월 16일 UFC 52에서 트래비스 루터에게 길로틴 초크로 서브미션 승리 (UFC.com 선정 2005년 올해의 서브미션 8위).
- 2005년 1월 8일 Sportfight 8: Justice에서 랜든 쇼월터에게 암바로 서브미션 승리.
- 2004년 8월 21일 UFC 49에서 데이비드 테럴에게 펀치에 의한 KO 패배.
- 2004년 5월 7일 ROTR 5: Rumble on the Rock 5에서 토니 프라이클런드에게 만장일치 판정승.
- 2003년 2월 28일 UFC 41에서 필 바론에게 만장일치 판정승.
- 2002년 9월 27일 UFC 39에서 이반 살라베리에게 만장일치 판정승.
- 2002년 3월 22일 UFC 36에서 팻 밀레티치에게 펀치에 의한 TKO 승리.
- 2001년 11월 21일 UFC 34에서 필 바론에게 다수 판정승.
- 2001년 5월 4일 UFC 31에서 히카르두 알메이다에게 반칙(불법 업킥)에 의한 실격승.
4.3. 스트라이크포스
2009년 4월 13일, 린들랜드는 스트라이크포스와 세 경기 계약을 맺고 2009년 12월 19일 Strikeforce: Evolution에서 호나우두 소우자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린들랜드는 1라운드에 암 트라이앵글 초크로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다.
2010년 5월 21일, 그의 고향인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열린 Strikeforce Challengers 8의 메인 이벤트에 출전하여 케빈 케이시에게 승리했다. 2010년 12월 4일 Strikeforce: Henderson vs. Babalu II에서 로비 롤러와 대결했으나, 1라운드 50초 만에 펀치에 의한 KO 패배를 당했다.
4.4. 말년 경력 및 은퇴
2011년 5월 21일, 린들랜드는 폴란드 그단스크에서 열린 KSW 16 대회에서 마메드 할리도브에게 길로틴 초크로 실신하며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다. 이 경기가 그의 마지막 공식 종합격투기 경기였다.
종합격투기 은퇴 후에도 린들랜드는 격투기 활동을 이어갔다. 2021년 8월 27일에는 렌조 그레이시로부터 브라질리언 주짓수 블랙 벨트를 수여받았다. 또한 그의 종합격투기 경력을 다룬 "파이팅 폴리틱스(Fighting Politics영어)"라는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그는 또한 스포츠 매니지먼트 월드와이드에서 "종합격투기 경영" 강사로도 활동했다.
5. 코칭 및 멘토링
린들랜드는 레슬링과 종합격투기 코치로서 활발히 활동하며 여러 유망주를 지도했다. 그는 노스웨스트 유소년 레슬링 프로그램을 설립하고, 미국 내 최고 레슬링 클럽 중 두 곳인 코브라 레슬링(Cobra Wrestling영어)과 페닌슐라(Peninsula영어)에서 코치로 활동했다. 같은 해, 그는 차엘 소넨과 함께 웨스트 린 고등학교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96년, 린들랜드는 네브래스카 대학교의 보조 레슬링 코치로 일하기 위해 네브래스카주 링컨으로 돌아왔으며, 2000년까지 그곳에서 지도했다. 네브래스카 재직 기간 동안 그는 NCAA 챔피언들과 다수의 올 아메리칸(All-Americans영어) 선수들을 지도했다. 그는 현재까지도 USA 레슬링과 계속해서 협력하고 있다.
2000년에 린들랜드는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위치한 자신의 팀 퀘스트 체육관에서 레슬링과 종합격투기 코칭을 시작했다. 그는 현재까지도 팀 퀘스트에서 레슬링, 킥복싱, 종합격투기, 그리고 프로 및 아마추어 격투 팀을 지도하고 있다. 2013년에는 미국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대표팀의 월드 팀 코치로 선정되었다. 그는 또한 자신의 모교인 클래커마스 커뮤니티 칼리지의 자원봉사 보조 코치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최근 몇 년간 NJCAA 전국 토너먼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큰 발전을 이루었다.
6. 정치 경력
린들랜드는 스포츠 경력 외에 정치에도 발을 들였다. 2008년 3월 11일, 그는 공화당 소속으로 오리건주 하원의원 제52선거구 출마를 신청했다. 이 지역구는 이전에 공화당 의원인 패티 스미스(Patti Smith영어)가 차지했던 곳이었다.
2008년 5월 20일 예비선거에서 린들랜드는 같은 공화당 소속의 필리스 티먼(Phyllis Thiemann영어)을 58대 42퍼센트의 득표율로 꺾고 승리했다. 그러나 본선거에서는 후드리버 출신 민주당 후보인 수잔 반오만에게 약 48퍼센트의 득표율로 패배했다.
7. 기타 활동
린들랜드는 '더티 복서(Dirty Boxer영어)'라는 의류 회사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00년 올림픽 이후 오리건으로 돌아와 'USA 오토 홀세일(USA Auto Wholesale영어)'이라는 중고차 딜러십을 열기도 했다.
종합격투기에서 은퇴한 후에도 린들랜드는 전문 래프팅과 같은 다른 스포츠 활동을 추구했으며, 현재까지 6회에 걸쳐 웨스턴 화이트 워터 시리즈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인상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세미나와 대중 강연 활동도 펼치고 있다.
8. 개인 생활
매트 린들랜드는 그의 아내 앤지(Angie영어)와의 사이에서 두 자녀를 두었다. 아들로는 빅 짐(Big Jim영어)이라는 아들과 딸이 있다.
9. 유산 및 평가
린들랜드는 레슬링과 종합격투기 양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스포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끊임없는 도전 정신과 법정 싸움을 통한 올림픽 출전은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는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이다.
9.1. 명예의 전당 헌액
린들랜드는 2013년 10월 아이오와주 워털루에 위치한 댄 게이블 국립 레슬링 명예의 전당 박물관 내 앨런 & 글로리아 라이스 그레코로만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또한 2025년에는 국립 레슬링 명예의 전당의 뛰어난 회원(Distinguished Member영어)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9.2. 기타 수상 및 업적
- IFC
- IFC 6 토너먼트 우승 (1997)
- UFC
- UFC.com 어워드
- 2005년 '올해의 서브미션' 8위 (대 트래비스 루터)
- UFC.com 어워드
- SHERDOG
- 2003년 '올해의 경기' 선정
10. 출연 활동
린들랜드는 여러 영화 및 TV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2013년 개봉한 수상 경력에 빛나는 종합격투기 다큐멘터리 '파이트 라이프(Fight Life영어)'에 출연했다. 이 영화는 제임스 Z. 펭(James Z. Feng영어)이 감독하고 RiLL 필름스(RiLL Films영어)에서 제작했다.
- 2011년 7월 22일, TV 시리즈 '레버리지(Leverage영어)'에 에드 허먼과 함께 게스트로 출연하여 종합격투기 선수 역할을 맡았다.
- HBO의 인기 TV 시리즈 '오즈(Oz영어)'에서도 연기 및 스턴트 역할을 수행했다.
- 메리 케이트 올슨과 애슐리 올슨 주연의 영화 '뉴욕 미닛(New York Minute영어)'에도 출연하여 연기 및 스턴트 작업을 했다。
- '원스 아이 워즈 어 챔피언(Once I Was a Champion영어)' (2011) 다큐멘터리에도 출연했다.
11. 종합격투기 전적
승패 | 총 전적 | 상대 | 승리 방식 | 대회명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22-9 | 마메드 할리도브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KSW 16: Khalidov vs. Lindland | 2011년 5월 21일 | 1 | 1:35 | 폴란드 그단스크 | |
패 | 22-8 | 로비 롤러 | KO (펀치) | Strikeforce: Henderson vs. Babalu II | 2010년 12월 4일 | 1 | 0:50 |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 |
승 | 22-7 | 케빈 케이시 | TKO (펀치) | Strikeforce Challengers: Lindland vs. Casey | 2010년 5월 21일 | 3 | 3:41 |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 |
패 | 21-7 | 호나우두 소우자 | 서브미션 (암 트라이앵글 초크) | Strikeforce: Evolution | 2009년 12월 19일 | 1 | 4:18 |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 | |
패 | 21-6 | 비토르 벨포트 | KO (펀치) | Affliction: Day of Reckoning | 2009년 1월 24일 | 1 | 0:37 |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
승 | 21-5 | 파비오 나시멘토 | 판정 (만장일치) | Affliction: Banned | 2008년 7월 19일 | 3 | 5:00 |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
패 | 20-5 | 에밀리아넨코 표도르 | 서브미션 (암바) | BodogFIGHT: Clash of the Nations | 2007년 4월 14일 | 1 | 2:58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헤비급 경기 |
승 | 20-4 | 카를로스 뉴턴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IFL: Houston | 2007년 2월 2일 | 2 | 1:43 |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 |
승 | 19-4 | 제레미 혼 | TKO (펀치) | IFL: Portland | 2006년 9월 9일 | 2 | 0:21 |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 |
패 | 18-4 | 퀸튼 잭슨 | 판정 (스플릿) | WFA: King of the Streets | 2006년 7월 22일 | 3 | 5:00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라이트 헤비급 경기 |
승 | 18-3 | 마이크 밴 아스달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Raze MMA: Fight Night | 2006년 4월 29일 | 1 | 3:38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
승 | 17-3 | 파비오 레오폴도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GFC: Gracie vs. Hammer House | 2006년 3월 3일 | 3 | 3:25 |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 |
승 | 16-3 | 니노 솀브리 | TKO (펀치) | Cage Rage 14 | 2005년 12월 3일 | 3 | 3:33 | 영국 런던 | |
승 | 15-3 | 조 도어크센 | 판정 (만장일치) | UFC 54: Boiling Point | 2005년 8월 20일 | 3 | 5:00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
승 | 14-3 | 트래비스 루터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UFC 52: Couture vs Liddell | 2005년 4월 16일 | 2 | 3:32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
승 | 13-3 | 랜든 쇼월터 | 서브미션 (암바) | Sportfight 8: Justice | 2005년 1월 8일 | 1 | 2:43 | 미국 오리건주 그래샴 | |
승 | 12-3 | 마크 위어 | TKO (닥터 스톱) | Cage Rage 9 | 2004년 11月 27일 | 1 | 5:00 | 영국 런던 | |
패 | 11-3 | 데이비드 테럴 | KO (펀치) | UFC 49 | 2004년 8월 21일 | 1 | 0:24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
승 | 11-2 | 토니 프라이클런드 | 판정 (만장일치) | ROTR 5: Rumble on the Rock 5 | 2004년 5월 7일 | 3 | 5:00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 |
승 | 10-2 | 팔라니코 비탈레 | TKO (서브미션 투 스트라이크) | UFC 45 | 2003년 11월 21일 | 3 | 4:23 | 미국 코네티컷주 언캐스빌 | |
패 | 9-2 | 팔라니코 비탈레 | KO (슬램) | UFC 43 | 2003년 6월 6일 | 1 | 1:56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
승 | 9-1 | 필 바론 | 판정 (만장일치) | UFC 41 | 2003년 2월 28일 | 3 | 5:00 | 미국 뉴저지주 애틀랜틱시티 | |
승 | 8-1 | 이반 살라베리 | 판정 (만장일치) | UFC 39 | 2002년 9월 27일 | 3 | 5:00 | 미국 코네티컷주 언캐스빌 | |
패 | 7-1 | 무릴로 부스타만치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UFC 37 | 2002년 5월 10일 | 3 | 1:33 | 미국 루이지애나주 보시어 시티 | UFC 미들급 챔피언십 |
승 | 7-0 | 팻 밀레티치 | TKO (펀치) | UFC 36 | 2002년 3월 22일 | 1 | 3:09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
승 | 6-0 | 필 바론 | 판정 (다수 판정) | UFC 34 | 2001년 11월 21일 | 3 | 5:00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
승 | 5-0 | 히카르두 알메이다 | 실격 (불법 업킥) | UFC 31 | 2001년 5월 4일 | 3 | 4:21 | 미국 뉴저지주 애틀랜틱시티 | |
승 | 4-0 | 안조 요지 | TKO (펀치) | UFC 29 | 2000년 12월 16일 | 1 | 2:58 | 일본 도쿄 | |
승 | 3-0 | 트래비스 풀턴 | 서브미션 (초크) | IFC 6: Battle at the Four Bears | 1997년 9월 20일 | 1 | 22:13 | 미국 노스다코타주 뉴타운 | IFC 6 토너먼트 우승 |
승 | 2-0 | 마크 워터스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IFC 6: Battle at the Four Bears | 1997년 9월 20일 | 1 | 2:20 | 미국 노스다코타주 뉴타운 | IFC 6 토너먼트 준결승 |
승 | 1-0 | 카로 다브티안 | TKO (펀치) | World Fighting Federation | 1997년 2월 14일 | 1 | 8:34 | 미국 앨라배마주 버밍엄 |
12. 레슬링 및 그래플링 주요 성과
대회 종류 | 연도 | 체급 | 성과 |
---|---|---|---|
서브미션 그래플링 | |||
ADCC 월드 서브미션 레슬링 챔피언십 | - | - | 유신 오카미 상대 승리 |
ADCC 월드 서브미션 레슬링 챔피언십 | - | - | 호나우두 소우자 상대 패배 |
ADCC 월드 서브미션 레슬링 챔피언십 | - | - | 파브리시우 베르둠 (암바) 상대 패배 |
아마추어 레슬링 (포크스타일 레슬링) | |||
NJCAA 대학 선수권 대회 | 1991 | 72 kg (158 lb) | 1위 |
NCAA 디비전 I 토너먼트 | 1993 | 74 kg (163 lb) | 1위 시드; 순위권 밖 |
프리스타일 레슬링 | |||
미국 대학 프리스타일 선수권 대회 | 1992 | 74 kg (163 lb) | 1위 |
미국 대학 프리스타일 선수권 대회 | 1994 | 74 kg (163 lb) | 1위 |
팬아메리칸 레슬링 챔피언십 | 1994 | 74kg | 금메달 |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 |||
미국 시니어 그레코로만 선수권 대회 | 1995 | 74 kg (163 lb) | 1위 |
미국 시니어 그레코로만 선수권 대회 | 1998 | 76 kg (167.5 lb) | 1위 |
미국 시니어 그레코로만 선수권 대회 | 1999 | 76 kg (167.5 lb) | 1위 |
미국 시니어 그레코로만 선수권 대회 | 2000 | 76 kg (167.5 lb) | 1위 |
미국 시니어 그레코로만 선수권 대회 | 2001 | 85 kg (187.2 lb) | 1위 |
FILA 세계 선수권 대회 | 1998 | 76 kg (167 lb) | 6위 |
FILA 세계 선수권 대회 | 2001 | 85 kg (187 lb) | 2위 (은메달) |
올림픽 | 2000 | 76 kg (167.5 lb) | 은메달 |
팬아메리칸 레슬링 챔피언십 | 1997 | 76kg | 은메달 |
팬아메리칸 레슬링 챔피언십 | 1999 | 76kg | 금메달 |
팬아메리칸 레슬링 챔피언십 | 2000 | 76kg | 금메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