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알탈리아니는 1964년 10월 30일 아랍에미리트의 샤르자에서 태어났다.
1.1. 어린 시절과 축구 시작
어린 시절 알탈리아니는 샤르자 거리에서 친구들과 가족들과 함께 축구를 하며 시간을 보냈다. 1979년, 그는 알 샤압 클럽의 배구팀에 입단했다. 같은 해, 클럽에서 매년 열리는 축구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많은 골을 기록하며 알 샤압 구단주인 셰이크 파이살 빈 칼리드 빈 무함마드 알 카시미의 주목을 받았다. 셰이크는 그를 설득하여 축구팀에 합류시켰고, 알탈리아니는 1980년에 알 샤압 축구팀에 정식으로 입단하여 그의 형인 나세르 알탈리아니와 함께 뛰게 되었다.
1.2. 가족
알탈리아니의 형인 나세르 알탈리아니는 알 샤압 축구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했던 축구 선수였다. 아드난 알탈리아니는 함단, 하마드(1995년생), 무함마드(1998년생) 세 아들을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2003년에 열린 알탈리아니의 은퇴 기념 경기에 참여했다.
2. 선수 경력
알탈리아니는 알 샤압에서 20년간 원클럽맨으로 활약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고, 국가대표팀에서도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아랍에미리트 축구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2.1. 클럽 경력
알탈리아니는 1970년대 샤르자 거리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1979년에 알 샤압 클럽에 입단하여 1999년까지 선수 생활 전체를 그곳에서 보냈다. 그는 다른 클럽으로부터 많은 영입 제안을 받았으나, 당시의 엄격한 규제로 인해 이적할 수 없었다. 알 샤압 소속으로 그는 총 232경기에 출전하여 129골을 기록했다.
2.1.1. 알 샤압 CSC
알탈리아니는 1979/1980 시즌부터 1999년까지 알 샤압 CSC에서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팀의 핵심 공격수로 자리매김하며 1992-93 UAE 프레지던트컵 우승, 1993 UAE 슈퍼컵 우승, 1994-95 아시안 컵위너스컵 준우승, 그리고 UAE 1부 리그 1992-93 시즌과 1997-98 시즌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2. 국가대표팀 경력
알탈리아니는 아랍에미리트 국가대표팀에 발탁된 이후 1997년 은퇴할 때까지 팀의 상징적인 존재로 활약하며 여러 주요 국제 대회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2.2.1. 데뷔 및 초기
이란의 전 감독이었던 헤슈마트 모하제라니가 UAE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알탈리아니는 1983년 처음으로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그는 1997년 국제 축구에서 은퇴할 때까지 국제 A매치 161경기에 출전하여 62골을 기록하며 아랍에미리트 역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 2016년 3월 기준으로 그는 남자 축구 선수 중 국제 A매치 100경기 이상 출전 기록에서 역대 10위에 올랐으며, 그의 캡 수는 당시 세계 최다 기록이었다.
2.2.2. 주요 대회 참가
알탈리아니는 아랍에미리트 축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순간들에 함께했다.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및 본선
UAE 국가대표팀의 199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에미리트 축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업적이었으며, 알탈리아니는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UAE는 쉽지 않은 예선 과정을 거쳤는데, 특히 1라운드에서 쿠웨이트를 상대하며 여러 난관에 부딪혔다. 1라운드 3차전에서 쿠웨이트를 상대로 3-2로 패배한 것을 만회하고 당시 선두 경쟁자를 견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알탈리아니는 이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어 1-0 승리를 이끌었고, 국가대표팀은 조 선두로 올라섰다. 이후 알탈리아니는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4-1 승리를 이끌며 UAE의 2차 예선 진출을 확정 지었다.
2차이자 최종 예선에는 6개 팀이 한 번씩 맞붙는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두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UAE는 최종 예선에서 단 한 번의 승리만을 거두었는데, 중국을 상대로 2-1로 승리한 경기였다. 이 경기에서 알탈리아니는 88분에 골을 넣어 0-1로 뒤지던 경기를 2-1 승리로 뒤집었다. 최종 예선 마지막 라운드에서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알탈리아니의 두 번째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UAE는 승점 6점을 확보했고, 이로써 국가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알탈리아니는 월드컵 본선에서 콜롬비아, 독일, 유고슬라비아와의 모든 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등번호 10번을 달고 3경기 모두 출전했다.
- 1996년 AFC 아시안컵
1990년 월드컵에 역사적인 데뷔를 한 지 6년 후, UAE는 또 다른 중요한 대회인 1996년 AFC 아시안컵을 준비하고 있었다. UAE는 역사상 처음으로 AFC 아시안컵을 개최하게 되었고, 알탈리아니와 무센 무사베 같은 '90년대 세대' 베테랑들과 문테르 알리 같은 젊은 선수들이 함께 팀을 이루어 국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32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알탈리아니는 두 개의 중요한 골을 기록했다. 하나는 쿠웨이트와의 경기에서 3-2 승리를 이끈 골로, 이 골은 UAE 역사상 가장 잊을 수 없는 골 중 하나로 남아있다. 다른 하나는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 2-0 승리를 이끈 골이었다.
1996년 아시안컵 결승전에서 UAE는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에서 6만 명의 팬 앞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전에 두 번 우승했으나, 직전 대회인 1992년 결승에서는 일본에 패배한 바 있었다. 경기가 연장전에 돌입하여 득점 없이 비기고 있을 때, 알탈리아니는 준결승에서 쿠웨이트를 상대로 90분 풀타임을 소화한 후 다리에 무리가 와서 교체되었다. 결국 승부차기까지 갔고, UAE는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 기타 국제 대회
알탈리아니는 1992년 AFC 아시안컵 4위, 아라비안 걸프컵 3회 준우승에도 기여했다. 또한 U-19 대표팀 시절에는 1982년 서아시아 U-18 챔피언십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3. 주요 업적 및 수상
알탈리아니는 선수 경력 동안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수많은 업적을 달성했으며, 개인적으로도 여러 상을 수상하며 그의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다.
3.1. 클럽 주요 성과
알탈리아니는 알 샤압 소속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팀 성과를 달성했다.
- UAE 프레지던트컵: 1992-93 시즌 우승
- UAE 슈퍼컵: 1993년 우승
- 아시안 컵위너스컵: 1994-95 시즌 준우승
- UAE 1부 리그: 1992-93 시즌, 1997-98 시즌 우승
3.2. 국가대표팀 주요 성과
알탈리아니는 UAE 대표팀으로서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를 거두었다.
-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1990년
- AFC 아시안컵 준우승: 1996년
- AFC 아시안컵 4위: 1992년
- 아라비안 걸프컵 준우승: 3회
- 서아시아 U-18 챔피언십 우승: 1982년 (U-19 대표팀)
3.3. 개인 수상
알탈리아니는 다음과 같은 개인적인 수상 내역을 기록했다.
- UAE 축구 리그 득점왕: 1984-85 시즌, 1986-87 시즌, 1992-93 시즌
- 아시안 컵위너스컵 최우수 선수: 1994-95 시즌
- 아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 3위: 1990년
- 최고의 아랍 선수: 1989년
- UAE 축구 리그 최우수 선수: 1992-93 시즌
- 세기의 UAE 선수
4. 경력 통계
알탈리아니는 국가대표팀에서 161경기에 출전하여 62골을 기록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4.1. 국제 경기 기록
# | 날짜 | 장소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82년 8월 14일 | 쿠알라룸푸르 | 인도네시아 | 1-1 | 2-1 | 메르데카 토너먼트 |
2 | 2-1 | |||||
3 | 1983년 10월 10일 | 리야드 | 이라크 | 1-1 | 2-2 | 198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
4 | 2-2 | |||||
5 | 1983년 11월 14일 | 리야드 | 바레인 | 1-1 | 1-2 | 친선 경기 |
6 | 1984년 3월 10일 | 로얄 오만 경찰 경기장, 무스카트 | 쿠웨이트 | 1-0 | 2-0 | 1984년 걸프컵 |
7 | 1984년 3월 12일 | 로얄 오만 경찰 경기장, 무스카트 | 카타르 | 1-0 | 1-0 | 1984년 걸프컵 |
8 | 1984년 10월 24일 | 제다 | 오만 | 4-0 | 8-0 | 198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9 | 6-0 | |||||
10 | 1984년 10월 26일 | 제다 | 네팔 | 3-0 | 11-0 | 198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1 | 7-0 | |||||
12 | 9-0 | |||||
13 | 1984년 10월 28일 | 제다 | 스리랑카 | 1-0 | 5-1 | 198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4 | 3-0 | |||||
15 | 4-1 | |||||
16 | 1984년 12월 4일 | 잘란 베사르 스타디움, 싱가포르 | 인도 | 1-0 | 2-0 | 1984년 AFC 아시안컵 |
17 | 1985년 4월 7일 | 바레인 | 시리아 | 1-0 | 4-0 | 친선 경기 |
18 | 2-0 | |||||
19 | 1985년 8월 5일 | 바레인 | 알제리 | 1-0 | 1-0 | 친선 토너먼트 |
20 | 1985년 9월 20일 | 알 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 이라크 | 1-0 | 2-3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21 | 1985년 9월 27일 | 킹 파흐드 스타디움, 타이프 | 이라크 | 2-0 | 2-1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22 | 1986년 3월 24일 | 바레인 국립경기장, 마나마 | 이라크 | 2-2 | 2-2 | 1986년 걸프컵 |
23 | 1986년 4월 2일 | 바레인 국립경기장, 마나마 | 사우디아라비아 | 2-0 | 2-0 | 1986년 걸프컵 |
24 | 1986년 4월 7일 | 바레인 국립경기장, 마나마 | 카타르 | 2-0 | 2-3 | 1986년 걸프컵 |
25 | 1986년 9월 21일 | 대구 스타디움, 대구 | 파키스탄 | 1-0 | 1-0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6 | 1986년 9월 23일 | 대구 스타디움, 대구 | 태국 | 2-1 | 2-1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7 | 1986년 9월 25일 | 대구 스타디움, 대구 | 이라크 | 1-0 | 1-0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8 | 1988년 1월 30일 | 아부다비 | 일본 | 1-0 | 2-0 | 친선 경기 |
29 | 1988년 2월 7일 | 아부다비 | 북예멘 | 2-0 | 2-1 | 1988년 AFC 아시안컵 예선 |
30 | 1988년 2월 13일 | 아부다비 | 인도 | 2-0 | 3-0 | 1988년 AFC 아시안컵 예선 |
31 | 1988년 3월 17일 | 킹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 오만 | 1-0 | 1-0 | 제9회 아라비안 걸프컵 |
32 | 1988년 11월 17일 |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 요르단 | 2-0 | 2-1 | 친선 경기 |
33 | 1989년 2월 3일 |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 쿠웨이트 | 1-0 | 1-0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34 | 1989년 2월 10일 | 이슬라마바드 | 파키스탄 | 3-0 | 4-1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35 | 1989년 10월 17일 |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싱가포르 | 중국 | 2-1 | 2-1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36 | 1989년 10월 28일 | 다룰 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 | 대한민국 | 1-1 | 1-1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37 | 1990년 2월 14일 | 알 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 스웨덴 | 2-1 | 2-1 | 친선 경기 |
38 | 1992년 5월 30일 | 알 아인 | 바레인 | 3-0 | 3-1 | 1992년 AFC 아시안컵 예선 |
39 | 1993년 2월 20일 | 두바이 | 불가리아 | 1-3 | 1-3 | 친선 경기 |
40 | 1993년 4월 8일 | 교토, 일본 | 스리랑카 | 2-0 | 4-0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41 | 1993년 4월 28일 | 두바이 | 스리랑카 | 2-0 | 3-0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42 | 1993년 4월 30일 | 두바이 | 태국 | 2-0 | 2-1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43 | 1993년 5월 3일 | 두바이 | 방글라데시 | 1-0 | 7-0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44 | 6-0 | |||||
45 | 1994년 10월 3일 | 미요시 운동 경기장, 미요시 | 일본 | 1-0 | 1-1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46 | 1994년 10월 5일 | 히로시마 스타디움, 히로시마 | 미얀마 | 1-0 | 2-0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47 | 2-0 | |||||
48 | 1994년 10월 9일 | 빙고 운동 경기장, 오노미치 | 카타르 | 2-2 | 2-2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49 | 1994년 10월 11일 | 지역 공원 스타디움, 히로시마 | 쿠웨이트 | 1-1 | 1-2 |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50 | 1994년 11월 3일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 카타르 | 1-0 | 2-0 | 1994년 걸프컵 |
51 | 1994년 11월 9일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 쿠웨이트 | 2-0 | 2-0 | 1994년 걸프컵 |
52 | 1996년 3월 19일 | 두바이 | 대한민국 | 2-2 | 3-2 | 친선 경기 |
53 | 1996년 10월 22일 |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 무스카트 | 쿠웨이트 | 2-1 | 2-1 | 1996년 걸프컵 |
54 | 1996년 11월 19일 | 아부다비 | 우즈베키스탄 | 2-1 | 4-2 | 친선 경기 |
55 | 3-1 | |||||
56 | 4-1 | |||||
57 | 1996년 11월 26일 | 아부다비 | 시리아 | 1-1 | 1-1 | 친선 경기 |
58 | 1996년 12월 7일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 쿠웨이트 | 2-2 | 3-2 | 1996년 AFC 아시안컵 |
59 | 1996년 12월 10일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 인도네시아 | 2-0 | 2-0 | 1996년 AFC 아시안컵 |
60 | 1997년 4월 26일 |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 요르단 | 1-0 | 2-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61 | 1997년 9월 27일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 우즈베키스탄 | 3-1 | 3-2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62 | 1997년 12월 17일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 체코 | 1-6 | 1-6 |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5. 유산 및 은퇴
알탈리아니는 아랍에미리트 축구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후대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5.1. 유산
1996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과 199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현재까지도 UAE 축구의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남아있으며, 알탈리아니는 이 두 업적 모두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이로 인해 조국 최고의 선수이자 아시아 축구의 가장 위대한 아이콘 중 한 명으로 기억될 것이다. 그는 또한 '세기의 UAE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5.2. 은퇴
알탈리아니는 2003년 1월에 공식적으로 축구 선수 생활에서 은퇴했다. 그의 은퇴를 기념하기 위해 이탈리아 챔피언인 유벤투스와 여러 국가의 선수들로 구성된 올스타팀 간의 은퇴 기념 경기가 열렸다. 그의 세 아들 또한 2003년 은퇴 기념 행사에 참여하여 아버지의 마지막 경기를 함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