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백승민의 어린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많지 않으나, 그가 축구 선수로서 성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기였다.
1.1. 출생
백승민은 1986년 3월 12일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
2. 축구 경력
백승민은 유소년 시절부터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며 기대를 모았고, 프로 무대에서는 K리그 소속팀에서 활약했다.
2.1. 유소년 및 국가대표 경력
백승민은 대한민국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였으며, 당시 차기석, 김정훈, 황규환, 강진욱, 정인환, 이상협, 신영철, 양동현, 한동원, 이용래, 이상용, 한일구, 김준, 이훈, 안상현, 어경준, 김대호, 신영록, 이강진 등의 선수들과 함께 윤덕여 감독의 지도를 받았다. 이후 2005년에는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이 대회에서는 차기석, 박희철, 안태은, 이요한, 정인환, 김진규, 백지훈, 오장은, 박주영, 이근호, 정성룡, 신형민, 박종진, 황규환, 심우연, 이승현, 김승용, 신영록, 이강진, 김대호 등 당시 한국 축구의 기대를 한 몸에 받던 동료들과 함께 박성화 감독의 지휘 아래 뛰었다.
2.2. 클럽 경력
백승민은 프로 선수로 전남 드래곤즈에서 활약했다. 2006년 K리그에 데뷔하여 같은 해 리그에서 9경기에 출전했으며, 코리아컵에서는 2경기 1득점, 리그컵에서는 9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전력에 기여했다. 2007년에는 리그 15경기, 코리아컵 4경기, 리그컵 1경기에 나섰다. 2008년에는 리그 14경기, 코리아컵 1경기, 리그컵 3경기, 그리고 AFC 챔피언스리그 2경기에 출전했다. 그의 마지막 프로 시즌은 2009년이었다.
3. 통산 기록
백승민의 클럽 경력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 기록 | 리그 | 컵 | 리그컵 | 대륙 대회 | 총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대한민국 | 리그 | 코리아컵 | 리그컵 | 아시아 | 총계 | |||||||
2006 | 전남 드래곤즈 | K리그 | 9 | 0 | 2 | 1 | 9 | 0 | - | 20 | 1 | |
2007 | 15 | 0 | 4 | 0 | 1 | 0 | - | 20 | 0 | |||
2008 | 14 | 0 | 1 | 0 | 3 | 0 | 2 | 0 | 20 | 0 | ||
2009 | 0 | 0 | 0 | 0 | 0 | 0 | - | 0 | 0 | |||
합계 | 대한민국 | 38 | 0 | 7 | 1 | 13 | 0 | 2 | 0 | 60 | 1 | |
경력 총계 | 38 | 0 | 7 | 1 | 13 | 0 | 2 | 0 | 60 | 1 |
4. 비판 및 논란
백승민의 경력은 2010년 대한민국 축구계를 뒤흔든 대규모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면서 큰 비판과 논란에 직면하게 되었다.
4.1. 2010년 승부조작 사건
2010년, 백승민은 K리그를 비롯한 국내 프로축구에서 발생한 대규모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 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스캔들 중 하나로 기록되며, 축구의 공정성과 스포츠 정신을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점에서 대중의 큰 공분을 샀다. 조사 결과, 백승민은 승부조작에 가담한 사실이 드러났고, 이로 인해 대한민국 축구계로부터 영구 제명이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이 조치는 그가 더 이상 국내 프로 축구 무대에서 선수로 활동할 수 없음을 의미했으며, 그의 축구 경력은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 사건은 선수 개인의 몰락을 넘어, 한국 축구 전체의 신뢰도를 실추시킨 사건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