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히다예트 튀르콜루는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가지오스만파샤 지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북마케도니아 중부 라자니 마을에서 태어난 보스니아인으로, 세르비아 시에니차 출신의 보스니아계이다. 그의 원래 성씨는 라미체비치(Рамићевић라미체비치세르비아어)였으나, 튀르키예로 이주 후 "튀르키예의 아들"이라는 뜻의 튀르콜루로 변경했다. 그는 보스니아어와 세르비아어에 유창하며, 이슬람교를 믿는 무슬림이다.
1.1. 유년기 및 초기 농구 경력
튀르콜루는 10살 때 농구를 시작했으며, 일찍이 두각을 나타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팀을 전국 대회 우승으로 이끌었다. 1997년에는 튀르키예 프로 농구팀인 에페스 필센과 계약하며 18세의 나이로 프로에 데뷔했다.
1.2. 에페스 필센 (1996-2000)
튀르콜루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에페스 필센(현 아나돌루 에페스)에서 4시즌 동안 뛰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유로리그 50경기에서 평균 8.4득점, 58%의 야투 성공률을 기록했다. 특히 2000년 유로리그에서는 평균 13.6득점, 4.6리바운드, 2.7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이 2000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튀르키예인으로는 역대 최연소로 토너먼트 베스트 5에 선정되었다.
1.3. 가족
튀르콜루와 그의 아내 바누는 2009년 2월 첫 딸을 맞이했다. 부부의 둘째 딸은 2013년 4월에 태어났다.
2. NBA 경력
히다예트 튀르콜루는 2000년 NBA 드래프트에서 새크라멘토 킹스에 지명된 이후 15시즌 동안 6개 팀에서 활약하며 NBA 경력을 쌓았다.
2.1. 새크라멘토 킹스 (2000-2003)
튀르콜루는 2000년 NBA 드래프트에서 전체 16순위로 새크라멘토 킹스에 지명되었다. 그는 NBA 역사상 최초의 튀르키예 태생 선수로 기록되었다. 킹스에서 그는 블라데 디바츠, 페자 스토야코비치와 같은 유럽 출신 스타들과 함께 뛰었다.
2000-01 NBA 시즌에 튀르콜루는 74경기에 출전하여 평균 5.3득점을 기록하며 NBA 올-루키 세컨드 팀에 선정되었다. 2001-02 NBA 시즌에는 평균 10.1득점, 4.5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크게 성장했으며, NBA 올해의 식스맨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이 시즌 킹스는 리그 최고 승률을 기록했으며, 튀르콜루는 벤치에서 팀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다음 시즌에는 부상과 컨디션 난조로 인해 성적이 하락했다.
2.2. 샌안토니오 스퍼스 (2003-2004)
2003년 오프시즌 동안 튀르콜루는 론 머서와 함께 3개 팀 트레이드를 통해 샌안토니오 스퍼스로 이적했다. 이 트레이드로 브래드 밀러는 킹스로, 스콧 폴라드와 대니 페리는 인디애나 페이서스로 이적했다. 튀르콜루는 스퍼스에서 한 시즌을 뛰며 평균 9.2득점을 기록했고, 커리어 하이인 42%의 3점슛 성공률을 달성했다. 그는 시즌 후반 마누 지노빌리를 대신하여 선발 라인업에 합류, 44경기에서 선발 출전했다.
2.3. 올랜도 매직 (2004-2009)


2004년 오프시즌에 자유 계약 선수(FA)가 된 튀르콜루는 올랜도 매직과 계약했다. 매직에서 그는 그랜트 힐의 백업으로 활약하며 평균 14.0득점을 기록하며 이전 커리어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성적을 냈다. 다음 시즌에는 힐의 부상으로 인해 선발 라인업에 합류하여 평균 14.9득점, 4.3리바운드, 40.3%의 3점슛 성공률을 기록했다.
당시 침체기를 겪던 매직은 2004년 NBA 드래프트에서 드와이트 하워드를 영입하며 재건을 모색했고, 2006-07 NBA 시즌에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튀르콜루는 이 시즌부터 힐이 팀을 떠난 자리에 확고한 선발 스몰 포워드로 자리 잡았으며, 새로 영입된 라샤드 루이스와 함께 팀 공격의 핵심 쌍포를 형성했다.
2007-08 NBA 시즌은 튀르콜루 개인과 팀 모두에게 큰 도약의 해였다. 매직은 12시즌 만에 지구 우승을 차지했으며, 튀르콜루는 하워드에 버금가는 활약을 펼쳤다. 특히 승부가 결정되는 4쿼터에는 팀이 하워드나 루이스 대신 튀르콜루에게 공을 맡겼고, 그는 기대에 부응하며 4쿼터 평균 득점에서 팀 내 1위이자 리그 전체 5위를 기록했다. 개인 성적 또한 크게 향상되어 평균 19.5득점, 5.7리바운드, 5.0어시스트, 40.0%의 3점슛 성공률을 기록하며 NBA 기량발전상을 수상했다. 이 시즌 그는 정규 시즌 82경기에 모두 선발 출전했다.
이듬해 2008-09 NBA 시즌에는 자미어 넬슨의 성장에 힘입어 매직은 59승 23패를 기록하며 더욱 높은 승률을 달성했다. 튀르콜루 자신은 전 시즌보다 다소 떨어진 평균 16.8득점, 4.8어시스트를 기록했지만, 매직은 플레이오프를 통과하며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를 꺾고 마침내 NBA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와 맞붙었으나 1승 4패로 완패했다. 튀르콜루는 결승전에서 매직 선수 중 가장 높은 평균 18.0득점을 기록했다. 결승전 진출에도 불구하고 튀르콜루는 시즌 종료 후 더 높은 금액의 계약을 원하며 계약을 해지하고 팀을 떠나기로 결정했다.
2.4. 토론토 랩터스 (2009-2010)

2009년 7월 9일, 튀르콜루는 토론토 랩터스, 올랜도 매직, 댈러스 매버릭스, 멤피스 그리즐리스 등 4개 팀이 참여한 트레이드를 통해 토론토 랩터스로 이적했다. 이 트레이드에는 숀 매리언도 포함되어 있었다.
2010년 3월 28일, 튀르콜루는 위장염으로 한 경기에 불참한 직후 토론토 요크빌 지역의 나이트클럽에서 팬들에게 목격되어 랩터스 직원들에게 신고당했다. 이로 인해 그는 2006년 이후 처음으로 벤치에 앉는 징계를 받았다. 같은 해 5월 29일, 튀르콜루는 튀르키예 TV 인터뷰에서 랩터스 구단의 처우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토론토를 떠나고 싶다고 밝혔다.
2.5. 피닉스 선즈 (2010)
2010년 7월 14일, 튀르콜루는 레안드로 바르보사와 드웨인 존스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피닉스 선즈로 이적했다. 그는 선즈에서 짧은 기간 동안 뛰었다.
2.6. 올랜도 매직 복귀 (2010-2014)
2010년 12월 18일, 튀르콜루는 제이슨 리처드슨, 얼 클라크와 함께 빈스 카터, 마르친 고르타트, 미카엘 피에트루스, 2011년 1라운드 드래프트 지명권, 현금 300.00 만 USD를 받는 3개 팀 트레이드를 통해 다시 올랜도 매직으로 돌아왔다.
2013년 2월 13일, 튀르콜루는 금지 약물인 메테노론 양성 반응이 나와 20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다. 튀르콜루는 튀르키예의 트레이너에게서 약을 받았으며, 그것이 금지 약물인 줄 몰랐다고 진술했다.
2014년 1월 3일, 매직은 튀르콜루를 방출했다. 그는 2013-14 NBA 시즌 동안 매직에서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2.7.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14-2015)
2014년 1월 16일, 튀르콜루는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와 2013-14 시즌 잔여 기간 동안 계약했다. 1월 18일, 그는 클리퍼스 데뷔전을 치렀다. 인디애나 페이서스에게 92-106으로 패한 경기에서 13분 동안 4득점, 2리바운드, 1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4년 9월 12일, 그는 클리퍼스와 재계약하며 NBA에서의 마지막 시즌들을 보냈다.
3. 국제 경력

튀르콜루는 2001년 유로바스켓 2001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튀르키예 농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다. 그는 이 대회에서 평균 15.5득점을 기록했다.
2006년 FIBA 농구 월드컵의 예비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초대를 거절했다. 2009년에는 폴란드에서 열린 유로바스켓 2009에 참가하여 튀르키예가 8위를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 1년 후, 튀르콜루는 자국 튀르키예에서 개최된 2010 FIBA 농구 월드컵에 참가했다. 튀르키예 국가대표팀은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을 제외한 모든 팀을 이기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튀르콜루는 이 대회에서 평균 12.3득점, 4.2리바운드, 3.4어시스트를 기록했다. 그는 유로바스켓 2011과 유로바스켓 2013에도 참가하여 각각 평균 10.6득점과 7.3득점을 기록했다.
2014년 3월, 튀르콜루는 국제 농구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4. 플레이 스타일 및 특징
히다예트 튀르콜루는 웃으며 중요한 슛을 성공시키는 침착함과 승부 근성을 겸비한 장신 슈터였다. 그는 매우 다재다능한 선수로, 뛰어난 볼 핸들링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경기 운영(게임 메이크)에도 능하여 포인트 포워드로서 팀의 공격을 지휘하면서도 특유의 승부 근성으로 적극적으로 득점을 노렸다. 비록 운동 능력이 뛰어난 선수는 아니었지만, 독특한 리듬의 페네트레이션을 잘 구사했으며, 장신을 활용하여 파워 포워드로도 뛸 수 있었다. 그가 공을 가지고 있을 때 비로소 재능을 발휘하는 선수였기 때문에, 직접 경기 운영을 하지 않으면 컨디션이 좋지 않다는 평가도 있었다.
5. 은퇴 및 은퇴 후 경력
선수 생활을 마친 히다예트 튀르콜루는 튀르키예 농구 연맹의 최고 경영자로 임명되었고, 튀르키예 대통령의 고문으로 활동하는 등 스포츠 행정가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
5.1. 프로 선수 은퇴
2015년 11월 13일, 튀르콜루는 15시즌의 NBA 선수 생활을 마치고 프로 농구 선수로서의 은퇴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5.2. 행정 및 자문 역할
은퇴 후 튀르콜루는 즉시 튀르키예 농구 연맹의 최고 경영자(CEO)로 임명되었다. 2016년 3월 15일, 튀르키예 언론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튀르콜루를 자신의 고위 고문 중 한 명으로 임명했다고 보도했다.
6. 논란 및 비판
튀르콜루의 경력과 은퇴 후 활동은 금지 약물 복용과 정치적 연루 등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6.1. 도핑 징계
2013년 2월 13일, 튀르콜루는 금지 약물인 메테노론 양성 반응이 나와 NBA로부터 20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다. 튀르콜루는 튀르키예의 한 트레이너에게서 해당 약물을 받았으며, 그것이 금지 약물인 줄은 몰랐다고 해명했다.
6.2. 정치적 연루 및 관련 논란
튀르콜루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의 관계 및 튀르키예 민족주의와의 연관성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에네스 칸터와의 공개적인 논쟁에서, 칸터는 튀르콜루를 망상적이며 "에르도안의 애완견"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7. 수상 및 업적
히다예트 튀르콜루는 선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개인상 및 팀 수상 실적을 기록했다.
- NBA 기량발전상 (2008)
- NBA 올-루키 세컨드 팀 (2001)
- 튀르키예 농구 슈퍼리그 우승 (1997)
- 2회 튀르키예 농구컵 우승 (1997, 1998)
- 2회 튀르키예 농구 대통령컵 우승 (1998, 2000)
- 유로바스켓 은메달 (2001)
- FIBA 농구 월드컵 은메달 (2010)
8. 경력 통계
다음은 히다예트 튀르콜루의 NBA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경력 통계이다.
8.1. 정규 시즌
시즌 | 팀 | 경기 | 선발 | 출장 시간 | 야투% | 3점슛% | 자유투%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록 | 득점 |
---|---|---|---|---|---|---|---|---|---|---|---|---|
2000-01 | 새크라멘토 | 74 | 7 | 16.8 | .412 | .326 | .777 | 2.8 | .9 | .7 | .3 | 5.3 |
2001-02 | 새크라멘토 | 80 | 10 | 24.6 | .422 | .368 | .726 | 4.5 | 2.0 | .7 | .4 | 10.1 |
2002-03 | 새크라멘토 | 67 | 11 | 17.5 | .422 | .372 | .800 | 2.8 | 1.3 | .4 | .2 | 6.7 |
2003-04 | 샌안토니오 | 80 | 44 | 25.9 | .406 | .419 | .708 | 4.5 | 1.9 | 1.0 | .4 | 9.2 |
2004-05 | 올랜도 | 67 | 11 | 26.2 | .419 | .380 | .836 | 3.5 | 2.3 | .6 | .3 | 14.0 |
2005-06 | 올랜도 | 78 | 59 | 33.5 | .454 | .403 | .861 | 4.3 | 2.8 | .9 | .3 | 14.9 |
2006-07 | 올랜도 | 73 | 73 | 31.1 | .419 | .388 | .781 | 4.0 | 3.2 | 1.0 | .2 | 13.3 |
2007-08 | 올랜도 | 82 | 82 | 36.9 | .456 | .400 | .829 | 5.7 | 5.0 | .9 | .3 | 19.5 |
2008-09 | 올랜도 | 77 | 77 | 36.6 | .413 | .356 | .807 | 5.3 | 4.9 | .8 | .2 | 16.8 |
2009-10 | 토론토 | 74 | 69 | 30.7 | .409 | .374 | .774 | 4.6 | 4.1 | .7 | .4 | 11.3 |
2010-11 | 피닉스 | 25 | 16 | 25.2 | .440 | .423 | .722 | 4.0 | 2.3 | .7 | .6 | 9.5 |
올랜도 | 56 | 56 | 33.9 | .448 | .404 | .667 | 4.6 | 5.1 | .9 | .4 | 11.4 | |
2011-12 | 올랜도 | 53 | 53 | 31.2 | .415 | .353 | .705 | 3.8 | 4.4 | .8 | .3 | 10.9 |
2012-13 | 올랜도 | 11 | 1 | 17.2 | .264 | .042 | .500 | 2.4 | 2.1 | .6 | .1 | 2.9 |
2013-14 | L.A. 클리퍼스 | 38 | 0 | 10.3 | .385 | .440 | .500 | 2.3 | .9 | .5 | .3 | 3.0 |
2014-15 | L.A. 클리퍼스 | 62 | 2 | 11.4 | .441 | .432 | .545 | 1.6 | .6 | .3 | .1 | 3.7 |
경력 | 997 | 571 | 26.8 | .426 | .384 | .784 | 4.0 | 2.8 | .8 | .3 | 11.1 |
8.2. 플레이오프
시즌 | 팀 | 경기 | 선발 | 출장 시간 | 야투% | 3점슛% | 자유투%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록 | 득점 |
---|---|---|---|---|---|---|---|---|---|---|---|---|
2001 | 새크라멘토 | 8 | 0 | 17.6 | .435 | .571 | 1.000 | 3.5 | 1.4 | .4 | .1 | 7.5 |
2002 | 새크라멘토 | 16 | 8 | 27.7 | .401 | .353 | .516 | 5.2 | 1.4 | .4 | .6 | 8.6 |
2003 | 새크라멘토 | 10 | 5 | 17.4 | .360 | .286 | .722 | 2.9 | 1.4 | 1.2 | .5 | 5.3 |
2004 | 샌안토니오 | 10 | 10 | 27.1 | .321 | .333 | .611 | 4.5 | 1.5 | .9 | .1 | 7.7 |
2007 | 올랜도 | 4 | 4 | 39.0 | .500 | .333 | .500 | 3.3 | 3.5 | 1.3 | 1.0 | 13.8 |
2008 | 올랜도 | 10 | 10 | 39.9 | .447 | .286 | .848 | 6.4 | 5.5 | .8 | .2 | 17.5 |
2009 | 올랜도 | 24 | 24 | 38.9 | .427 | .386 | .817 | 4.5 | 4.8 | .8 | .2 | 15.8 |
2011 | 올랜도 | 6 | 6 | 34.8 | .294 | .233 | .571 | 3.2 | 3.7 | 1.3 | .2 | 9.2 |
2012 | 올랜도 | 5 | 5 | 32.4 | .366 | .417 | .636 | 2.8 | 2.4 | 1.0 | .8 | 8.4 |
2014 | L.A. 클리퍼스 | 5 | 0 | 8.2 | .462 | .400 | .000 | 1.0 | .2 | .6 | .0 | 3.2 |
경력 | 98 | 72 | 29.9 | .406 | .350 | .751 | 4.2 | 2.9 | .8 | .3 | 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