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노르웨이의 위대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비에른 델리는 스포츠에 대한 깊은 뿌리와 함께 성장했다. 그의 어린 시절은 다양한 야외 활동과 스포츠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했다.
1.1. 유년기 및 스포츠 입문
비에른 델리는 1967년 6월 19일 노르웨이 헤드마르크주 엘베룸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난네스타드에 정착했다. 그는 자신의 스포츠적 성공이 어린 시절부터 즐겨온 사냥, 낚시, 하이킹, 카약, 축구, 그리고 물론 스키와 같은 다양한 야외 활동 덕분이라고 회고했다. 어린 시절 델리는 축구 선수가 되는 꿈을 꾸었으며, 주로 축구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한 코치의 권유로 노르딕 스키를 접하게 되면서 그의 진로는 크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그의 가족은 알브달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델리는 훗날 이 지역에 쿱 노르게 소매점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가족 배경을 언급하기도 했다.
1.2. 스키 선수로의 전환 및 주니어 경력
축구에서 크로스컨트리 스키로 진로를 변경한 델리는 주니어 시절부터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는 꾸준히 기량을 향상시켰고,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마침내 국제스키연맹(FIS) 월드컵 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게 되었다. 이 시기의 꾸준한 성장은 그가 훗날 세계 최정상급 스키 선수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2. 선수 경력

비에른 델리의 선수 경력은 1990년대를 지배하며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역사를 새로 썼다. 그는 월드컵 데뷔부터 은퇴까지 수많은 대회에서 압도적인 기량으로 메달을 휩쓸었다.
2.1. 월드컵 데뷔 및 초기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1989-1991)
델리는 1988년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 노르웨이 스키 팀의 일원으로 처음 참가했다. 당시 그는 어떠한 경기에도 출전하지 않고, 선배 스키 선수들로부터 배우기 위해 참가했으나, 델리는 이 올림픽을 노르웨이 스키의 성공 시대를 여는 전환점으로 평가했다. 1989년 1월, 그는 카브골로보에서 열린 월드컵 15km 프리스타일 경기에서 11위를 차지하며 월드컵에 데뷔했다. 같은 해 12월, 그는 시즌 첫 월드컵 경기인 15km 프리스타일에서 우승하며 첫 월드컵 승리를 기록했다.
1991년 발 디 피엠메에서 열린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델리는 15km 프리스타일 종목에서 스키의 전설인 군데 스반스웨덴어을 꺾고 첫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당시 델리는 젊고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선수였기에 이 메달은 예상 밖의 결과였다. 이는 오드바르 브로가 1982년 오슬로에서 같은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래 노르웨이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최초의 남자 개인전 금메달이었다. 또한 델리는 4 × 10km 계주팀의 마지막 주자로 출전하여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2.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지배 (1992-1998)
1992년부터 델리의 압도적인 시대가 시작되었다. 그는 이 해에 처음으로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후 7년 동안 다섯 번 더 이 업적을 달성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델리는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10/15km 복합 추적, 50km 프리스타일에서 금메달을 땄으며, 4 × 10km 계주에서 우승 팀의 일원이 되었다. 또한 30km 클래식 종목에서는 은메달을 추가했다. 10km 프리스타일에서는 동료인 베가르 울방이 금메달을 땄으며, 델리는 4위를 기록했다. 특히 계주에서는 마지막 주자로 나서 1분 30초 이상의 격차로 여유롭게 결승선을 거꾸로 넘는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델리와 울방은 크로스컨트리 스키에서 각각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하며 모든 금메달을 휩쓰는 기염을 토했다. 델리는 이러한 뛰어난 성과로 올림픽에서 가장 뛰어난 노르웨이 선수에게 수여되는 페른리 올림픽 명예상을 수상했다.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 델리는 10km 클래식과 15km 프리스타일 추적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30km 프리스타일에서는 동료인 토마스 알스가르드에게 패하여 은메달을 땄다. 4 × 10km 계주는 노르웨이와 이탈리아 간에 매우 치열한 접전이 펼쳐졌다. 이탈리아는 마지막 주자인 실비오 파우너가 델리를 스프린트에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델리는 릴레함메르 올림픽에서 노르웨이 선수단 기수로 참가하기도 했다. 훗날 알스가르드가 더 뛰어난 스프린터였기 때문에 노르웨이 계주 팀의 마지막 주자는 알스가르드가 맡고 델리는 세 번째 주자로 나섰다.
델리에게 있어 1997년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는 가장 성공적인 대회였다. 트론헤임에서 홈 관중의 열렬한 성원 속에 그는 출전한 모든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10km 클래식, 10+15km 복합 추적, 4 × 10km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냈고, 30km 프리스타일에서 은메달, 50km 클래식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델리는 이 대회를 "또 다른 릴레함메르"라고 표현하며 "노르웨이에서 경쟁하는 것은 저에게 매우 특별합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델리는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마지막 올림픽 출전을 장식하며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그는 10km 클래식, 50km 프리스타일, 4 × 10km 스키 계주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5km 프리스타일 추적에서는 토마스 알스가르드에게 스프린트에서 밀려 은메달을 땄다. 50km 프리스타일에서는 니클라스 욘손을 단 8초 차이로 따돌리고 우승했으며, 두 선수 모두 승리를 향한 모든 것을 쏟아낸 후 결승선에서 쓰러지는 모습을 보였다. 델리는 이 경기를 자신의 경력 중 가장 힘들었던 경기로 묘사했다.
2.3. 선수 경력을 마감한 부상과 은퇴 (1999-2001)
델리는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도 출전할 계획이었으나, 1999년 8월 발생한 롤러 스키 사고로 인해 선수 생활을 마감하게 되었다. 이 사고로 인한 허리 부상 때문에 델리는 더 이상 메달을 추가할 수 없었다. 그는 광범위한 재활 치료와 수술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복귀하지 못하고 2001년 3월에 공식적으로 은퇴했다. 그의 은퇴 결정은 노르웨이 전역에 충격을 안겼는데, 델리는 뛰어난 우승 기록으로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던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3. 주요 업적 및 기록
비에른 델리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역사상 전례 없는 업적과 기록들을 세웠으며, 이는 그를 겨울 스포츠의 전설로 만들었다.
3.1. 주요 타이틀 및 메달
델리는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압도적인 메달 수를 기록했다.
- 동계 올림픽: 총 12개 메달 (금메달 8개, 은메달 4개)
-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총 17개 메달 (금메달 9개, 은메달 5개, 동메달 3개)
- 월드컵: 월드컵 개인전에서 46번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종합 우승을 6번 기록했다.
- 노르웨이 스키 선수권 대회: 총 12번의 우승을 달성했다.
3.2. 주목할 만한 기록 및 이정표
비에른 델리는 동계 올림픽 역사상 가장 많은 금메달(8개)을 획득한 선수 중 한 명으로, 이는 현재 마리트 비에르겐 및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과 함께 공동 최다 기록이다. 또한 3번의 올림픽(알베르빌, 릴레함메르, 나가노)에서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당시 올림픽 최다 메달 획득 기록을 세웠다.
그의 경력 중 VO2 max는 96 ml/kg/min를 기록했는데, 이는 비시즌에 측정된 수치였다. 당시 테스트를 담당했던 생리학자 에를렌드 헴노르웨이어은 델리가 전성기에는 100 ml/kg/min를 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3.3. 수상 및 영예
델리는 선수 경력 동안 다양한 표창과 영예를 받았다.
- 페른리 올림픽 명예상: 1992년 알베르빌 올림픽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노르웨이 올림픽 위원회가 최고의 노르웨이 선수에게 수여하는 페른리 올림픽 명예상을 수상했다.
- 홀멘콜렌 메달: 그는 홀멘콜렌 스키 페스티벌에서 단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지만, 1997년 그의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했다. 이 상은 뱌르테 엥겐 비크와 스테파니아 벨몬도와 공동 수상했다.
- 노르웨이 올해의 스포츠인상: 1995년과 1998년에 노르웨이 올해의 스포츠인상을 수상했다.
4. 은퇴 후 활동
선수 생활 은퇴 후 비에른 델리는 사업가로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4.1. 사업 활동
델리는 은퇴 후 부동산 및 패션 분야에서 성공적인 사업가로 활동하며 막대한 재산을 형성했다. 그의 부동산 투자 자산은 5.00 억 NOK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딴 스키 웨어 브랜드를 론칭하고 살로몬과 함께 노르딕 스키용 바인딩(Salomon Nordic System Pilot Bindings)을 개발하는 등 스포츠 용품 산업에도 기여했다. 또한 광고 캠페인에 출연하고, TV 프로그램인 '구타 파 투르(Gutta på tur노르웨이어)'의 공동 진행을 맡는 등 다양한 상업 활동을 펼쳤다.
4.2. 스포츠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및 기타 활동
사업 활동 외에도 델리는 스포츠에 대한 애정을 이어가며 다양한 방식으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그는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질병을 위한 비영리 단체를 후원하며 자선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09년에는 다발성 경화증 기금 마련을 위해 54 km 길이의 아메리칸 비르케바이너 클래식 경주에 참가하여 포토 피니시 끝에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후르달에서 열린 킥슬레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다운힐 종목 우승을 차지하며 여전한 기량을 과시했다. 같은 해, 그는 마르치아롱가와 바살로페트와 같은 장거리 스키 경주에 참가할 의사를 밝히며 스포츠 복귀를 선언하기도 했다. 젊은 시절에는 울렌사케르/키사 IL 소속으로 장거리 달리기 선수로 활동했으며, 1987년에는 덴마크/아이슬란드, 핀란드, 스웨덴과의 북유럽 주니어 매치에 참가하기도 했다.
5. 개인적인 삶과 스포츠맨십
비에른 델리는 뛰어난 운동 능력을 넘어선 훌륭한 스포츠맨십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5.1. 필립 보이트와의 우정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10km 클래식 경기에서 델리는 금메달을 획득한 후 결승선에서 경기를 마칠 때까지 약 20분 동안 기다렸다. 그가 기다린 선수는 바로 최하위로 경기를 완주한 케냐의 스키 선수 필립 보이트였다. 델리는 보이트가 결승선을 통과하자 그를 포옹하며 "멋지다, 당신이야말로 진정한 영웅이다"라고 그의 투혼을 격려했다. 이 감동적인 장면은 일본의 TV 프로그램에서 나가노 올림픽 명장면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두 선수 간의 깊은 우정으로 이어졌고, 필립 보이트는 자신의 자녀 중 한 명의 이름을 '델리 보이트'로 지을 정도로 깊은 존경을 표했다.
6. 유산과 평가
비에른 델리는 단순한 스포츠 스타를 넘어 노르웨이 사회와 크로스컨트리 스키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된다.
6.1. 크로스컨트리 스키에 미친 영향
델리는 1990년대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황제'로 군림하며 스포츠의 인기를 끌어올리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노르웨이에서 그는 국민적인 우상으로 추앙받으며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대중화와 저변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그를 역대 최고의 동계 올림픽 선수 중 한 명으로 꼽으며, 그의 기량과 업적이 후대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평가한다. 그의 예상치 못한 이른 은퇴에도 불구하고, 델리는 겨울 스포츠 역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선수로 기억되고 있다.
6.2.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위상
델리는 단순한 스포츠 업적을 넘어 노르웨이의 국가적 상징이자 문화적 아이콘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는 뛰어난 운동 능력과 더불어 스포츠맨십, 겸손함, 그리고 성공적인 은퇴 후 삶을 통해 노르웨이인들에게 모범이 되는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활약은 노르웨이인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었으며, 스포츠를 넘어선 문화적 영향력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7. 상세 경기 결과
비에른 델리는 선수 경력 동안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은 그의 주요 대회 경기 결과이다.
7.1. 올림픽 경기 결과
델리는 3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금메달 8개, 은메달 4개를 포함한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나이 | 10km | 추적 | 15km | 30km | 50km | 4 × 10km 계주 |
---|---|---|---|---|---|---|---|
1988 | 20 | - | - | - | - | - | - |
1992 | 24 | 4위 | 금메달 | - | 은메달 | 금메달 | 금메달 |
1994 | 26 | 금메달 | 금메달 | - | 은메달 | 4위 | 은메달 |
1998 | 30 | 금메달 | 은메달 | - | 20위 | 금메달 | 금메달 |
7.2. 세계 선수권 대회 결과
델리는 6번의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금메달 9개, 은메달 5개, 동메달 3개를 포함한 총 17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나이 | 10km | 15km 클래식 | 15km 프리스타일 | 추적 | 30km | 50km | 4 × 10km 계주 |
---|---|---|---|---|---|---|---|---|
1989 | 21 | - | - | 20위 | - | - | 12위 | - |
1991 | 23 | 9위 | - | 금메달 | - | - | 4위 | 금메달 |
1993 | 25 | 4위 | - | - | 금메달 | 금메달 | 동메달 | 금메달 |
1995 | 27 | 은메달 | - | - | 5위 | 은메달 | 은메달 | 금메달 |
1997 | 29 | 금메달 | - | -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금메달 |
1999 | 31 | 5위 | - | - | 6위 | 동메달 | - | 은메달 |
7.3. 월드컵 결과
델리는 월드컵에서 총 8번의 시즌 타이틀을 획득했다. 여기에는 6번의 종합 우승과 2번의 스프린트 타이틀이 포함된다.
7.3.1. 시즌 타이틀
- 8개 타이틀 - (종합 6개, 스프린트 2개)
시즌 | 종목 |
---|---|
1992 | 종합 |
1993 | 종합 |
1995 | 종합 |
1996 | 종합 |
1997 | 종합 |
스프린트 | |
1999 | 종합 |
스프린트 |
7.3.2. 시즌 순위
시즌 | 나이 | 종합 순위 | 장거리 순위 | 스프린트 순위 |
---|---|---|---|---|
1989 | 21 | 14위 | - | - |
1990 | 22 | 3위 | - | - |
1991 | 23 | 3위 | - | - |
1992 | 24 | 1위 | - | - |
1993 | 25 | 1위 | - | - |
1994 | 26 | 2위 | - | - |
1995 | 27 | 1위 | - | - |
1996 | 28 | 1위 | - | - |
1997 | 29 | 1위 | 2위 | 1위 |
1998 | 30 | 2위 | 2위 | 2위 |
1999 | 31 | 1위 | 2위 | 1위 |
7.3.3. 개인 포디움
- 46승
- 81회 포디움 (1, 2, 3위)
No. | 시즌 | 날짜 | 장소 | 경기 | 레벨 | 순위 |
---|---|---|---|---|---|---|
1 | 1989-90 | 1989년 12월 9일 | 솔저 할로우, 미국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2 | 1989년 12월 16일 | 캔모어, 캐나다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3 | 1990년 2월 17일 | 캄프라, 스위스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4 | 1990년 2월 21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3위 | |
5 | 1990년 3월 3일 | 라흐티, 핀란드 | 15km + 15km 추적 프리스타일/클래식 | 월드컵 | 1위 | |
6 | 1990-91 | 1991년 1월 5일 | 민스크, 소련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7 | 1991년 1월 9일 | 슈트르프스케 플레소, 체코슬로바키아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8 | 1991년 2월 9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9 | 1991-92 | 1991년 12월 7일 | 실버 스타, 캐나다 | 15km 추적 클래식 | 월드컵 | 2위 |
10 | 1991년 12월 14일 | 선더 베이, 캐나다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11 | 1992년 1월 4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12 | 1992년 1월 11일 | 코네, 이탈리아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13 | 1992년 2월 10일 | 알베르빌, 프랑스 | 30km 개인 클래식 | 올림픽 | 2위 | |
14 | 1992년 2월 15일 | 15km 추적 프리스타일 | 올림픽 | 1위 | ||
15 | 1992년 2월 22일 | 50km 개인 프리스타일 | 올림픽 | 1위 | ||
16 | 1992년 2월 29일 | 라흐티, 핀란드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17 | 1992년 3월 7일 | 푸네스달렌, 스웨덴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18 | 1992-93 | 1992년 12월 13일 | 람사우, 오스트리아 | 15km 추적 클래식 | 월드컵 | 1위 |
19 | 1993년 1월 3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20 | 1993년 1월 9일 | 울리헨, 스위스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3위 | |
21 | 1993년 1월 16일 | 보히니, 슬로베니아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
22 | 1993년 2월 20일 | 팔룬, 스웨덴 | 30km 개인 클래식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23 | 1993년 2월 24일 | 15km 추적 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24 | 1993년 2월 28일 | 50km 개인 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3위 | ||
25 | 1993년 3월 19일 | 슈트르프스케 플레소, 슬로바키아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26 | 1993-94 | 1993년 12월 18일 | 다보스, 스위스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27 | 1993년 12월 22일 | 토블라흐, 이탈리아 | 15km 추적 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
28 | 1994년 1월 9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2위 | |
29 | 1994년 1월 15일 | 오슬로, 노르웨이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30 | 1994년 2월 14일 | 릴레함메르, 노르웨이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올림픽 | 2위 | |
31 | 1994년 2월 17일 | 10km 개인 클래식 | 올림픽 | 1위 | ||
32 | 1994년 2월 19일 | 15km 추적 프리스타일 | 올림픽 | 1위 | ||
33 | 1994년 3월 5일 | 라흐티, 핀란드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34 | 1994-95 | 1994년 11월 27일 | 키루나, 스웨덴 | 1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35 | 1994년 12월 14일 | 타우플리츠알름, 오스트리아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2위 | |
36 | 1994년 12월 17일 | 삽파다, 이탈리아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37 | 1995년 1월 8일 | 외스테르순드, 스웨덴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38 | 1995년 1월 27일 | 라흐티, 핀란드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39 | 1995년 1월 29일 | 15km 추적 클래식 | 월드컵 | 3위 | ||
40 | 1995년 2월 4일 | 팔룬, 스웨덴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41 | 1995년 3월 9일 | 선더 베이, 캐나다 | 30km 개인 클래식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
42 | 1995년 3월 11일 | 10km 개인 클래식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
43 | 1995년 3월 19일 | 50km 개인 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
44 | 1995년 3월 25일 | 삿포로, 일본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45 | 1995-96 | 1995년 11월 26일 | 부오카티, 핀란드 | 1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2위 |
46 | 1995년 11월 29일 | 옐리바레, 스웨덴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47 | 1995년 12월 9일 | 다보스, 스위스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48 | 1995년 12월 13일 | 브루송, 이탈리아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49 | 1995년 12월 16일 | 산타카테리나, 이탈리아 | 1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50 | 1995년 12월 17일 | 15km 추적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51 | 1996년 1월 9일 | 슈트르프스케 플레소, 슬로바키아 | 5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52 | 1996년 2월 2일 | 제펠트, 오스트리아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53 | 1996년 2월 10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3위 | |
54 | 1996년 2월 24일 | 트론헤임, 노르웨이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55 | 1996년 3월 3일 | 라흐티, 핀란드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56 | 1996년 3월 9일 | 팔룬, 스웨덴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57 | 1996-97 | 1996년 11월 23일 | 키루나, 스웨덴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58 | 1996년 12월 14일 | 브루송, 이탈리아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59 | 1996년 12월 18일 | 오버스트도르프, 독일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60 | 1997년 2월 21일 | 트론헤임, 노르웨이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
61 | 1997년 2월 24일 | 10km 개인 클래식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62 | 1997년 2월 25일 | 15km 추적 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63 | 1997년 3월 2일 | 50km 개인 클래식 | 세계 선수권 대회 | 3위 | ||
64 | 1997년 3월 8일 | 팔룬, 스웨덴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65 | 1997년 3월 11일 | 수네, 스웨덴 | 1.0km 스프린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66 | 1997년 3월 15일 | 오슬로, 노르웨이 | 5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
67 | 1997-98 | 1997년 11월 22일 | 베이토스톨렌, 노르웨이 | 1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68 | 1997년 12월 13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1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69 | 1997년 12월 14일 | 15km 추적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70 | 1997년 12월 16일 | 15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
71 | 1997년 12월 20일 | 다보스, 스위스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72 | 1998년 3월 14일 | 오슬로, 노르웨이 | 5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3위 | |
73 | 1998-99 | 1998년 11월 28일 | 무오니오, 핀란드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74 | 1998년 12월 12일 | 토블라흐, 이탈리아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75 | 1998년 12월 13일 | 15km 추적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76 | 1998년 12월 19일 | 다보스, 스위스 | 3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77 | 1999년 1월 9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78 | 1999년 1월 12일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79 | 1999년 2월 19일 | 람사우, 오스트리아 | 30km 개인 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3위 | |
80 | 1999년 3월 7일 | 라흐티, 핀란드 | 15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1위 | |
81 | 1999년 3월 20일 | 오슬로, 노르웨이 | 5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참고: 1999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1994년 올림픽까지는 세계 선수권 대회 및 올림픽 경주 결과가 월드컵 득점 시스템에 포함되었다.
7.3.4. 팀 포디움
- 16승
- 27회 포디움 (1, 2, 3위)
No. | 시즌 | 날짜 | 장소 | 경기 | 레벨 | 순위 | 팀원 |
---|---|---|---|---|---|---|---|
1 | 1987-88 | 1988년 3월 13일 | 팔룬, 스웨덴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토르게이르 비에른 / 폴 군나르 미켈스플라스 / 베가르 울방 |
2 | 1988-89 | 1989년 3월 5일 | 오슬로, 노르웨이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폴 군나르 미켈스플라스 / 베가르 울방 / 테르예 랑리 |
3 | 1989년 3월 12일 | 팔룬, 스웨덴 | 4 × 10km 계주 클래식 | 월드컵 | 3위 | 테르예 랑리 / 폴 군나르 미켈스플라스 / 베가르 울방 | |
4 | 1990-91 | 1991년 2월 15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외이빈 스코네스 / 테르예 랑리 / 베가르 울방 |
5 | 1991년 3월 1일 | 라흐티, 핀란드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외이빈 스코네스 / 테르예 랑리 / 크리스텐 셸달 | |
6 | 1991-92 | 1992년 2월 18일 | 알베르빌, 프랑스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올림픽 | 1위 | 테르예 랑리 / 베가르 울방 / 크리스텐 셸달 |
7 | 1992년 2월 28일 | 라흐티, 핀란드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테르예 랑리 / 베가르 울방 / 크리스텐 셸달 | |
8 | 1992년 3월 8일 | 푸네스달렌, 스웨덴 | 4 × 10km 계주 클래식 | 월드컵 | 1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테르예 랑리 / 베가르 울방 | |
9 | 1992-93 | 1993년 2월 26일 | 팔룬, 스웨덴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베가르 울방 / 테르예 랑리 |
10 | 1993-94 | 1994년 2월 22일 | 릴레함메르, 노르웨이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올림픽 | 2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베가르 울방 / 토마스 알스가르드 |
11 | 1994년 3월 13일 | 팔룬, 스웨덴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에를링 예브네 / 베가르 울방 | |
12 | 1994-95 | 1994년 12월 18일 | 삽파다, 이탈리아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에게르 크리스티안센 / 크리스텐 셸달 / 토마스 알스가르드 |
13 | 1995년 2월 5일 | 팔룬, 스웨덴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테르예 랑리 / 토마스 알스가르드 | |
14 | 1995년 3월 17일 | 선더 베이, 캐나다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에를링 예브네 / 토마스 알스가르드 | |
15 | 1995년 3월 26일 | 삿포로, 일본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베가르 울방 / 크리스텐 셸달 / 토마스 알스가르드 | |
16 | 1995-96 | 1995년 12월 10일 | 다보스, 스위스 | 4 × 10km 계주 클래식 | 월드컵 | 2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에를링 예브네 / 토마스 알스가르드 |
17 | 1996년 1월 14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4 × 10km 계주 클래식 | 월드컵 | 2위 | 토마스 알스가르드 / 베가르 울방 / 에를링 예브네 | |
18 | 1996년 2월 25일 | 트론헤임, 노르웨이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베가르 울방 / 에를링 예브네 / 토마스 알스가르드 | |
19 | 1996년 3월 17일 | 오슬로, 노르웨이 | 4 × 5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에게르 크리스티안센 / 베가르 울방 / 안데르스 에이데 | |
20 | 1996-97 | 1996년 11월 24일 | 키루나, 스웨덴 | 4 × 10km 계주 클래식 | 월드컵 | 3위 | 크리스텐 셸달 / 안데르스 에이데 / 베가르 울방 |
21 | 1996년 12월 15일 | 브루송, 이탈리아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에게르 크리스티안센 / 안데르스 에이데 / 크리스텐 셸달 | |
22 | 1997년 2월 28일 | 트론헤임, 노르웨이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에를링 예브네 / 토마스 알스가르드 | |
23 | 1997년 3월 9일 | 팔룬, 스웨덴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스투레 시베르트센 / 에를링 예브네 / 크리스텐 셸달 | |
24 | 1997-98 | 1997년 11월 23일 | 베이토스톨렌, 노르웨이 | 4 × 10km 계주 클래식 | 월드컵 | 1위 | 토마스 알스가르드 / 안데르스 에이데 / 에를링 예브네 |
25 | 1998-99 | 1998년 11월 29일 | 무오니오, 핀란드 | 4 × 10km 계주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 / 크리스텐 셸달 / 토르 아르네 헤틀란 |
26 | 1998년 12월 20일 | 다보스, 스위스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에를링 예브네 / 에스펜 비에르빅 / 토르 아르네 헤틀란 | |
27 | 1999년 2월 26일 | 람사우, 오스트리아 | 4 × 10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에스펜 비에르빅 / 에를링 예브네 / 토마스 알스가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