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곳월드의 어린 시절과 교육 과정은 그의 음악적 재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1.1. 출생 및 성장 과정
곳월드는 1973년 9월 26일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유대인 혈통이며, 그의 아버지 야누슈 예지 곳월드(Janusz Jerzy Gottwald영어)는 폴란드 우아스크 출신의 건축가였다. 곳월드는 어린 시절의 많은 시간을 뉴욕시에서 보냈다. 그는 원래 드럼 연주자가 되고 싶었지만, 부모님이 집에 드럼 키트를 두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13세에 그는 누나의 기타를 들고 독학으로 연주를 배웠다. 십대 시절 곳월드는 "존경하는 기타 파트가 있다면 나쁜 음악을 계속해서 듣고, 기타 연주자가 무엇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알아내려 했다."
1.2. 교육
곳월드는 맨해튼 음악 학교에 2년 동안 다녔다.
2. 음악 경력
곳월드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밴드의 기타리스트로 활동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 프로듀서로서 수많은 히트곡을 탄생시키며 대중음악계의 주요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2.1. SNL 밴드 기타리스트
곳월드는 1996년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밴드의 리드 기타리스트로 합류하여 2006-2007 시즌까지 활동했다.
2.2. 프로듀서 데뷔 및 초기 활동
곳월드는 SNL 밴드 활동과 병행하여 본 조비, 그레이브디거즈, 어레스티드 디벨롭먼트, 내피 루츠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을 위한 트랙과 리믹스를 프로듀싱했다. 그는 카즈(Kasz영어)라는 이름으로 로커스 레코드에서 12인치 싱글 "Wet Lapse"를 발매했으며, 영화 《모탈 컴뱃》의 테마곡을 리믹스하기도 했다. 한 하우스 파티에서 DJ를 하던 곳월드는 프로듀서 맥스 마틴을 만났고, 이후 마틴이 뉴욕에 왔을 때 뉴욕의 클럽들을 안내해주었다.
2.3. 주요 히트곡 및 협업 (2000년대)
2000년대 곳월드는 여러 유명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다수의 히트곡을 만들어냈다.
2.3.1. 켈리 클락슨, 핑크, 에이브릴 라빈
2004년, 그는 맥스 마틴과 함께 켈리 클락슨의 빌보드 핫 100 차트 2위 곡 "Since U Been Gone"을 공동 작곡하고 공동 프로듀싱했으며, 클락슨의 또 다른 히트곡 "Behind These Hazel Eyes"를 제공했다. 이후 핑크의 "Who Knew"와 "U + Ur Hand"는 미국 차트 Top 10에 진입했다. 그는 에이브릴 라빈의 "Girlfriend"를 공동 프로듀싱하여 차트 1위에 올렸으며, 라빈의 앨범에 수록된 다른 7곡에도 참여했다. 또한 2007년 슈가베이비스의 "About You Now"로 영국 차트 1위를 달성했다.
2.3.2. 케이티 페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등
2008년, 곳월드는 케이티 페리의 두 번째 앨범 《One of the Boys》에 두 곡을 기여했으며, 이 중 "I Kissed a Girl"은 미국 빌보드 차트 1위에, "Hot n Cold"는 상위권에 올랐다. 또한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2008년 앨범 《Circus》에 타이틀곡을 포함한 세 곡을 공동 프로듀싱했다. 그는 플로 라이다의 미국 차트 1위 곡 "Right Round"를 공동 프로듀싱하기도 했다. 켈리 클락슨과의 세 번째 공동 프로듀싱 곡인 "My Life Would Suck Without You" 역시 핫 100 차트 정상에 올랐다. 2009년 말, 제시 J가 공동 작곡한 마일리 사이러스의 "Party in the U.S.A."는 차트 2위를 기록했다. 2009년 12월, 빌보드는 그를 10년간의 Top 10 프로듀서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2.4. 주요 히트곡 및 협업 (2010년대 이후)
2010년대 이후에도 곳월드는 꾸준히 히트곡을 발표하며 대중음악계에서 영향력을 이어갔다.
2.4.1. 케샤, 마일리 사이러스 등
2010년, 곳월드는 ASCAP 팝 음악 시상식에서 올해의 작곡가로 선정되었고, 작곡가 및 출판사로서 10개의 ASCAP 팝 음악상을 수상했다. 그는 2006년부터 2009년 사이에 ASCAP로부터 10개의 팝 음악상을 받았다. 또한 패스트 컴퍼니(Fast Company)의 '비즈니스 분야에서 가장 창의적인 100인' 중 33위에 올랐다. 곳월드가 공동 프로듀싱한 케이티 페리의 "California Gurls"는 핫 100 차트 2위로 데뷔한 후 1위에 올랐으며, 두 번째 싱글 "Teenage Dream"도 마찬가지였다. 곳월드가 공동 프로듀싱한 타이오 크루즈의 "Dynamite"는 영국 차트 1위, 미국 차트 2위를 기록했다. 그는 B.o.B의 "Magic", 3OH!3의 "My First Kiss", 케샤의 "Take It Off" 등 세 곡의 Top 10 곡과 케샤의 "Your Love Is My Drug" 등 Top 5 곡에 기여했다. 2010년, 그는 빌보드에 의해 '올해의 핫 100 작곡가 1위'와 '올해의 프로듀서 1위'로 선정되었다. 2011년 초, 애드 에이지는 곳월드를 "차트 지속성 측면에서 올해 가장 성공적인 프로듀서이자 작곡가"라고 불렀다. 2011년, 곳월드는 맥스 마틴과 함께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 《Femme Fatale》의 공동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2012년 3월 3일로 끝나는 주에 곳월드가 공동 프로듀싱한 케이티 페리의 "Part of Me"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로 데뷔한 20번째 곡이 되었다. 그는 또한 페리의 싱글 "Wide Awake"를 프로듀싱했는데, 이 곡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위를 기록했으며 미국 팝 에어플레이 차트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2.4.2. 최근 활동 (도자 캣, 니키 미나지 등)
케샤와의 소송 이후 곳월드는 대중 앞에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았다. 2017년 4월 기준으로 그는 더 이상 소니 뮤직 웹사이트에 등재되지 않았으며, 그 달 말에는 케모세이베 레코드의 CEO 자리에서도 물러났다고 발표되었다. 같은 해, 곳월드는 '메이드 인 차이나'라는 예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트레이 송즈, 니요, 빅 보이 등의 아티스트들을 위해 곡을 프로듀싱했다. 2017년, 곳월드는 독일의 싱어송라이터 킴 페트라스의 작곡 및 프로듀싱을 시작했다. 그는 또한 도자 캣의 두 번째 앨범 《Hot Pink》(2019)에 5곡을 프로듀싱했으며, 이 중 "Say So"는 1위를 기록했다.
2021년, 곳월드는 리퍼블릭 레코드의 임프린트인 아미고 레코드를 설립했으며, 현재까지 킴 페트라스, 빅 보스 베트(Big Boss Vette영어), 조이 올라도쿤을 영입했다. 같은 해, 그는 라토의 "Big Energy"를 작곡하고 프로듀싱했으며, 이 곡은 2022 BET 힙합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했다. 2022년에는 니키 미나지의 1위 곡 "Super Freaky Girl"을 프로듀싱했다. 곳월드는 2023년에도 도자 캣 등과의 협업을 포함하여 계속해서 음악을 프로듀싱했으며, 5월에는 ASCAP 팝 음악 시상식에서 다시 올해의 작곡가상을 수상했다.
2.5. 음반사 설립 및 운영
곳월드는 케모세이베 레코드와 아미고 레코드를 설립했다. 케모세이베 레코드에는 케샤, 도자 캣, 베키 G, 주시 J, R. 시티, 릴 비비 등의 아티스트들을 영입했다. 2021년 설립된 아미고 레코드에는 킴 페트라스, 빅 보스 베트(Big Boss Vette영어), 조이 올라도쿤 등을 영입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곡을 위한 카즈 머니 퍼블리싱(Kasz Money Publishing영어)과 다른 작곡가들을 고용하는 프리스크립션 송즈(Prescription Songs영어)라는 두 개의 출판사를 소유하고 있다.
2.6. 예명 및 기타 활동
곳월드는 닥터 루크(Dr. Luke영어)라는 가장 잘 알려진 예명 외에도 타이슨 트랙스(Tyson Trax영어)와 2017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영어) 등의 예명을 사용했다.
3. 음악적 스타일 및 영향력
닥터 루크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팝 음악을 프로듀싱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히트곡 자판기"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수많은 히트곡을 배출했다. 빌보드는 그를 2000년대 최고의 프로듀서 중 한 명으로 선정했으며, 그의 작업은 다양한 음악 산업 상을 통해 인정받았다. 그는 대중음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프로듀서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4. 법적 분쟁: 케샤와의 소송
2014년 10월, 케샤는 곳월드를 상대로 성폭행 및 폭행, 성희롱, 성폭력, 민사상 괴롭힘, 캘리포니아 불공정 사업 관행법 위반, 고의적 및 과실적 정신적 고통 유발, 과실적 고용 및 감독 등의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곳월드는 이에 대해 케샤의 소송이 케샤, 그녀의 어머니, 그리고 새로운 매니지먼트 회사가 계약 해지를 강요하기 위한 시도라고 주장하며 계약 위반 및 명예훼손으로 반소를 제기했다.
2016년 8월 2일, 캘리포니아 법원은 케샤가 제기한 성폭행 관련 소송을 기각했다. 당시 닥터 루크에게 성적 학대를 당한 적이 없다고 부인한 케샤의 증언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2023년 6월, 재판이 예정되기 한 달 전 법정 밖에서 합의로 종결되었다. 합의 당시 케샤와 곳월드는 공동 성명을 발표하며 서로에게 행운을 빌었다. 곳월드는 여전히 혐의를 부인했지만, 케샤는 그날 밤의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없다고 말했다. 소송 이후 곳월드는 대중 앞에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았으며, 2017년 4월에는 소니 뮤직 웹사이트에서 그의 이름이 삭제되고 케모세이베 레코드의 CEO 자리에서도 물러났다고 발표되었다.
5. 개인 생활
곳월드는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났으며, 유대인이다. 그의 아버지 야누슈 예지 곳월드(Janusz Jerzy Gottwald영어)는 폴란드 우아스크 출신의 건축가였다. 그 외에 공개적으로 알려진 그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다.
6. 수상 및 후보 목록
곳월드는 그의 음악적 업적을 인정받아 다양한 주요 음악 시상식에서 수상 및 후보로 지명되었다.
| 연도 | 시상식 | 부문 | 결과 | 비고 |
|---|---|---|---|---|
| 2011 | 그래미 어워드 | 올해의 프로듀서 (비클래식) | 후보 | |
| 2011 | 그래미 어워드 | 올해의 앨범 (Teenage Dream) | 후보 | |
| 2014 | 그래미 어워드 | 올해의 노래 ("Roar") | 후보 | |
| 2014 | 그래미 어워드 | 올해의 프로듀서 (비클래식) | 후보 | |
| 2021 | 그래미 어워드 | 올해의 레코드 ("Say So") | 후보 | |
| 2022 | 그래미 어워드 | 올해의 앨범 (Planet Her (Deluxe)) | 후보 | |
| 2022 | 그래미 어워드 | 올해의 노래 ("Kiss Me More") | 후보 | |
| 2022 | 그래미 어워드 | 최우수 랩 노래 ("Best Friend") | 후보 | |
| 2010 | ASCAP 팝 음악상 | 올해의 작곡가 | 수상 | |
| 2011 | ASCAP 팝 음악상 | 올해의 작곡가 | 수상 | |
| 2023 | ASCAP 팝 음악상 | 올해의 작곡가 | 수상 | |
| 2021 | 아이하트라디오 뮤직 어워드 | 올해의 프로듀서 | 후보 |
7. 평가 및 논란
닥터 루크는 상업적인 성공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케샤와의 법적 분쟁으로 인해 상당한 비판과 논란에 직면했다.
7.1. 상업적 성공
닥터 루크는 대중음악계에서 "히트곡 자판기"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11년 1월 기준으로 그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1개의 Top 40 싱글을 기록하며 차트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은 히트곡을 낸 프로듀서로 기록되었다. 빌보드는 그를 2000년대 최고의 프로듀서 중 한 명으로 선정했으며, ASCAP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그리고 2023년에 그에게 올해의 프로듀서 및 작곡가 상을 수여하며 그의 업적을 인정했다. 그의 곡들은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판매고를 올리며 팝 음악 트렌드를 이끌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7.2. 비판 및 논란
닥터 루크의 경력에서 가장 큰 논란은 케샤와의 법적 분쟁이다. 케샤는 그를 상대로 성폭행, 성희롱, 정신적 학대 등 심각한 혐의를 제기했으며, 이는 대중과 음악 산업 전반에 큰 충격을 주었다. 비록 2016년 법원이 케샤의 성폭행 관련 소송을 기각하고 2023년 합의로 사건이 종결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은 그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소송 이후 그는 대중적 노출을 줄였고, 소니 뮤직과의 관계가 종료되고 케모세이베 레코드 CEO 자리에서 물러나는 등 경력에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논란은 예술가의 책임과 권력 관계 내에서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중요한 사회적, 윤리적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8. 관련 항목
- 케샤
- 맥스 마틴
- 케샤 대 닥터 루크
- 케이티 페리
- 브리트니 스피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