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브록 오빌 라슨(Brock Orville Larson브록 오빌 라슨영어)은 1977년 8월 23일에 태어난 미국의 은퇴한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그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주로 웰터급과 미들급에서 경쟁했다. 라슨은 UFC, WEC, ONE FC, 레거시 FC 등 다양한 주요 종합격투기 단체에서 활약하며 많은 경기를 치렀다. 특히 그는 아마추어 레슬링과 브라질리언 주짓수를 기반으로 한 뛰어난 그라운드 기술로 명성을 얻었으며, 주짓수 검은 띠를 보유하고 있다.
2. 생애 초반 및 배경
브록 라슨은 어린 시절부터 레슬링에 재능을 보이며 스포츠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자연스럽게 종합격투기의 세계로 발을 들였다.
2.1. 유년기 및 교육
라슨은 1977년 8월 23일 미국 미네소타주 브레이너드에서 태어나 소 사육 농장에서 자랐다. 그는 어린 나이부터 레슬링을 시작했으며, 브레이너드 고등학교에 진학해서도 레슬링 선수로 활동을 이어갔다.
2.2. 격투기 입문
이타스카 커뮤니티 칼리지에 다니던 중, 한 친구로부터 브라질리언 주짓수를 접하게 되었다. 이후 라슨은 그 친구와 함께 미네소타 마셜 아츠 아카데미에서 주짓수 서브미션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우승했고, 이를 계기로 훗날 UFC 라이트급 챔피언이 되는 숀 셔크와 함께 훈련할 기회를 얻었다. 2002년부터 브라질리언 주짓수 훈련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같은 해 프로 종합격투기 선수로 데뷔했다. 그는 UFC의 전 선수인 톰 스피어를 상대로 한 그래플링 매치에서도 승리한 경력이 있다. 격투기 선수로 활동하기 전에는 도로 건설 분야에서 일하기도 했다.
3. 종합격투기 경력
브록 라슨은 2002년에 프로 종합격투기에 데뷔하여 다양한 단체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인상적인 기록들을 남겼다. 그는 42승 10패의 종합격투기 전적을 기록했으며, 이 중 15승은 TKO/KO, 21승은 서브미션, 5승은 판정승, 1승은 실격승이었다. 패배의 경우, 3패는 TKO/KO, 2패는 서브미션, 5패는 판정패였다. 라슨은 서브미션 기술의 달인으로 평가받았으며, 여러 경기를 통해 자신의 실력을 증명했다.
3.1. 초기 경력
라슨은 2002년에 프로 종합격투기 선수로 데뷔한 후, UFC와 계약하기 전까지 지역 서킷에서 활동하며 15승 무패의 인상적인 기록을 쌓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2004년 ICC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2005년에는 ISKA MMA 북미 미들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또한 같은 해 익스트림 챌린지 63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며 성공적인 초기 경력을 이어갔다.
3.2. UFC 활동 (초기)
라슨은 2005년 10월 3일 UFC에 입성하여 UFC Fight Night 2에서 존 피치를 상대로 미들급 경기를 치렀으나, 심판 전원일치 판정패를 기록하며 첫 패배를 당했다. 이 패배 이후 그는 체급을 웰터급으로 전환했다. 이후 6연승을 거두며 연승 행진을 이어갔고, 2006년 12월 13일 UFC Fight Night 7에서 나카무라 케이타로를 상대로 웰터급 데뷔전을 치러 심판 전원일치 판정승을 거두며 UFC 복귀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다.
3.3. WEC 활동
이후 라슨은 WEC로 이적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2007년 4월 24일 WEC 26: 콘딧 vs. 알레시오에서 에릭 애플을 상대로 WEC 데뷔전을 치러 1라운드 기무라 서브미션으로 승리했다. 2007년 6월 3일 WEC 28에서 케빈 크나브지안을 상대로 1라운드 27초 만에 TKO 승을 거두며 연승을 기록했다. WEC에서 2승 무패를 기록하고 9연승을 달리던 라슨은 2007년 8월 5일 WEC 29에서 당시 챔피언이었던 카를로스 콘딧을 상대로 WEC 웰터급 챔피언십 타이틀전을 가졌으나, 1라운드 암바 서브미션으로 패배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2009년 3월 1일 WEC 39에서 콘딧과의 재대결이 예정되었으나, 라슨의 부상으로 취소되었다. 2008년 12월, WEC 웰터급 부문은 UFC의 웰터급 부문과 통합되었다.
3.4. UFC 활동 (복귀)
WEC와의 통합 이후 라슨은 UFC로 복귀하여 2009년 4월 1일 UFC Fight Night: 콘딧 vs. 캠프만에서 제시 샌더스를 상대로 리어 네이키드 초크 서브미션 승을 거두었다. 이어서 5월 23일 UFC 98에서 마이크 파일을 상대로 1라운드 암 트라이앵글 초크 서브미션 승을 거두며 UFC '서브미션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수상했다. 2009년 11월 21일 UFC 106에서 브라이언 포스터와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에서 라슨은 1라운드에 불법적인 킥과 무릎 공격으로 2점 감점을 당했으며, 2라운드에 TKO로 패배했다. 이 패배 이후 라슨은 UFC에서 방출되었다.
3.5. UFC 이후 활동
UFC에서 방출된 후, 라슨은 지역 대회에서 3승 무패를 기록했다. 2010년 9월 11일 샤크 파이츠 13에서 훗날 스트라이크포스 웰터급 챔피언이 되는 타렉 사피딘과 대결했으나 심판 전원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2010년 10월 29일 킹 오브 더 케이지: 메인스트림에서 게이브 월브리지를 상대로 1라운드 타격에 의한 서브미션으로 TKO 승을 거두었다. 2014년 10월 3일 배틀그라운즈 MMA 5에 참가하여 웰터급 토너먼트에서 코디 매켄지, 조 레이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호안 카르네이로에게 심판 전원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3.6. ONE FC 활동
이후 라슨은 아시아 최대 종합격투기 단체인 ONE FC와 계약했다. 2013년 4월 5일 ONE FC: 킹스 앤드 챔피언스에서 멜빈 마누프를 상대로 ONE FC 데뷔전을 치러 심판 전원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2014년 3월 14일 ONE FC: 워 오브 네이션스에서 스즈키 노부타츠와 초대 ONE FC 웰터급 챔피언십 타이틀전을 가졌으나, 심판 전원일치 판정패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3.7. Legacy FC 및 은퇴
2015년 7월 라슨은 레거시 FC에 데뷔했다. 그는 데릭 크란츠를 상대로 레거시 FC 웰터급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3라운드 KO로 패배했다. 레거시 FC에서의 두 번째 경기인 2016년 2월 5일 레거시 FC 51에서 트래비스 코일을 상대로 경기를 치렀다. 경기 초반 코일의 길로틴 초크에 위기에 처했으나, 라슨은 여러 서브미션 시도를 극복하고 1라운드 TKO 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 이후, 라슨의 팀은 2002년부터 2016년까지의 그의 선수 경력을 기념하는 맞춤형 벨트를 수여했으며, 그는 코칭에 집중하기 위해 현역 종합격투기 선수 생활에서 은퇴했다. 현재 그는 START BJJ MN의 수석 교수이다.
4. 주요 타이틀 및 수상
브록 라슨은 프로 경력 동안 여러 타이틀과 특별 보너스를 획득하며 그의 실력을 인정받았다.
- UFC
- 서브미션 오브 더 나이트 (1회) : 마이크 파일 전
- WEC
- 노크아웃 오브 더 나이트 (1회) : 카를로 프라터 전
- ICC
- 라이트헤비급 챔피언 (2004년)
- ISKA MMA
- 북미 미들급 챔피언 (2005년)
- 익스트림 챌린지
- 익스트림 챌린지 63 토너먼트 우승 (2005년)
5. 개인 생활
브록 라슨은 세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그는 현재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START BJJ MN에서 주짓수 수석 교수로 재직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6. 종합격투기 전적
승패 | 총 전적 | 상대 | 승패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승 | 42-10 | 트래비스 코일 | TKO (펀치) | Legacy FC 51: Ramos vs. Vasquez | 2016년 2월 5일 | 1 | 2:03 | 미네소타주 힝클리, 미국 | 캐치웨이트(79 kg (175 lb)) 경기. |
패 | 41-10 | 데릭 크란츠 | KO (펀치) | Legacy FC 43: Larson vs. Krantz | 2015년 7월 17일 | 3 | 2:38 | 미네소타주 힝클리, 미국 | 공석이었던 레거시 FC 웰터급 챔피언십 타이틀전. |
승 | 41-9 | 카일 올슨 | TKO (펀치) | KOTC: Bad Blood | 2015년 5월 2일 | 1 | 1:41 | 노스다코타주 세인트 마이클, 미국 | |
승 | 40-9 | 에디 라레아 | TKO (펀치) | KOTC: Fighting Spirit | 2015년 1월 17일 | 1 | 1:57 | 노스다코타주 세인트 마이클, 미국 | 미들급 복귀전. |
패 | 39-9 | 호안 카르네이로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BattleGrounds MMA 5: O.N.E. | 2014년 10월 3일 | 3 | 5:00 | 오클라호마주 털사, 미국 | 배틀그라운즈 MMA 5 웰터급 토너먼트 결승전. |
승 | 39-8 | 조 레이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3 | 5:00 | 배틀그라운즈 MMA 5 웰터급 토너먼트 준결승. | |||
승 | 38-8 | 코디 매켄지 | 서브미션 (암 트라이앵글 초크) | 2 | 1:43 | 배틀그라운즈 MMA 5 웰터급 토너먼트 8강전. | |||
패 | 37-8 | 스즈키 노부타츠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ONE FC : War of Nations | 2014년 3월 14일 | 5 | 5:0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초대 ONE FC 웰터급 챔피언십 타이틀전. |
승 | 37-7 | 멜빈 마누프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ONE FC : Kings and Champions | 2013년 4월 5일 | 3 | 5:00 | 싱가포르 칼랑, 싱가포르 | 미들급 경기. |
승 | 36-7 | 에두아르도 팜플로나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Resurrection Fighting Alliance 6 | 2013년 1월 18일 | 3 | 5:00 |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미국 | |
승 | 35-7 | 앤서니 레몬 | 서브미션 (암바) | KOTC: Fire and Ice | 2012년 12월 1일 | 1 | 3:20 | 미네소타주 워커, 미국 | 웰터급 복귀전. |
승 | 34-7 | 루카스 세인트 클레어 | 서브미션 (폰 플루 초크) | Cage Fighting Extreme 38 | 2012년 9월 1일 | 1 | 1:00 | 미네소타주 소크 래피즈, 미국 | |
패 | 33-7 | 안토니오 브라가 네투 | 서브미션 (니바) | MMAAD: MMA Against Dengue 2 | 2012년 3월 4일 | 1 | 1:04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미들급 경기. |
패 | 33-6 | 에릭 다빌라 | KO (펀치) | Extreme Challenge 188: Larson vs. Davila | 2011년 7월 23일 | 1 | 0:07 |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미국 | |
승 | 33-5 | 게이브 월브리지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KOTC: Mainstream | 2010년 10월 29일 | 1 | 1:13 | 미네소타주 모턴, 미국 | |
패 | 32-5 | 타렉 사피딘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샤크 파이츠 13: Jardine vs Prangley | 2010년 9월 11일 | 3 | 5:00 | 텍사스주 아마릴로, 미국 | |
승 | 32-4 | 에디 라레아 | 서브미션 (기무라) | Gladiator Evolution/Cage Fighting Xtreme | 2010년 8월 14일 | 1 | 2:05 | 매사추세츠주 브록턴, 미국 | |
승 | 31-4 | 닉 알멘 | TKO (펀치) | CFX: Cage Fighting Xtreme | 2010년 5월 15일 | 1 | 0:30 | 미네소타주 레드 레이크, 미국 | |
승 | 30-4 | 브라이언 그린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CFX / XKL: Mayhem in Minneapolis | 2010년 4월 24일 | 1 | 4:39 |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미국 | |
패 | 29-4 | 브라이언 포스터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UFC 106 | 2009년 11월 21일 | 2 | 3:25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
패 | 29-3 | 마이크 피어스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UFC Fight Night: 디아즈 vs. 길라드 | 2009년 9월 16일 | 3 | 5:00 |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 미국 | |
승 | 29-2 | 마이크 파일 | 서브미션 (암 트라이앵글 초크) | UFC 98 | 2009년 5월 23일 | 1 | 3:06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서브미션 오브 더 나이트 수상. |
승 | 28-2 | 제시 샌더스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UFC Fight Night: 콘딧 vs. 캠프만 | 2009년 4월 1일 | 1 | 2:01 | 테네시주 내슈빌, 미국 | |
승 | 27-2 | 카를로 프라터 | KO (펀치) | WEC 35: 콘딧 vs. 미우라 | 2008년 8월 3일 | 1 | 0:37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노크아웃 오브 더 나이트 수상. |
승 | 26-2 | 존 알레시오 | DQ (쓰러진 상대에게 무릎 공격) | WEC 33: 마셜 vs. 스탠 | 2008년 3월 26일 | 1 | 1:50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
승 | 25-2 | 트로이 앨리슨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CFX 7: Brutal | 2007년 11월 29일 | 1 | N/A | 미네소타주 세인트 클라우드, 미국 | |
패 | 24-2 | 카를로스 콘딧 | 서브미션 (암바) | WEC 29 | 2007년 8월 5일 | 1 | 2:21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WEC 웰터급 챔피언십 타이틀전. |
승 | 24-1 | 케빈 크나브지안 | TKO (펀치) | WEC 28 | 2007년 6월 3일 | 1 | 0:27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
승 | 23-1 | 에릭 애플 | 서브미션 (기무라) | WEC 26: 콘딧 vs. 알레시오 | 2007년 3월 24일 | 1 | 3:43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
승 | 22-1 | 나카무라 케이타로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UFC Fight Night: 산체스 vs. 리그스 | 2006년 12월 13일 | 3 | 5:00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미국 | 웰터급 데뷔전. |
승 | 21-1 | 에드워드 오다니엘 | 서브미션 (폰 플루 초크) | Extreme Challenge 70 | 2006년 8월 26일 | 1 | 2:21 | 위스콘신주 헤이워드, 미국 | |
승 | 20-1 | 마누엘 키로스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Extreme Challenge 67 | 2006년 6월 30일 | 1 | 0:42 | 미네소타주 메디나, 미국 | |
승 | 19-1 | 알렉스 카터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CFX 4: Cage Fighting Xtreme 4 | 2006년 4월 22일 | 1 | N/A | 미네소타주 플리머스, 미국 | |
승 | 18-1 | 케네스 알렌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TCT: Twin Cities Throwdown | 2006년 4월 8일 | 1 | N/A | 미네소타주 번스빌, 미국 | |
승 | 17-1 | 레이 페랄레스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IFC: Rumble on the River | 2006년 3월 11일 | 1 | 1:05 | 네브래스카주 커니, 미국 | |
승 | 16-1 | 섀넌 리치 | TKO (펀치) | Extreme Challenge 66 | 2006년 2월 17일 | 1 | 1:16 | 미네소타주 메디나, 미국 | |
패 | 15-1 | 존 피치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UFC Fight Night 2 | 2005년 10월 3일 | 3 | 5:00 |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국 | |
승 | 15-0 | 라이언 맥기번 | 서브미션 (키록) | Extreme Challenge 63 | 2005년 7월 23일 | 1 | 2:09 | 위스콘신주 헤이워드, 미국 | EC 미들급 토너먼트 우승. |
승 | 14-0 | 라이언 젠슨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1 | 1:39 | EC 미들급 토너먼트 준결승. | |||
승 | 13-0 | 다마르쿠스 존슨 | 서브미션 (키록) | 3 | 1:02 | EC 미들급 토너먼트 8강. | |||
승 | 12-0 | 미겔 쿨리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CFX 3: Cage Fighting Xtreme 3 | 2005년 4월 23일 | 1 | N/A | 미네소타주 브레이너드, 미국 | |
승 | 11-0 | 스테판 포트빈 | 판정 (심판 전원일치) | IFC WC 19: Warriors Challenge 19 | 2005년 3월 26일 | 5 | 5:00 | 미시간주 수 세인트 마리, 미국 | |
승 | 10-0 | 다린 브루디간 | 서브미션 (암 트라이앵글 초크) | XKK: Fridley | 2005년 2월 5일 | 2 | 4:50 | 미네소타주 프리들리, 미국 | |
승 | 9-0 | 마크 스몰린스키 | TKO (펀치) | CFX 2: Cage Fighting Xtreme 2 | 2004년 9월 4일 | 1 | N/A | 미네소타주 브레이너드, 미국 | |
승 | 8-0 | 미겔 쿨리 | TKO (펀치) | ICC: Trials 2 | 2004년 4월 30일 | 1 | N/A | 미네소타주 로체스터, 미국 | |
승 | 7-0 | 닉 비즐리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DFC 1: Dakota Fighting Championships 1 | 2004년 4월 17일 | 1 | 1:04 | 노스다코타주 파고, 미국 | |
승 | 6-0 | 제임스 풀러 | 서브미션 (암바) | CFX 1: Cage Fighting Xtreme 1 | 2004년 4월 3일 | 1 | N/A | 미네소타주 브레이너드, 미국 | |
승 | 5-0 | 알렉스 가슨 | 서브미션 (암바) | ICC: Trials | 2004년 3월 12일 | 2 | 4:13 | 미네소타주 프리들리, 미국 | |
승 | 4-0 | 브라이언 매키천 | 서브미션 (암바) | 1 | 1:56 | ||||
승 | 3-0 | 카일 올슨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SS: Sabin Showdown | 2003년 4월 26일 | 1 | 2:20 | 미네소타주 무어헤드, 미국 | |
승 | 2-0 | 루크 코딜로 | 서브미션 (키록) | IWW: Iowa Winter Warriors | 2003년 1월 25일 | N/A | N/A | 아이오와주 스피릿 레이크, 미국 | |
승 | 1-0 | 조쉬 하트웰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ARCF 7: American Reality Combat 7 | 2002년 10월 19일 | 1 | 0:46 | 미네소타주 알렉산드리아,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