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황충(黃忠황중중국어, ?~220년)은 중국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촉한에 이르는 시기의 저명한 군인으로, 자는 한승(漢升한승중국어)이다. 그는 초기에 유표 휘하에서 중랑장으로 복무했으며, 이후 조조의 통치 아래 장사 태수 한현의 부하로 있었다. 적벽 대전 이후 유비에게 귀순하여 그의 휘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황충은 익주 정벌과 한중 공략에서 뛰어난 무용과 용맹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219년 정군산 전투에서 하후연을 격파하고 전사시킨 공적으로 명성을 떨쳤다. 이 공로로 그는 정서장군에 임명되었고, 이후 유비가 한중왕을 칭하며 관우, 장비, 마초와 함께 후장군에 오르며 관내후 작위를 받았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오호대장군 중 한 명으로 묘사되며, 노익장을 과시하는 뛰어난 궁술의 명수로 그려진다. 황충은 220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260년에 유선에 의해 강후(剛侯강후중국어)라는 시호를 받았다.
2. 생애
황충은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촉한에 걸쳐 활약한 장군으로, 유비 휘하에서 중요한 군사적 공적을 세웠다.
2.1. 초기 생애 및 배경
황충은 형주 남양군 사람으로, 현재의 허난성 난양시 일대에 해당한다. 그는 초기에 형주목 유표 휘하의 중랑장으로 임명되어, 유표의 조카 유반과 함께 장사군의 유현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208년, 유표가 사망하고 그의 후계자인 유종이 조조에게 형주를 항복시키자, 황충은 조조에 의해 임시 비장군으로 임명되어 이전의 직책을 유지하며 장사 태수 한현 휘하에서 복무를 이어갔다.
2.2. 유비 휘하 입단 및 익주 정벌
208년 적벽 대전에서 조조가 패배한 후, 승리한 유비와 손권 연합군은 장사를 포함한 형주 남부의 여러 군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장사 태수 한현이 유비에게 항복하면서 황충은 유비의 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212년부터 214년까지 유비가 익주를 정벌하는 과정에서 황충은 가맹에서 임무를 받아 유장을 공격하는 데 참여했다. 그는 항상 적진에 가장 먼저 돌격하여 함락시키는 용맹함을 보였으며, 그의 무용과 굳셈은 삼군에서 으뜸으로 평가받았다. 익주가 평정된 후, 황충은 토로장군으로 승진했다.
2.3. 한중 전역과 정군산 전투
217년, 유비는 조조가 점령하고 있던 한중군을 탈환하기 위한 한중 전역을 시작했다. 유비군은 양평관에서 하후연이 이끄는 조조군과 대치하며 1년 이상 교착 상태에 빠졌다. 219년 어느 날 밤, 유비는 정군산 기슭에 위치한 하후연의 진영 주변의 바리케이드에 불을 질렀다. 공격에 놀란 하후연은 장합을 동쪽 진영 방어에 보내고 자신은 남쪽을 지켰다. 유비의 주력군은 장합을 압도했고, 하후연은 자신의 병력 일부를 장합에게 지원 보냈다. 하후연의 병사들이 훨씬 더 노련했음에도 불구하고, 황충은 병사들을 독려하고 천둥 같은 북소리와 함성 속에서 하후연의 군대를 급습했다. 이 전투는 조조군이 크게 패주하는 결과로 이어졌고, 하후연은 황충에 의해 전사했다. 정군산에서의 승리는 한중을 점령하는 데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황충은 한중 전역에서의 공헌으로 정서장군으로 승진했다.
2.4. 주요 관직 및 봉호
219년, 유비는 자신을 "한중왕"으로 선포하고 황충을 후장군으로 임명하고자 했다. 이는 그를 관우, 장비, 마초 등 세 명의 다른 고위 장군들과 동등한 지위에 두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갈량은 유비에게 "황충의 명망은 본래 관우나 마초와 같은 부류가 아닙니다. 지금 그들을 동등한 지위에 두면, 장비와 마초는 가까이에서 황충의 공헌을 직접 보았으므로 아마 반대하지 않겠지만, 관우는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이 조치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라고 조언했다. 이에 유비는 "내가 직접 처리하겠다"고 답하며 비시를 형주로 보내 관우에게 그의 임명 소식을 알리도록 했다. 이후 유비는 네 장군 모두를 동등한 지위로 격상시켰고, 황충은 또한 관내후의 작위를 받았다. 260년 10월 또는 11월, 유선은 황충에게 "굳건한 후작"을 의미하는 "강후(剛侯강후중국어)"라는 시호를 추서했다.
3. 평가
진수는 《삼국지》에서 황충의 전기를 기록하며 그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황충과 조운은 강하고 맹렬한 용사들로, 마치 발톱과 이빨 같았다. 그들은 관영과 하후영의 후계자였던가?" 이는 황충과 조운의 용맹함과 군사적 중요성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이광지는 황충이 하후연을 죽인 것을 관영이 항우를 죽인 것에 비견하기도 했다. 또한, 《계한보신찬》에서는 황충을 "의리에 두터운 장사"로 묘사하며 그의 인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4.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나관중의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황충은 삼국 시대 전후의 역사적 사건들을 낭만적으로 각색하여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소설 속에서 황충은 219년 한중 전역에서 유비가 승리한 후 오호대장군 중 한 명으로 임명된다. 소설에서 황충은 노년의 전사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궁술 실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4.1. 소설 속 주요 활약
소설 속에서 황충은 60세가 넘은 노장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궁술 실력을 선보이며, 적장을 일기토로 쓰러뜨리는 장면이 자주 묘사된다. 노년에도 불구하고 용맹하고 과감한 활약을 보여 오호대장군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한다.
관우가 이끄는 유비군이 장사를 공격할 때, 황충은 한현의 부하로서 이에 맞서 싸운다. 관우와의 일기토에서 호각으로 싸우지만, 말이 발을 헛디뎌 위기에 처한다. 이때 관우는 황충의 무용을 인정하며 "그대의 목숨을 잠시 맡겨두겠다. 어서 말을 바꿔 싸움으로 돌아오라"고 말하며 그를 살려준다. 이에 은혜를 느낀 황충은 재대결 시 관우의 투구 끈에 화살을 명중시켜 관우의 목숨을 빼앗지 않고 물러나게 한다. 그러나 한현은 황충이 적군과 내통했다고 의심하여 그를 체포하고 처형하려 한다. 이때 위연이 반란을 일으켜 한현을 살해하고 성문을 열어주면서 황충은 처형을 면한다. 이후 황충은 주군 한현에 대한 충성을 지켜 병을 핑계로 누구와도 만나지 않지만, 유비가 직접 찾아와 자신을 도와달라고 요청하자 유비의 신망과 인덕을 인정하고 저항한 것을 사죄하며 충성을 맹세한다.
한중 공략전에서는 같은 노장인 엄안과 짝을 이루어 활약하며 장합과 하후상을 격파하고, 한현의 동생으로 설정된 한호를 죽인다. 이후 정군산에서 하후연을 죽이고 한중 평정 후 오호대장군 중 한 명으로 추대된다. 관우가 황충을 노장이라며 무시하고 동등한 대우를 싫어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과 동일하게 묘사된다.
역사적으로는 220년에 사망했지만, 《삼국지연의》에서는 이릉 대전에도 참전한다. 이 전투 중 유비가 관흥과 장포 같은 젊은이들을 칭찬하며 노병을 경시하는 발언을 하자, 황충은 분기하여 부하 수십 명을 이끌고 오나라의 반장 진영으로 돌격한다. 그러나 결국 마충의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사망한다. 유비는 "내가 서운한 말을 하여 그대가 이런 일을 겪게 되었다"며 사죄했고, 황충은 유비가 지켜보는 가운데 75세의 나이로 숨을 거둔다.
오늘날 중국에서는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활발하고 정력적인 사람을 《삼국지연의》에 묘사된 황충의 이미지에서 따와 "노황충(老黃忠라오황중중국어)"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5. 개인 생활

황충에게는 황서(黃叙황서중국어)라는 아들이 있었으나, 그가 일찍 죽어 후사가 없었다. 황충의 무덤은 청나라 시대인 1825년 청두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무덤은 보수되었고 그 옆에는 그를 기리는 사당이 세워졌다. 그러나 사당, 동상, 현판, 그리고 무덤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심하게 훼손되었고 관은 비워졌다.
6. 사망 및 사후
황충은 22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사망 원인은 역사 기록에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일부 자료에서는 병사했다고 언급하기도 하고, 다른 자료에서는 전투 중 전사했다고 추정하기도 하지만, 이는 《삼국지연의》의 영향일 가능성이 크다. 260년 10월 또는 11월, 유선은 황충에게 "굳건한 후작"이라는 의미의 "강후(剛侯강후중국어)"라는 시호를 추서했다.
7. 대중문화에서의 황충
황충은 현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거나 기념되고 있다.
- 비디오 게임**: 황충은 코에이에서 제작한 비디오 게임 시리즈 《진·삼국무쌍》, 《결전 2》, 《무쌍 오로치》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또한, 캡콤이 제작한 오리지널 패밀리 컴퓨터 게임 《천지를 먹다》와 《토탈 워: 삼국》에서도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토탈 워: 삼국》에서는 유표 세력의 장수로 등장한다.
- 카드 게임**: 카드 게임 《매직 더 개더링》의 삼국지 포털 에디션에 "황충, 촉 장군"이라는 카드로 등장한다.
- 청소년 단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 위치한 중국-캐나다 청소년 단체이자 전통 중국 문화 예술을 전문으로 하는 무술 클럽인 혼싱 애슬레틱 클럽(雲高華漢升體育會)은 1939년에 설립되었으며, 황충의 자인 한승(漢升한승중국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 오버워치**: 비디오 게임 《오버워치》의 캐릭터 한조의 잠재적 스킨 중 하나로 "황충"이 있다. 이 스킨은 2019년 중국 설날 이벤트 "돼지의 해"의 일환으로 출시되었다.
- 스타 트렉 소설**: 데이턴 워드의 《스타 트렉》 소설 《That Which Divides》에 등장하는 아처급 정찰선 중 하나가 USS 황충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