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호아킴 로드리게스 올리베르(Joaquim Rodríguez Oliver)는 1979년 5월 12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난 전직 도로 자전거 선수이다. 그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ONCE, 소니에르 뒤발-프로디르(Saunier Duval-Prodir), 케스 데파르뉴(Caisse d'Epargne), 카투샤(Katusha) 팀에서 활약하며 세계 사이클링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로드리게스는 특히 짧고 가파른 오르막에서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는 독특한 경기 스타일로 '프리토'(Purito스페인어, '작은 시가'라는 뜻)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그랜드 투어에서 14번의 스테이지 우승과 5번의 종합 포디움(2위 2회, 3위 3회)을 기록했으며, 지로 디 롬바르디아 2회 우승, 플레쉬 왈론 우승 등 주요 클래식 레이스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2010년, 2012년, 2013년에는 UCI 월드 랭킹 1위에 오르며 꾸준한 기량을 선보였고, 선수 생활 내내 약물 논란 없이 깨끗한 경력을 유지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은퇴 후에는 산악자전거 경기에 참여하고 자신의 팀을 창단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호아킴 로드리게스 올리베르의 어린 시절은 사이클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다. 그의 가족 배경과 성장 환경은 그가 세계적인 사이클 선수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1. 출생과 가족
로드리게스는 1979년 5월 12일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1960년대에 아마추어 사이클 선수로 활동했던 경력이 있어, 로드리게스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사이클 문화를 접하며 성장했다.
2.2. 어린 시절과 성장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난 후, 로드리게스는 파레츠 델 바예스(Parets del Vallès)에서 생활했다. 이후 그는 바스크 자치주로 이주하여 프로 사이클 팀인 ONCE와 연계된 아마추어 팀인 이베르드롤라(Iberdrola)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며 프로 데뷔를 위한 기반을 다졌다.
3. 별명 '프리토'
로드리게스는 프로 펠로톤에서 '프리토'(Purito스페인어, '작은 시가'라는 뜻)라는 독특한 별명으로 불렸다. 이 별명은 그의 상징적인 경기 스타일과 관련된 재미있는 일화에서 유래했다.
3.1. 별명의 유래
'프리토'라는 별명은 로드리게스가 프로 선수로 데뷔한 첫해, ONCE 팀의 시즌 초 훈련 캠프에서 얻게 되었다. 당시 동료 선수들이 작은 언덕을 오르며 힘들어할 때, 로드리게스는 마치 시가를 피우는 듯한 손동작을 취하며 가볍게 그들을 추월했다. 이는 그가 언덕을 오르는 데 전혀 힘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과시하는 듯한 제스처였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동료들에게 환영받지 못했고, 그날 저녁 동료들은 일종의 신고식으로 로드리게스에게 진짜 시가를 피우게 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 사건 이후 그는 '프리토'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고, 이는 그의 뛰어난 오르막 실력을 상징하는 별명으로 자리 잡았다.
4. 프로 경력
로드리게스의 프로 사이클링 경력은 2001년부터 2016년까지 다양한 팀을 거치며 수많은 주요 대회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기록했다. 그는 꾸준함과 폭발적인 오르막 실력을 바탕으로 세계 정상급 선수로 군림했다.
4.1. 경력 개요 및 팀 변동
로드리게스는 2000년 후반 ONCE 팀의 수습 선수(stagiaire)로 활동한 후, 2001년 정식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 ONCE (2001-2003): 프로 데뷔 첫 해인 2001년, 그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에스칼라다 아 몬주익(Escalada a Montjuïc)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에는 파리-니스 6스테이지에서 우승했으며, 카탈루냐 투어와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 팀 타임 트라이얼(TTT) 스테이지 우승에 기여했다.
- 소니에르 뒤발-프로디르 (Saunier Duval-Prodir, 2004-2005): 2004년 소니에르 뒤발-프로디르 팀에 합류하여 카탈루냐에서 열리는 스테이지 레이스인 세트마나 카탈라나 데 시클리스모(Setmana Catalana de Ciclisme)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이듬해인 2005년에는 수비다 아 우르키올라(Subida a Urkiola)에서 우승하고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 산악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또한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과 부엘타 아 부르고스에서 각각 2위를 기록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 케스 데파르뉴 (Caisse d'Epargne, 2006-2009): 2006년 케스 데파르뉴 팀으로 이적한 후, 파리-니스 5스테이지에서 우승했다. 2007년에는 스페인 로드 레이스 내셔널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국가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고, 클라시카 프리마베라(Klasika Primavera)와 프루에바 빌라프랑카 데 오르디시아(Prueba Villafranca de Ordizia)에서도 우승했다. 2008년에는 티레노-아드리아티코 3스테이지의 몬텔루포네(Montelupone) 언덕에서 우승했는데, 이 언덕은 경사도가 20%를 넘는 구간이 있어 많은 선수들이 자전거에서 내려 끌고 가거나 지그재그로 올라야 했지만, 로드리게스는 거의 직선으로 힘차게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같은 해 암스텔 골드 레이스, 플레쉬 왈론,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 모두 8위를 기록했으며, 부엘타 아 에스파냐 종합 6위로 시즌을 마쳤다. 2009년에는 티레노-아드리아티코 몬텔루포네 스테이지에서 다시 우승했고,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 2위를 차지했다. 시즌 후반에는 부엘타 아 부르고스 스테이지 우승, 부엘타 아 에스파냐 종합 7위, 그리고 스위스 멘드리시오(Mendrisio)에서 열린 세계 로드 레이스 챔피언십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 카투샤 (Katusha, 2010-2016): 2010년 러시아 팀 카투샤로 이적하며 투르 드 프랑스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 2010년: 시즌 초 카탈루냐 투어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GP 미겔 인두라인(GP Miguel Induráin)에서도 우승했다. 바스크 투어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한 스테이지 우승을 추가했다. 플레쉬 왈론에서는 캐델 에반스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투르 드 프랑스에서는 멘데(Mende) 언덕 피니시 스테이지에서 우승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종합 8위로 대회를 마쳤다.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 5위, 부엘타 아 에스파냐 종합 3위를 기록하며 페냐 카바르가(Peña Cabarga) 스테이지에서 우승했다. 그는 스테이지 17의 개인 타임 트라이얼 전까지 리더 자리를 지켰으나, 빈첸초 니발리에게 선두를 내주었다. 이 해 UCI 월드 랭킹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10년 투르 드 프랑스 팀 발표회에 참석한 로드리게스 - 2011년: 바스크 투어에서 스테이지 우승을 차지했으며, 암스텔 골드 레이스와 플레쉬 왈론에서 모두 필립 질베르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지로 디탈리아에서는 종합 5위를 기록했고, 크리테리움 뒤 도피네(Critérium du Dauphiné)에서는 르 콜레 달레바르(Le Collet d'Allevard)와 라 투수이르(La Toussuire) 스테이지에서 우승하며 포인트 및 산악왕 타이틀을 획득, 종합 5위를 기록했다. 시즌 후반의 주요 목표였던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 발데페냐스 데 하엔(Valdepeñas de Jaén)과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San Lorenzo de El Escorial) 스테이지에서 우승하며 리더 저지를 입었지만, 결국 종합 19위로 대회를 마쳤다.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 4위, 부엘타 아 부르고스 종합 우승(스테이지 우승 포함)을 차지했으며, 지로 디 롬바르디아에서 3위를 기록했다.
2011년 크리테리움 뒤 도피네에 출전한 로드리게스 - 2012년: 4월 18일 벨기에에서 열린 플레쉬 왈론에서 뮈르 드 위(Mur de Huy) 언덕을 멋지게 오르며 우승했다. 바스크 투어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 지로 디탈리아에서는 두 스테이지에서 우승하고 최종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 라이더 헤셰달에게 16초 차이로 역전을 허용하며 종합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포인트 부문에서는 마크 캐번디시를 1점 차이로 제치고 우승했다.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는 3스테이지에서 알레한드로 발베르데에게 아쉽게 우승을 놓쳤지만, 4스테이지에서 선두를 차지하여 16스테이지까지 리더 저지를 유지했다. 6, 12, 14스테이지에서 우승하며 강력한 모습을 보였으나, 17스테이지에서 알베르토 콘타도르의 공격에 대응하지 못하고 종합 3위로 밀려났다. 이후 지로 디 롬바르디아에 출전하여 거센 비와 10 °C의 추운 날씨 속에서 빌라 베르가노(Villa Vergano) 언덕에서 공격하여 단독으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우승했다. 이 우승으로 그는 UCI 월드 투어 종합 1위를 확정 지었다.
2012년 지로 디탈리아에서 핑크 저지(종합 선두)를 입은 로드리게스(오른쪽) - 2013년: 투어 오브 오만 4스테이지 우승 및 종합 4위, 티레노-아드리아티코 5스테이지 우승 및 종합 5위를 기록했다. 카탈루냐 투어와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 모두 댄 마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투르 드 프랑스에서는 초반에는 조용했지만, 15스테이지 몽 방투에서 4위를 기록하며 상위권에 진입했다. 이후 오르막 타임 트라이얼 스테이지에서 3위를 기록했고, 알프 듀에즈 스테이지에서 5위를 차지하며 크리스 프룸과의 격차를 줄였다. 산악 스테이지인 20스테이지에서 나이로 퀸타나에 이어 2위를 기록하며 최종 종합 3위로 포디움에 올랐다.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는 19스테이지에서 우승했지만, 종합 4위를 기록하며 크리스 호너에게 3분 이상 뒤처졌다. 세계 로드 챔피언십에서는 마지막 1km에서 루이 코스타에게 잡히며 우승을 놓치고 2위를 차지했다. 일주일 후 지로 디 롬바르디아에서 빌라 베르가노 언덕에서의 완벽한 공격으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챔피언십에서의 아쉬움을 씻어냈다. 이 해에도 UCI 월드 투어 종합 1위를 달성했다.
- 2014년: 시즌 첫 대회인 투어 데 산 루이스에서는 71위를 기록하며 산악 구간에서 큰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후 두바이 투어와 투어 오브 오만에 참가하여 크리스 프룸, 티제이 반 가더렌, 리고베르토 우란에 이어 종합 4위를 기록했다. 4년 만에 티레노-아드리아티코를 건너뛰고 테네리페섬의 테이데산에서 아르덴 클래식(Ardennes Classics)을 준비했다. 이후 카탈루냐 투어에 복귀하여 3스테이지 우승과 함께 개인 통산 두 번째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지로 디탈리아 6스테이지에서 심각한 낙차 사고로 갈비뼈 골절과 엄지손가락 골절을 당하며 기권했다.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는 종합 4위로 포디움 진입에 실패했다.
2014년 투르 드 프랑스에 출전한 로드리게스 - 2015년: 시즌을 다소 늦게 시작하여 티레노-아드리아티코 종합 13위를 기록했다. 바스크 투어 산악 3스테이지에서 나이로 퀸타나와 세르히오 에나오를 제치고 우승했으며, 다음 날 퀸 스테이지에서도 우승했다. 최종 타임 트라이얼에서 종합 2위를 기록하며 세르히오 에나오를 13초 차이로 제치고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아르덴 클래식 중 플레쉬 왈론에서 4위를 기록했고,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는 알레한드로 발베르데와 줄리앙 알라필리페에 이어 3위를 차지하며 포디움에 올랐다. 투르 드 프랑스에서는 뮈르 드 위(Mur de Huy) 언덕 정상에서 3스테이지 우승을 차지했으며, 플라토 드 베유(Plateau de Beille) 정상에서 열린 12스테이지에서도 우승하며 개인 통산 첫 투르 드 프랑스 산악 스테이지 우승을 기록했다.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는 15스테이지에서 우승하고 16스테이지 이후 리더 저지를 입었지만, 결국 종합 2위로 대회를 마쳤고 콤비네이션(복합) 분류 우승을 차지했다. 이 해 UCI 월드 투어 종합 2위를 기록했다.
2015년 투르 드 프랑스에 출전한 로드리게스 - 2016년: 시즌 초반 질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바스크 투어에서 5위를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투르 드 프랑스에서는 종합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했으며, 피레네 산맥의 첫 스테이지 이후 종합 3위를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투르 드 프랑스 첫 휴식일에 시즌 종료 후 은퇴를 발표하며 2016 리우 올림픽과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 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대회 2주차에 성적이 다소 하락하여 종합 12위로 밀려났으나, 마지막 주에 다시 힘을 내어 악천후 속에서 열린 모르진(Morzine) 산악 스테이지에서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며 최종 종합 7위로 대회를 마쳤다. 마지막 스테이지에서는 그의 마지막 투르 드 프랑스 출전을 기념하여 샹젤리제 거리에서 펠로톤을 이끄는 영예를 안았다. 투르 드 프랑스 이후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에서 4위를 기록하며 가장 공격적인 선수상을 수상했다. 이 대회는 스페인에서의 마지막 대회라고 밝히며 부엘타 아 에스파냐 불참을 시사했다. 리우 올림픽 도로 경기에서는 첫 올림픽 출전에서 5위를 기록했으며, 경기 직후 즉시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9월에는 카투샤 팀과의 계약이 12월 31일까지 유효하여 트리티코 디 아우툰노(Trittico di Autunno) 클래식과 아부다비 투어에 출전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그는 트리티코 디 아우툰노의 세 대회 모두 완주하지 못했으며, 그의 마지막 경기는 지로 디 롬바르디아였다.
2016년 투르 드 프랑스에 출전한 로드리게스 - 바레인-메리다 (Bahrain-Merida): 2016년 10월, 로드리게스가 2017년 시즌에 바레인-메리다 팀에 합류하여 선수로 활동한 후 2018년부터는 팀 스태프에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그러나 로드리게스는 2016년 12월 다시 은퇴를 발표하며 2017년에는 선수로 뛰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후 그는 팀의 앰버서더(홍보대사)로 활동하게 되었다.
4.2. 주요 성과 및 업적
호아킴 로드리게스는 그의 프로 경력 동안 수많은 중요한 성과와 업적을 달성하며 세계 사이클링계의 정상급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4.2.1. 그랜드 투어 성과
로드리게스는 지로 디탈리아, 투르 드 프랑스, 부엘타 아 에스파냐 등 3대 그랜드 투어에서 꾸준히 상위권에 들며 14번의 스테이지 우승과 5번의 종합 포디움(2위 2회, 3위 3회)을 기록했다.
- 지로 디탈리아: 2012년 종합 2위를 차지하며 우승에 가장 근접했다. 당시 두 스테이지에서 우승하고 핑크 저지(종합 선두)를 입었으나, 최종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 아쉽게 선두를 놓쳤다. 2011년에는 종합 5위를 기록했다.
- 투르 드 프랑스: 2013년 종합 3위를 기록하며 포디움에 올랐다. 2010년에는 종합 6위, 2016년에는 종합 7위를 기록했다. 2010년 멘데(Mende) 스테이지와 2015년 뮈르 드 위(Mur de Huy) 및 플라토 드 베유(Plateau de Beille) 스테이지에서 각각 우승하며 총 3번의 스테이지 우승을 기록했다.
- 부엘타 아 에스파냐: 가장 뛰어난 성과를 보인 그랜드 투어로, 2015년 종합 2위, 2010년과 2012년에는 종합 3위를 기록했다. 그는 부엘타에서 총 14번의 스테이지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5년에는 산악왕 타이틀을, 2015년에는 콤비네이션(복합) 분류 우승을 차지했다. 리더 저지(레드 저지)를 여러 차례 입으며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4.2.2. 클래식 레이스 우승
로드리게스는 원데이 클래식 레이스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며 여러 차례 우승과 포디움에 올랐다.
- 지로 디 롬바르디아: 2012년과 2013년 두 번 연속으로 우승하며 이탈리아의 '낙엽의 레이스'라 불리는 지로 디 롬바르디아에서 강세를 보였다. 2011년에도 3위를 기록했다.
- 플레쉬 왈론: 2012년 뮈르 드 위(Mur de Huy) 언덕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과 2011년에는 2위를 기록했으며, 2015년에는 4위를 차지했다.
-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2009년과 2013년 두 차례 2위를 기록했으며, 2015년에는 3위를 차지하며 '모뉴먼트' 클래식에서의 강력함을 입증했다.
-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 2005년 2위, 2011년과 2014년 3위를 기록하며 스페인에서의 클래식 레이스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암스텔 골드 레이스: 2011년에 2위를 기록했다.
4.2.3. 스테이지 레이스 종합 우승
그랜드 투어 외의 다단계 스테이지 레이스에서도 로드리게스는 여러 차례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카탈루냐 투어: 2010년과 2014년 두 차례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3년에는 2위를 기록했다.
- 바스크 투어: 2015년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2년 2위, 2010년 3위를 기록했다.
- 부엘타 아 부르고스: 2011년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세트마나 카탈라나 데 시클리스모: 2004년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에스칼라다 아 몬주익: 2001년 종합 우승을 기록했다.
4.2.4. UCI 세계 랭킹 및 개인 수상
로드리게스는 꾸준한 성적을 바탕으로 개인적인 영예도 안았다.
- UCI 세계 랭킹/월드 투어 1위: 2010년, 2012년, 2013년 세 차례에 걸쳐 UCI 월드 랭킹 또는 UCI 월드 투어에서 종합 1위를 달성하며 세계 최고 선수임을 입증했다. 2015년에는 2위, 2011년에는 3위를 기록했다.
- 스페인 로드 레이스 내셔널 챔피언십: 2007년 도로 경기 부문에서 우승하며 스페인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 세계 로드 챔피언십: 2013년 2위(은메달), 2009년 3위(동메달)를 기록하며 세계 무대에서도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5. 경기 스타일 및 특징
호아킴 로드리게스는 독특하고 효과적인 경기 스타일로 유명했다. 그의 별명인 '프리토'가 상징하듯이, 그는 특히 짧고 가파른 오르막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폭발적인 힘을 자랑했다. 이러한 경사도 20%가 넘는 '격렬한 언덕'(激坂)에서도 그는 다른 선수들이 힘들어하는 것과 달리 마치 시가를 피우듯 여유로운 모습으로 질주하여 '격렬한 언덕의 남자'(激坂男)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의 경기 스타일은 단순히 오르막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로드리게스는 시즌 내내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는 안정감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2010년, 2012년, 2013년 세 차례에 걸쳐 UCI 세계 랭킹 1위를 달성한 것으로 입증된다. 또한 그는 선수 생활 내내 도핑 논란 없이 깨끗한 경력을 유지한 몇 안 되는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사이클링 스포츠의 청렴성을 지키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6. 은퇴 및 은퇴 이후 활동
로드리게스의 선수 생활은 은퇴 발표와 번복, 그리고 최종 은퇴에 이르는 다소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2016년 투르 드 프랑스 도중 첫 휴식일에 그는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그는 2016 리우 올림픽과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 출전한 후 은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르 드 프랑스에서는 최종 종합 7위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대회를 마쳤고, 마지막 스테이지에서는 그의 마지막 투르 드 프랑스 출전을 기념하여 샹젤리제 거리에서 펠로톤을 이끄는 영예를 안았다.
이후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에서 4위를 기록하며 스페인에서의 마지막 경기를 마쳤다고 선언했고, 리우 올림픽 도로 경기에서 5위를 차지한 직후 즉시 은퇴할 것이라고 재차 확인했다. 그러나 2016년 9월, 카투샤 팀과의 계약이 12월 31일까지 유효하다는 이유로 트리티코 디 아우툰노(Trittico di Autunno) 클래식과 아부다비 투어에 출전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그는 이 대회들에서 완주하지 못했으며, 지로 디 롬바르디아가 그의 마지막 프로 경기가 되었다.
2016년 10월, 그는 2017년 시즌부터 신생 팀인 바레인-메리다에 선수로 합류한 후 2018년부터 팀 스태프로 활동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은퇴를 번복하는 듯했다. 하지만 2016년 12월, 그는 최종적으로 2017년에는 선수로 뛰지 않겠다고 발표하며 현역 은퇴를 확정 지었다.
선수 생활 은퇴 후, 로드리게스는 바레인-메리다 팀의 앰버서더(홍보대사)로 활동하며 사이클링계와의 인연을 이어갔다. 또한 그는 산악자전거 경기에 도전하여 자신의 산악자전거 팀인 안드뱅크-라 프리토(Andbank-La Purito)를 창단하고 활동했으며, 2019년에는 호세 안토니오 에르미다(José Antonio Hermida)와 함께 케이프 에픽(Cape Epic) 마스터스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7. 평가 및 유산
호아킴 로드리게스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이어진 그의 프로 경력 동안 꾸준함과 뛰어난 기량으로 현대 사이클링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짧고 가파른 오르막에서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는 독특한 경기 스타일로 '프리토'라는 별명을 얻으며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의 경력에서 가장 아쉬운 점은 그랜드 투어 종합 우승 문턱에서 번번이 좌절했다는 것이다. 지로 디탈리아에서 2위,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 2위 1회와 3위 2회, 투르 드 프랑스에서 3위를 기록하며 총 5번의 그랜드 투어 포디움에 올랐지만, 단 한 번도 종합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특히 2012년 지로 디탈리아와 2015년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는 최종 스테이지에서 아쉽게 역전을 허용하며 종합 우승을 놓쳤다. 하지만 이러한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랜드 투어에서 14번의 스테이지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그랜드 투어 외에도 로드리게스는 '모뉴먼트' 클래식인 지로 디 롬바르디아에서 2회 우승(2012, 2013)을 차지했으며, 플레쉬 왈론에서도 2012년 우승을 거두었다. 또한 카탈루냐 투어와 바스크 투어 등 주요 스테이지 레이스에서도 종합 우승을 기록하며 다재다능함을 보여주었다. 그의 꾸준함은 2010년, 2012년, 2013년 세 차례에 걸쳐 UCI 월드 랭킹 1위를 달성한 것으로 증명된다.
로드리게스는 선수 생활 내내 도핑 논란에 휩싸이지 않고 깨끗한 경력을 유지한 몇 안 되는 선수 중 한 명으로, 이는 그의 유산에 중요한 긍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그는 스페인 사이클링에 큰 기여를 했으며, 그의 공격적인 오르막 스타일과 꾸준한 성적은 많은 후배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은퇴 후에도 산악자전거 활동과 팀 앰버서더 역할을 통해 사이클링계에 대한 애정을 이어가고 있다.
7.1. 상세 성적 타임라인
이 섹션에서는 호아킴 로드리게스의 주요 대회별 종합 순위 및 결과에 대한 상세한 타임라인을 제공한다.
7.1.1. 그랜드 투어 종합 순위 타임라인
그랜드 투어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지로 디탈리아 | 80 | - | - | - | 80 | - | - | 17 | DNF | - | 4 | 2 | - | DNF | - | - |
투르 드 프랑스 | - | - | - | - | - | - | - | - | - | 6 | - | - | 3 | 54 | 29 | 7 |
부엘타 아 에스파냐 | - | - | 26 | 42 | 37 | 17 | - | 6 | 7 | 3 | 19 | 3 | 4 | 4 | 2 | - |
7.1.2. 주요 스테이지 레이스 종합 순위 타임라인
레이스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파리-니스 | 33 | 22 | 22 | - | 30 | 42 | 10 | - | - | 6 | - | - | - | - | - | - |
티레노-아드리아티코 | - | - | - | 10 | - | - | - | 34 | 15 | - | 67 | 6 | 5 | - | 13 | 80 |
카탈루냐 투어 | - | DNF | 46 | 51 | - | 14 | - | - | - | 1 | - | - | 2 | 1 | - | 11 |
바스크 투어 | - | 62 | DNF | - | 12 | DNF | 9 | 27 | DNF | 3 | 11 | 2 | - | - | 1 | 5 |
투르 드 로망디 | - | - | - | DNF | - | 13 | 15 | - | - | - | - | - | - | - | - | - |
크리테리움 뒤 도피네 | - | - | - | - | - | - | - | - | - | - | 5 | - | 16 | - | 8 | DNF |
투르 드 스위스 | - | - | - | - | - | - | 17 | - | - | 9 | - | - | - | - | - | - |
7.1.3. 클래식 레이스 결과 타임라인
모뉴먼트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밀라노-산레모 | - | - | - | 111 | - | - | - | 58 | 132 | - | - | - | - | - | - | - |
투르 오브 플랜더스 | 선수 경력 동안 출전하지 않음 | |||||||||||||||
파리-루베 | ||||||||||||||||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 - | DNF | - | 70 | 24 | 12 | 75 | 8 | 2 | 41 | 26 | 15 | 2 | DNF | 3 | 8 |
지로 디 롬바르디아 | - | - | 32 | 20 | - | DNF | DSQ | 28 | DNF | DNF | 3 | 1 | 1 | 8 | - | DNF |
클래식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암스텔 골드 레이스 | - | - | DNF | - | 29 | 96 | 11 | 8 | 42 | DNF | 2 | 24 | DNF | DNF | 32 | DNF |
플레쉬 왈론 | - | - | - | 72 | 23 | 33 | 76 | 8 | 29 | 2 | 2 | 1 | 6 | 70 | 4 | 28 |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 | 54 | - | - | 30 | 2 | - | 54 | 12 | 33 | 5 | 3 | 8 | - | 3 | 5 | 4 |
밀라노-토리노 | - | - | 23 | 33 | - | - | - | 개최되지 않음 | 4 | 17 | 5 | - | DNF |
7.1.4. 주요 챔피언십 결과 타임라인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올림픽 | - | 개최되지 않음 | - | 개최되지 않음 | - | 개최되지 않음 | 5 | ||||||
세계 선수권 | - | - | 72 | 64 | 6 | 3 | - | - | 39 | 2 | 33 | DNF | - |
국가 선수권 | 7 | 7 | - | 1 | - | - | - | - | - | - | - | - | 37 |
- | 불참 |
---|---|
DNF | 완주 실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