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레치에 3세(Letsie III, 본명: 모하토 베렝 세이소)는 1963년 7월 17일에 태어난 레소토의 현임 국왕이다. 그는 아버지 모슈슈 2세가 1990년 군부 쿠데타로 망명하면서 처음으로 왕위에 올랐고, 1996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다시 국왕으로 즉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입헌군주로서 그의 역할은 주로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성격을 띠지만, 국가의 안정과 사회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특히 레치에 3세는 2000년 HIV/AIDS를 천연재해로 선포하며 국가적, 국제적 대응을 촉구하여 공중 보건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그는 농업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농업 기술 적용을 장려하는 등 사회적 정의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재위 기간 동안 1994년 정치 위기와 같은 불안정한 시기도 겪었으나, 그는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고 레소토의 민주주의 발전과 사회적 약자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노력했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레치에 3세는 레소토 왕실의 일원으로서 태어나 엄격한 교육 과정을 거치며 국왕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했다.
2.1. 출생 및 가족
레치에 3세는 본명 모하토 베렝 세이소(Mohato Bereng Seeiso)로 1963년 7월 17일 마세루 남부의 모리야에 있는 스콧 병원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레소토의 국왕이었던 모슈슈 2세이며, 어머니는 마모하토 왕비이다. 그에게는 세이소 왕자라는 형제가 있다.
2.2. 교육
레치에 3세는 영국의 앰플포스 칼리지에서 예비 교육을 받으며 학업을 시작했다. 이후 레소토 국립대학교에 진학하여 법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지적 성장을 위해 학업을 계속하여 다음과 같은 해외 유수 대학에서 추가 학위를 취득했다:
- 브리스톨 대학교 (University of Bristol): 영어 법률 연구 디플로마 (1986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울프슨 칼리지 (Wolfson College, Cambridge): 개발학 (1989년)
- 와이 칼리지 (Wye College): 농업 경제학
그는 1989년에 모든 학업을 마친 후 레소토로 귀국했다. 귀국 후 1989년 12월 16일에는 마체엥 (Matsieng, 마세루 구의 주요 지역)의 최고 추장으로 임명되었다.
3. 재위
레치에 3세의 재위 기간은 레소토의 정치적 격변과 사회적 도전이 공존하는 시기였다. 그는 두 차례에 걸쳐 왕위에 올랐으며, 입헌군주로서 제한된 권한 속에서도 국가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
3.1. 즉위와 계승
레치에 3세의 즉위는 레소토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의 아버지 모슈슈 2세는 1990년 저스틴 레한야가 이끄는 군부 쿠데타로 인해 망명을 떠나야 했다. 이에 따라 레치에 3세는 1990년 11월, 레소토의 제2대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1995년 1월, 국제 사회의 중재로 모슈슈 2세가 잠시 왕위에 복위하면서 레치에 3세는 다시 왕세자 신분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1996년 초 (구체적으로는 1996년 2월 7일), 모슈슈 2세가 자동차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레치에 3세는 1996년 2월 7일 다시 국왕으로 복위하여 제4대 국왕이 되었다.
3.2. 대관식
레치에 3세의 공식 대관식은 1997년 10월 31일 세초토 스타디움에서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이 행사에는 당시 영국의 웨일스 공이었던 찰스 3세가 참석하여 국제적인 관심을 모았다.
3.3. 입헌군주로서의 역할
레소토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레치에 3세는 헌법상 국왕으로서 국가 원수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그의 통치 권한은 헌법에 의해 엄격히 제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국왕으로서의 임무는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성격을 띤다. 그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삼권분립 원칙에 기반한 다당제 민주주의 체제 내에서 국가의 단결과 연속성을 상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4. 정치적 사건 및 통치
레치에 3세의 재위 기간 중 가장 큰 정치적 사건은 1994년의 레소토 위기였다. 1994년 8월, 그는 당시 총리였던 누추 모헬레와의 갈등이 심화되자, 헌법을 정지시키고 의회와 내각의 해산을 일방적으로 선언했다. 이러한 조치는 레소토 내외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이에 반대하는 대규모 총파업과 항의 시위가 9월에 발생했다. 시위 진압 과정에서 경찰과 군인의 발포로 인해 일부 시민이 희생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레치에 3세는 1995년 일시적으로 퇴위해야 했다.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 속에서도 레치에 3세는 사회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00년, 그는 레소토의 HIV/AIDS 확산을 천연재해로 선포하는 과감한 정책 결정을 내렸다. 이 선포는 레소토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의 즉각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끌어내며 HIV/AIDS 전염병 퇴치 노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조치는 공중 보건 증진과 사회적 약자 보호에 대한 그의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4. 개인 생활
레치에 3세는 공적인 국왕의 역할 외에도 사적인 삶에서 가족과 종교적 신념을 중요하게 여겼다.
4.1. 결혼 및 자녀
레치에 3세는 2000년 2월 18일 카라보 모초에넹 (Karabo Motšoeneng)과 결혼했다. 그녀는 결혼 후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로 알려졌다. 슬하에 두 딸과 한 아들을 두었다:
- 마리 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공주 (Princess Mary Senate Mohato Seeiso): 2001년 10월 7일 마세루의 마세루 개인 병원에서 출생.
- 마세이소 모하토 세이소 공주 (Princess 'Maseeiso Mohato Seeiso): 2004년 11월 20일 마세루의 마세루 개인 병원에서 출생.
- 레로톨리 다비드 모하토 베렝 세이소 왕자 (Prince Lerotholi David Mohato Bereng Seeiso): 2007년 4월 18일 마세루의 마세루 개인 병원에서 출생. 그는 레소토 왕위의 왕위 계승자이다.
4.2. 종교
레치에 3세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다. 그는 전 세계에서 비유럽계 혈통을 가진 두 명의 가톨릭 군주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한 명은 마오리족의 여왕 응아 와이 호노 이 테 포이다. 그는 성 조지 성군 콘스탄티누스 기사단의 일원이며, 레소토에서 자신의 가톨릭 신앙 원칙을 널리 알리고 사회적 역할에 반영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5. 영예 및 후원
레치에 3세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영예를 받았으며, 여러 공익 활동을 후원하며 사회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다.
5.1. 국내 훈장
레소토의 국왕으로서 레치에 3세는 다음과 같은 레소토의 최고 훈장들의 대수장(Grand Master)이다:
- 모슈슈 최고 훈장 (Most Dignified Order of Moshoeshoe, 존엄 훈장)
- 레소토 최고 예우 훈장 (Most Courteous Order of Lesotho)
- 모흘로미 최고 공로 훈장 (Most Meritorious Order of Mohlomi, 업적 훈장)
- 라마체아차네 최고 충성 훈장 (Most Loyal Order of Ramatseatsane, 특출한 봉사 훈장)
- 마코안야네 최고 용맹 훈장 (Most Gallant Order of Makoanyane, 용맹 훈장)
또한 그는 레소토 탁월한 봉사 메달 (Outstanding Service Medal)을 수여받았다.
5.2. 해외 훈장
레치에 3세는 해외 국가 원수로서 다음과 같은 훈장을 받았다:
- 양시칠리아 왕국 왕실: 성 조지 성군 콘스탄티누스 기사단의 정의 기사 대십자 기사 (Bailiff Knight Grand Cross of Justice of the Two Sicilian Royal Sacred Military Constantinian Order of Saint George, 2013년 10월 8일).
5.3. 후원 활동
레치에 3세는 모하토 왕자 상 (Prince Mohato Award, Khau ea Khosana Mohato카우 에아 코사나 모하토소토어 (남))의 후원자이다. 이 상은 특히 청소년 교육 및 개발에 대한 그의 깊은 관심을 반영하며, 젊은 세대의 성장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둔다.
6. 조상
레치에 3세의 조상들은 레소토 왕가의 깊은 역사와 뿌리를 보여준다. 그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번호 | 이름 | 관계 | 비고 |
---|---|---|---|
1 | 레치에 3세 국왕 | 본인 | |
2 | 모슈슈 2세 국왕 | 아버지 | |
3 | 타비타 마센틀레 레로톨리 모젤라 공주 | 어머니 | 마모하토 왕비 |
4 | 시몬 세이소 | 친할아버지 | 바수톨란드 최고 추장 |
5 | 마베렝 | 친할머니 | |
6 | 레로톨리 모젤라 | 외할아버지 | 차콜로 추장 |
8 | 나다니엘 레로톨리 | 증조할아버지 | 바수톨란드 최고 추장 |
9 | 세부엥 | 증조할머니 | |
12 | 모젤라 레치에 | 외증조할아버지 | 차콜로 추장 |
16 | 레치에 2세 | 고조할아버지 | 바수톨란드 최고 추장 |
17 | 마넬라 말레차비사 | 고조할머니 | |
18 | 은쿠에베 레치에 | 고조할아버지 | 추장 |
24 | 레치에 1세 | 고조할아버지 | 바수톨란드 최고 추장 |
7. 국제 관계 및 방문
레치에 3세는 레소토의 국왕으로서 다양한 국제 활동에 참여하고 여러 국가를 방문하며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2016년 12월 1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레치에 3세 국왕은 유엔 식량 농업 기구 (FAO) 사무총장 호세 그라치아노 다 실바에 의해 영양 분야의 최신 특별 대사로 임명되었다. 이는 전 세계적인 영양 문제 해결에 대한 그의 기여를 인정받은 것이다.
- 일본 방문:**
- 2016년 11월 하순, 레치에 3세 국왕은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와 함께 일본을 방문했다. 이는 레소토 국왕으로서는 27년 만의 방문이자, 레치에 3세 개인으로서는 첫 일본 방문이었다. 그는 수도권과 간사이 지역을 방문했을 뿐만 아니라, 동일본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후쿠시마현 소마시를 방문했다. 소마시청에서 우치보리 마사오 후쿠시마현 지사 및 다테야 슈세이 시장과의 회담에서 그는 "앞으로도 동일본 대지진 피해자들에게 마음을 함께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지진으로 현민과 시민들이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재건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잃어버린 생명은 돌아오지 않지만, 재건을 위한 노력은 희생자들의 진혼이 되고 앞으로의 힘이 될 것"이라며 후쿠시마현 주민들을 따뜻하게 격려했다. 또한, 국왕 부부는 소마시 체류 중 전승진혼기념관에서 위령비에 헌화하고 마쓰카와우라 환경공원에서 식수 행사에 참여하는 등 피해 지역에 대한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 2019년 10월 21일, 영빈관 아카사카 이궁에서 아베 신조 당시 내각총리대신과 회담을 가졌다. 이튿날인 10월 22일에는 나루히토 천황의 즉위례 정전의 의에 참석했다.
- 태국 방문:**
- 레치에 3세 국왕은 태국을 여러 차례 방문했으며, 왕실 손님, 정부 초청 인사, 또는 개인 자격으로 방문했다.
- 2006년 6월 11일, 그는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와 함께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의 즉위 60주년 기념식에 왕실 손님으로 참석했다. 이는 두 사람 모두에게 첫 태국 방문이었다. 이 방문 중 국왕 부부는 방콕의 주요 명소와 치앙마이주의 후아이홍카이 왕실 개발 연구 센터를 개인적으로 방문했다.
- 2016년 11월 2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의 시신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두싯 마하 쁘라삿 왕좌 홀을 방문했다.
- 2017년 10월 25일,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와 함께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의 왕실 화장식에 정부 초청 인사로 참석했다.
- 2019년 9월 8일,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와 함께 레소토 왕국 명예 총영사 아피찻 쑤싸엥의 부인인 아왓싸다 뽁몬뜨리의 어머니, 모하토 왕자 상의 화장식에 참석했다.
- 2019년 9월 9일,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와 함께 농업협동조합부 장관 찰름차이 스리온과 농업 분야 경험을 교환하기 위한 개인 방문을 가졌다.
- 2019년 9월 11일,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와 함께 "더 심플리 익셉셔널 2019 갈라 디너" 행사에 태국 및 벨기에 왕실 대표들과 함께 참석했다.
- 2019년 9월 12일,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와 함께 송클라 대학교에서 명예 농업 과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이는 그가 새로운 농업 이론을 적용하고 구체적인 성과를 거둔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8. 평가 및 유산
레치에 3세의 통치와 업적은 레소토의 역사와 사회 발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평가와 함께 일부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8.1. 긍정적 평가
레치에 3세는 레소토의 공중 보건과 사회 발전에 대한 깊은 관심을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2000년 HIV/AIDS를 천연재해로 선포한 그의 결정은 레소토의 HIV/AIDS 확산에 대한 국내외의 즉각적인 대응을 이끌어내며 전염병 퇴치 노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선언은 사회적 약자의 보호와 공중 보건 증진에 대한 그의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그는 농업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새로운 농업 이론을 국가 발전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는 태국 송클라 대학교로부터 명예 농업 과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는 등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이러한 활동은 레소토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8.2. 비판 및 논란
레치에 3세의 재위 기간 중 가장 큰 논란은 1994년의 정치 위기였다. 그는 당시 총리였던 누추 모헬레와의 갈등 속에서 헌법을 정지시키고 의회와 내각을 해산하는 조치를 취하여 민주주의적 절차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시위 과정에서 진압군의 발포로 시민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이는 그의 통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그는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과 시민들의 반발에 대한 책임을 지고 1995년 일시적으로 퇴위해야 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그의 통치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9. 관련 항목
- 레소토의 국왕 목록
- 모슈슈 2세
- 마세나테 모하토 세이소 왕비
- 레소토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