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크세니야 안드레예브나 스톨보바(러시아어: Ксения Андреевна Столбова러시아어, Ksenia Andreyevna Stolbova영어; 1992년 2월 7일 출생)는 은퇴한 러시아의 페어 스케이팅 선수이다. 그녀는 표도르 클리모프와 함께 2014 소치 동계 올림픽 페어 부문에서 은메달을,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또한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세 차례(2012년 동메달, 2014년, 2015년, 2018년 은메달) 메달을 따냈으며,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 챔피언이자 세 차례 러시아 국내 선수권 대회 챔피언(2014년, 2015년, 2017년)을 차지했다. 스톨보바는 2020년 2월 12일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특히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불참과 관련된 논란은 그녀의 경력 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포츠와 정치, 그리고 개별 선수에게 미치는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2. 생애 초반 및 배경
크세니야 스톨보바의 개인적인 배경은 그녀가 피겨 스케이팅에 발을 들이고 선수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2.1. 출생 및 성장
크세니야 안드레예브나 스톨보바는 1992년 2월 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세 살 때부터 스케이팅에 관심을 보이며 가족에게 계속해서 스케이트를 배우고 싶다고 졸랐고, 몇 년 뒤에 마침내 스케이팅을 시작하게 되었다. 수년간 싱글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한 후, 14세가 되던 해 새로운 도전을 원하여 페어 스케이팅으로 전향했다.
2.2. 교육
스톨보바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레스가프트 체육 아카데미에 다녔다. 이 교육기관은 그녀의 운동 경력과 학업을 병행하며 전문적인 스포츠인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3. 피겨 스케이팅 경력
크세니야 스톨보바의 피겨 스케이팅 경력은 싱글 스케이팅에서 시작하여 페어 스케이팅으로 전환한 후, 여러 파트너들과 함께 국제 무대에서 큰 성공을 거두기까지의 과정을 포함한다.
3.1. 초기 경력
스톨보바는 싱글 스케이팅으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지만, 14세에 새로운 도전을 위해 페어 스케이팅으로 전환했다. 그녀의 첫 중요한 파트너십은 아르투르 민축과 함께였으며, 2006-07 시즌부터 2008-09 시즌까지 3시즌 동안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그들은 2008년 12월에 열린 시니어 레벨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11위를 기록했다.
3.2. 표도르 클리모프와의 파트너십
2009년 봄, 코치 류드밀라 벨리코바는 크세니야 스톨보바와 표도르 클리모프를 새로운 페어 파트너로 묶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훈련을 시작한 이 파트너십은 스톨보바 경력에서 가장 성공적인 시기로 기록된다.
3.2.1. 주니어 시절 (2009년 ~ 2011년)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함께한 첫 시즌인 2009-10년에 두 번의 주니어 그랑프리 이벤트에 참가하여 각각 2위와 7위를 차지했으며, 이를 통해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7위에 올랐다. 이들은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에서 우승했고, 이어 201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0-11 시즌 동안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두 번의 주니어 그랑프리 이벤트에서 모두 우승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권을 획득, 전년보다 한 단계 높은 2위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같은 시즌에 그들은 시니어 그랑프리 무대에도 데뷔하여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1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 시니어 부문에서는 6위를 차지했으며, 동시에 두 번째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들은 2011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주니어 경력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3.2.2. 시니어 전환 및 첫 메달 (2011년 ~ 2013년)
2011-12 시즌부터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시니어 무대로 완전히 전환했다. 그들은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7위, 컵 오브 러시아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12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3위, 프리 스케이팅 2위를 기록하며 시니어 무대에서 첫 국내 메달인 은메달을 획득했다.

원래 2012년 유럽 선수권 대회의 첫 번째 대체 선수였던 그들은, 카와구치 유코와 알렉산더 스미르노프 조의 부상으로 출전 기회를 얻었다. 대회에서 그들은 쇼트와 프리 모두에서 새로운 개인 최고점을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 그들의 첫 유럽 선수권 메달이자 러시아의 페어 부문 시상대 독점에 기여했다.
2012-13 시즌,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트위스트 리프트를 트리플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집중했다. 그들은 쿠페 드 니세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시즌을 시작했다. 이어서 컵 오브 차이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메달을 처음으로 따냈고,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3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3년 유럽 선수권 대회의 첫 번째 대체 선수였던 그들은, 베라 바자로바와 유리 라리오노프 조의 기권으로 다시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다. 이후 그들은 바바리안 오픈에서 첫 시니어 국제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3년 4월, 이들은 유명 코치 니나 모저와 함께 훈련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이사하기로 결정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스케이팅 협회장 올레그 닐로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스케이팅 연맹은 이 이사를 승인했다. 하지만 2013년 5월 말, 클리모프가 자전거에서 넘어져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으면서 그들의 훈련은 잠시 중단되었다.
3.2.3.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성공 (2013년 ~ 2015년)

2013-14 시즌은 그들의 경력에서 정점을 이룬 시기였다. 그들은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그랑프리 시즌을 시작했고, 컵 오브 러시아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이탈리아 트렌티노에서 열린 201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14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바자로바와 라리오노프 조를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첫 국내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1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쇼트 프로그램 4위, 프리 스케이팅 1위를 기록하며 총점 207.98점을 얻어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와 막심 트란코프 조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상위 세 러시아 페어조는 모두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올림픽 첫 단체전에서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프리 스케이팅 부문에 배정되어 1위를 차지하며 러시아 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페어 부문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3위, 프리 스케이팅 2위를 기록하며 총점 218.68점으로 은메달을 획득, 4회 세계 챔피언인 알리오나 사브첸코와 로빈 졸코비 조를 제치고 시상대에 올랐다. 그들은 첫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에서도 은메달을 따내며 성공적인 시즌을 마감했다.

2014-15 시즌에도 그들의 성공은 이어졌다. 그들은 로스텔레콤 컵과 트로피 에릭 봉파르 등 두 그랑프리 대회에서 모두 우승했다. 이어서 캐나다의 메간 두하멜과 에릭 래드포드 조에 이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 2015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째 연속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카와구치 유코와 스미르노프 조에 이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따냈다. 그들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릴 예정이던 세계 선수권 대회에는 새로운 스로우 점프를 익히는 데 집중하기 위해 출전을 포기했다.
3.2.4. 이후 시니어 경력 및 부상 (2015년 ~ 2017년)
2015-16 시즌은 챌린저 시리즈 이벤트인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시작했다. 하지만 시즌 첫 그랑프리 대회인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그들은 프로그램을 다듬고 요소를 개선하여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인 로스텔레콤 컵에서 팀 동료인 카와구치 유코와 스미르노프 조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페어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154.60점을 기록했는데, 이는 2013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료 볼로소자르와 트란코프 조가 달성한 프리 스케이팅 세계 기록보다 불과 0.06점 낮은 점수였다.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프리 스케이팅에서 깨끗한 사이드-바이-사이드 트리플 토 루프-트리플 토 루프-더블 토 루프 점프와 트리플 플립, 트리플 살코우 스로우 점프를 성공시키며 총점 229.44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하지만 부상이 그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클리모프의 치료 마사지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2016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 출전 명단에서 기권했다. 그들은 201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출전할 예정이었으나, 클리모프의 팔과 어깨 근육에 신경 문제가 발생하여 리프트를 수행할 수 없게 되면서 다시 기권했다. 보스턴에서 열린 201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5위, 프리 스케이팅 4위, 총 4위를 기록했다.
2016-17 시즌 동안, 스톨보바는 2016년 7월 중순 스케이트 부츠를 교체한 후 신경 문제로 인해 왼쪽 발목에 심각한 염증이 발생했다. 이 부상으로 인해 그들은 두 그랑프리 대회인 로스텔레콤 컵과 NHK 트로피에서 모두 기권해야 했다. 12월 말에 다시 경기에 복귀하여 2017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예브게니야 타라소바와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조를 0.93점 차이로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 번째 국내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17년 1월에는 201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다. 두 달 후 201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13위로 부진했지만, 프리 스케이팅에서 3위를 기록하며 종합 5위로 순위를 끌어올렸다.
3.2.5. 2018 평창 올림픽 불참 (2017년 ~ 2018년)
2017-18 시즌 동안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로스텔레콤 컵과 NHK 트로피에서 두 개의 은메달을 획득하며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고, 그곳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2018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와 201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은메달을 추가했다.
그러나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참가 자격은 예상치 못하게 거부되었다. 2018년 1월 23일,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은 스톨보바가 IOC로부터 올림픽에 초대받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러시아 선수단에 대한 IOC의 광범위한 제재의 일환이었으며, 스톨보바 본인에게 특정 도핑 위반이 공식적으로 귀속된 바는 없었다. 이러한 결정은 그녀가 스포츠 최고 무대에서 경쟁할 기회를 박탈하며, 그녀의 경력 후반에 큰 그림자를 드리웠다. 이후 스톨보바는 오른쪽 발목 인대 파열로 인해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기권했다.
3.3. 안드레이 노보셀로프와의 파트너십 (2018년 ~ 2020년)
2018년 후반, 스톨보바는 클리모프와의 파트너십을 해체하고 안드레이 노보셀로프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맺었다. 노보셀로프의 국적 변경 문제로 인해 그들은 2018-19 시즌 동안 어떠한 대회에도 참가하지 못했다.
2019년 러시아 테스트 스케이트에서 그들은 첫 공식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스톨보바는 "감격에 휩싸였다"며 "새로운 몸과 마음, 감정으로 돌아왔다"고 소감을 밝혔다. 2019-20 시즌을 위해 그들은 원래 쇼트 프로그램 곡을 "I'll Take Care of You"에서 Hi-Finesse의 "Rebirth"로 변경하여 로스텔레콤 컵에서 첫 경쟁 무대에 데뷔했다. 노보셀로프가 점프에서 실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쇼트 프로그램에서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프리 스케이팅에서 두 번의 점프 패스와 스로우, 두 번의 리프트에서 실수를 범하며 최종 5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이후 노보셀로프의 다리 부상으로 인해 2020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기권했다.
4. 은퇴
크세니야 스톨보바는 2020년 2월 12일 경쟁 피겨 스케이팅에서 공식적으로 은퇴를 발표하며,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을 포함한 화려한 선수 경력을 마감했다.
5. 주요 프로그램
크세니야 스톨보바는 경력 내내 그녀의 매력적이고 예술적인 프로그램들로 잘 알려져 있었다.
5.1. 안드레이 노보셀로프와의 프로그램
스톨보바와 노보셀로프는 짧은 파트너십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연기했다.
- 2019-20 시즌:**
- 쇼트 프로그램:** "Rebirth" (Hi-Finesse & 나타샤 애틀러스). (이전에는 베스 하트 & 조 보나마사의 "I'll Take Care of You").
- 프리 스케이팅:**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 (Epic Trailer Version), 연주: Hidden Citizens.
5.2. 표도르 클리모프와의 프로그램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매우 성공적인 파트너십 동안 다양하고 기억에 남는 프로그램들을 선보였다.
- 2017-18 시즌:**
- 쇼트 프로그램:** Benise가 연주한 "Tango de Besame".
- 프리 스케이팅:** 조르주 비제의 "카르멘 모음곡".
- 갈라 프로그램:** 제임스 모리슨의 "Please Don't Stop the Rain".
- 2016-17 시즌:**
- 쇼트 프로그램:** 클로드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중 "달빛". 안무: 유리 스메칼로프.
- 프리 스케이팅:** 르네 오브리의 "Après la pluie", "Pomeriggio", "Lied guitare". 안무: 니콜라이 모로조프, 유리 스메칼로프.
- 갈라 프로그램:**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2015-16 시즌:**
- 쇼트 프로그램:** 애니 레녹스가 연주한 "I Put a Spell on You".
- 프리 스케이팅:** 대니 엘프만의 영화 '미지와의 조우' (The Unknown Known) 사운드트랙 중 "Man and Shadow".
- 갈라 프로그램:** 아델의 "Hello", "Memories of Sochi", 마크 스웨이의 "Losing".
- 2014-15 시즌:**
- 쇼트 프로그램:** 탄둔의 영화 '와호장룡' 사운드트랙, 우메바야시 시게루의 영화 '연인' 사운드트랙.
- 프리 스케이팅:** 리샤르 코시앙트의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중 선곡 ("Tu vas me Détruire", "Bohémienne" 포함).
- 갈라 프로그램:** 마크 스웨이의 "Losing", "Memories of Sochi", 버디의 "Strange Birds".
- 2013-14 시즌:**
- 쇼트 프로그램:** 제시 쿡이 연주한 "Surrender".
- 프리 스케이팅:** 마크 샤이만의 영화 '아담스 패밀리' 사운드트랙.
- 갈라 프로그램:** 롤링 스톤스의 "Laugh, I Nearly Died"와 "Miss You", 니노 로타의 "길".
- 2012-13 시즌:**
- 쇼트 프로그램:** 엘리엇 골든덜의 영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사운드트랙.
- 프리 스케이팅:** 마크 샤이만의 "아담스 패밀리".
- 갈라 프로그램:** 클로드 드뷔시의 "달빛".
- 2011-12 시즌:**
- 쇼트 프로그램:**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 (모던 편곡).
- 프리 스케이팅:** 알렉산드르 보로딘의 "폴로베츠인의 춤".
- 갈라 프로그램:** 니노 로타의 "길".
- 2010-11 시즌:**
- 쇼트 프로그램:** 이사크 알베니스의 "아스투리아스".
- 프리 스케이팅:** 니노 로타의 영화 '길' 사운드트랙.
- 갈라 프로그램:** 클로드 드뷔시의 "달빛".
- 2009-10 시즌:**
- 쇼트 프로그램:** "러시안 판타지" (작곡가 미상).
- 프리 스케이팅:** "오리엔탈 판타지" (작곡가 미상).
- 갈라 프로그램:** 핑크 플로이드의 "Breathe".
6. 주요 대회 성적
다음은 크세니야 스톨보바가 파트너 표도르 클리모프, 안드레이 노보셀로프, 그리고 아르투르 민축과 함께 참가한 주요 국제 및 국내 대회의 성적이다.
6.1. 국제 대회 성적
- **안드레이 노보셀로프와의 페어**
대회/시즌 | 2019-20 |
---|---|
그랑프리 로스텔레콤 컵 | 5위 |
- **표도르 클리모프와의 페어**
대회/시즌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 - | - | - | - | 2위 | - | - | - | - |
세계 선수권 | - | - | - | - | 2위 | - | 4위 | 5위 | 기권 |
유럽 선수권 | - | - | 3위 | 6위 | 2위 | 2위 | 기권 | 4위 | 2위 |
그랑프리 파이널 | - | - | - | - | - | 2위 | 1위 | - | 4위 |
그랑프리 봉파르 | - | - | 7위 | 5위 | - | 1위 | - | - | - |
그랑프리 컵 오브 차이나 | - | - | - | 3위 | - | - | - | - | - |
그랑프리 NHK 트로피 | - | - | - | - | - | - | - | 기권 | 2위 |
그랑프리 로스텔레콤 컵 | - | - | 4위 | - | 4위 | 1위 | 1위 | 기권 | 2위 |
그랑프리 스케이트 아메리카 | - | 5위 | - | - | 3위 | - | 4위 | - | - |
챌린저 시리즈 핀란디아 트로피 | - | - | - | - | - | - | - | - | 3위 |
챌린저 시리즈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 | - | - | - | - | - | - | 1위 | - | - |
동계 유니버시아드 피겨스케이팅 | - | - | - | - | 1위 | - | - | - | - |
바바리안 오픈 | - | - | - | 1위 | - | - | - | - | - |
쿠페 인터내셔널 드 니세 | - | - | - | 2위 | - | - | - | - | - |
바르샤바 컵 | - | - | - | - | 1위 | - | - | - | - |
세계 주니어 선수권 | 3위 | 2위 | - | - | - | - | - | - | -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7위 | 2위 | - | - | - | - | - | - | - |
주니어 그랑프리 오스트리아 | - | 1위 | - | - | - | - | - | - | - |
주니어 그랑프리 벨라루스 | 7위 | - | - | - | - | - | - | - | - |
주니어 그랑프리 영국 | - | 1위 | - | - | - | - | - | - | - |
주니어 그랑프리 미국 | 2위 | - | - | - | - | - | - | - | - |
- **아르투르 민축과의 페어**
대회/시즌 | 2006-07 | 2007-08 | 2008-09 |
---|---|---|---|
러시아 선수권 | - | - | 11위 |
- **여자 싱글**
대회/시즌 | 2004-05 | 2005-06 |
---|---|---|
쿠페 인터내셔널 드 니세 | 3위 (노비스) | - |
6.2. 국내 대회 성적
- **표도르 클리모프와의 페어**
대회/시즌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
러시아 선수권 | - | 6위 | 2위 | 3위 | 1위 | 1위 | 기권 | 1위 | 2위 |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 1위 | 1위 | - | - | - | - | - | - | - |
- **안드레이 노보셀로프와의 페어**
대회/시즌 | 2019-20 |
---|---|
러시아 선수권 | 기권 |
- **아르투르 민축과의 페어**
대회/시즌 | 2006-07 | 2007-08 | 2008-09 |
---|---|---|---|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 12위 | 10위 | - |
- **여자 싱글**
대회/시즌 | 2005-06 |
---|---|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 16위 |
7. 평가 및 영향
크세니야 스톨보바의 경력은 뛰어난 업적과 더불어 상당한 도전 과제들로 점철되어 있으며, 이는 피겨 스케이팅이라는 스포츠에 대한 그녀의 회복력과 영향을 잘 보여준다.
7.1. 긍정적 평가 및 업적
크세니야 스톨보바는 페어 스케이팅에서 탁월한 기술력과 예술성으로 널리 인정받았다. 표도르 클리모프와의 파트너십은 강한 온-아이스 케미스트리와 혁신적인 요소들로 주목받았다. 올림픽 팀 금메달, 올림픽 페어 은메달, 세계 선수권 은메달,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 그리고 여러 차례 유럽 및 러시아 국내 선수권 대회 우승을 포함한 그들의 업적은 경쟁 기간 동안 그들을 세계 최고의 페어 중 하나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했다.
특히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스톨보바와 클리모프는 페어 스케이팅에서 드물고 어려운 요소인 사이드-바이-사이드 트리플 토 루프-트리플 토 루프-더블 토 루프 콤비네이션 점프를 성공적으로 착지시키며 기술적인 기량을 과시했다. 이 대회에서 그들의 프리 스케이팅 점수 154.60점은 당시 세계 기록에 놀랍도록 근접한 점수였으며, 이는 그들의 최고 기량 능력을 잘 보여준다. 이미 높은 수준의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스로우 점프를 배우는 등 기술적 측면을 개선하려는 그녀의 헌신은 스포츠에 대한 그녀의 열정을 더욱 강조한다.
7.2. 논란 및 비판
크세니야 스톨보바의 경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논란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대한 불참이었다. 그녀는 2018년 유럽 선수권 대회 은메달 획득을 포함하여 경쟁적인 성과를 통해 올림픽 출전 자격을 충족했음에도 불구하고, IOC는 그녀의 대회 참가를 불허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은 러시아 선수단에 대한 IOC의 광범위한 제재의 일환이었지만, 스톨보바 본인에게 특정 도핑 위반이 공식적으로 귀속된 적은 없었다.
이러한 불참 결정은 상당한 논쟁과 비판을 불러일으켰으며, 많은 이들이 무고한 선수들이 집단적인 처벌로 인해 불공평하게 피해를 보았다고 주장했다. 이 사건은 그녀의 경력 후반에 그림자를 드리웠고, 스포츠의 가장 큰 무대에서 경쟁할 기회를 박탈당하게 했으며, 국제 스포츠 거버넌스 내에서의 공정성 및 개인의 책임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다. 이 결정이 스톨보바 개인에게 미친 영향은 매우 컸으며, 그녀는 공개적으로 실망감을 표출했다. 이는 선수 권리와 스포츠 내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중요한 논의점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