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피렐라는 베네수엘라 트루히요주의 Valera에서 태어났다.
2. 프로 경력
호세 피렐라는 뉴욕 양키스와의 계약을 시작으로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며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KBO 리그, 멕시칸 리그, 그리고 고향인 베네수엘라 프로야구 리그를 두루 거쳤다.
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피렐라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뉴욕 양키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필라델피아 필리스 소속으로 활약했다. 주로 2루수와 외야수 포지션을 소화했다.
2.1.1. 뉴욕 양키스
피렐라는 2006년 7월 2일 뉴욕 양키스와 국제 자유 계약을 맺으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고, 당시 30.00 만 USD의 계약금을 받았다. 그는 2007년 루키 리그의 도미니칸 서머 리그 양키스에서 프로 데뷔를 했다.
2008년에는 루키 리그 걸프 코스트 리그 양키스, 2009년에는 A급 찰스턴 리버독스에서 뛰었다. 2010년에는 A+급 템파 양키스에서 130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52, 5홈런, 61타점, 30도루를 기록하며 주루 능력을 선보였다. 2011년과 2012년에는 AA급 트렌턴 썬더에서 활약했다. 2013년에는 트렌턴 썬더와 트리플-A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에서 뛰며 처음으로 트리플-A 무대에 진입했다. 트렌턴 썬더에서 124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72, 10홈런, 62타점, 18도루를 기록했다.
2014년 시즌은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에서 시작했으며, 130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305, 10홈런, 60타점, 15도루를 기록했다. 그는 리그에서 5번째로 높은 타율, 리그 최다인 87 득점, 리그 최다인 11개의 3루타를 기록했다. 시즌 중반과 시즌 후반 올스타로 선정되었고, MiLB.com 올스타에도 이름을 올렸다.
2.1.2. 메이저 리그 데뷔
2014년 9월 16일, 마틴 프라도의 부상으로 인해 뉴욕 양키스는 피렐라를 메이저 리그로 승격시켰다. 그는 9월 22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서 지명 타자 겸 9번 타자로 선발 출장하며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첫 타석에서 3루타를 기록했으며, 경기 중후반에는 단타를 추가하며 3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2014년 양키스 소속으로 7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333, 2개의 3루타, 3타점을 기록했다. 특히 9월 25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시즌 마지막 홈 경기에서 데릭 지터의 은퇴 타석을 위한 안타를 쳐냈는데, 그가 좌익수 방면 안타를 친 후 앤토안 리처드슨이 대주자로 교체되어 지터의 끝내기 안타로 결승 득점을 올렸다.

2.1.3. 2015 시즌
2015년 시즌에는 2루수 주전으로 기용될 가능성도 있었으나, 결국 스티븐 드루가 주전으로 자리 잡으면서 37경기 출장에 그쳤다. 그는 2015년 3월 22일 뉴욕 메츠와의 스프링 트레이닝 경기에서 중견수로 출전 중 외야 펜스에 부딪혀 뇌진탕을 겪었다. 이 부상으로 인해 그는 시즌을 7일 부상자 명단에서 시작했고, 일주일 후 15일 부상자 명단으로 옮겨졌다. 6월 7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경기에서 첫 메이저 리그 홈런을 기록했다. 18경기에서 타율 .256, 1타점을 기록한 후 6월 10일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로 강등되었다. 시즌 최종적으로 타율 .230, 1홈런, 5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수비에서는 2루수로 27경기에 출장하여 4개의 실책과 .952의 수비율을 기록했으며, 3경기에서는 외야수로 출전했다.
2.1.4.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5년 11월 11일, 피렐라는 마이너 리그 투수 로널드 에레라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했다. 2016년 시즌은 트리플-A 퍼시픽 코스트 리그 소속의 엘 파소 치와와스에서 시작했으며, 4월 22일 파드리스로 콜업되었다. 2016년 파드리스에서 15경기에 출장하여 9경기 2루수 선발, 1경기 우익수 선발로 나섰고, 5월 21일 양거비스 솔라테가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하자 엘 파소로 다시 강등되었다. 그는 아킬레스건 부상으로 6월에 시즌을 마쳤으며, 시즌 동안 마이너 리그에서 35경기밖에 뛰지 못했다. 원래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아킬레스건을 다쳤고, 이것이 시즌 내내 그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2016년 시즌 종료 후 논텐더 방출되어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으나, 12월 13일 파드리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으로 재계약했다.
2017년 시즌은 엘 파소에서 시작했으며, 181타석에서 타율 .331, 출루율 .387, 장타율 .635, 13홈런을 기록하는 맹타를 휘둘렀다. 파드리스는 6월 6일 피렐라를 메이저 리그로 승격시켰다. 그는 좌익수 포지션에 투입되어 타격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고, 8월에는 타순 3번 자리를 꿰찼다. 또한 개막전 좌익수였던 트래비스 얀코스키가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한 후에도 좌익수 자리를 유지했다. 9월 중순 손가락 염좌로 시즌을 마감했지만, 그는 파드리스 주전 선수들 중 타율, 출루율, 장타율에서 팀 내 최고를 기록했고, 행크 애런상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 2017년 그는 83경기에서 타율 .288, 출루율 .347, 장타율 .490, 10홈런, 40타점을 기록했으며, 72경기 외야, 7경기 2루수, 5경기 1루수, 1경기 3루수로 출장했다.

2018년 피렐라는 파드리스의 주전 선수로 시즌을 시작했지만, 시즌이 진행되면서 그의 출전 시간은 크게 줄어들었다. 그는 시즌 초 좌익수 주전으로 나섰으나, 5월에 프랜치 코르데로가 좌익수로 옮겨가면서 카를로스 아수아헤를 대신해 2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7월 1일 아수아헤가 엘 파소에서 다시 콜업되어 2루수로 복귀하자 피렐라는 더 이상 주전 포지션을 얻지 못했지만, 대타 및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계속 출장했다. 2018년 샌디에이고에서 146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49, 출루율 .300, 장타율 .345, 5홈런, 32타점을 기록했다.
2019년 피렐라는 트리플-A에서 시즌을 시작했으나, 4월 19일 메이저 리그로 콜업되었다. 그러나 5일 후 내복사근 염좌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엘 파소 소속으로 221타석에서 타율 .353, 출루율 .401, 장타율 .674, 18홈런을 기록했다. 7월 22일, 그는 지명 할당되었다. 2019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피렐라는 2루수로 127경기, 좌익수로 105경기, 1루수로 14경기, 우익수로 14경기, 3루수로 1경기에 출장했다.
2.1.5. 필라델피아 필리스
2019년 7월 27일, 파드리스는 피렐라를 현금을 받고 필라델피아 필리스로 트레이드했다. 필리스 산하 트리플-A 리하이 밸리 아이언피그스에서 121타석 동안 타율 .281, 출루율 .331, 장타율 .455, 4홈런, 14타점을 기록했다. 필리스 소속으로는 17타석에서 타율 .235, 출루율 .316, 장타율 .471, 1홈런, 2타점을 기록했다.
2.2. 일본 프로 야구 (NPB)
2019년 11월 2일, 피렐라는 일본 프로 야구 (NPB)의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계약을 맺었다. 2020년 6월 19일,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의 경기에서 1번 타자 겸 좌익수로 선발 출장하며 NPB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이 경기 1회 초 이마나가 쇼타를 상대로 우전 안타를 때려내 첫 안타를 기록했고, 9회 초 쿠니요시 유키를 상대로 중월 솔로 홈런을 터뜨려 첫 홈런과 타점을 동시에 기록했다. 9월 30일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열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는 6회 말 다나카 토요키를 상대로 2루 도루를 성공시키며 첫 도루를 기록했다.

2020년 시즌 히로시마에서 주로 좌익수로 뛰었으며, 시즌 전반기에는 1번 타자로, 후반기에는 6번 또는 7번 타자로 나섰다. 99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66, 출루율 .312, 장타율 .411, 11홈런, 34타점을 기록했다. 그의 11홈런은 팀 내 스즈키 세이야, 도바야시 쇼타에 이어 3번째로 높은 기록이었다. 여름 이후에는 나가노 히사요시가 좌익수를 맡으면서 1루수로도 출장했다. 11월 26일, 구단은 그와 크리스 존슨의 다음 시즌 계약을 체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며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3. KBO 리그
2020년 12월 16일, 피렐라는 KBO 리그의 삼성 라이온즈와 총 60.00 만 USD (연봉 및 계약금)에 계약했으며, 인센티브로 최대 20.00 만 USD를 추가로 받을 수 있었다. 그는 다니엘 팔카의 대체 외국인 타자로 영입되었다.
2021년 시즌, 그는 팀의 주력 선수로 140경기에 출장하여 158안타, 타율 .286, 29홈런, 97타점, OPS .854를 기록하며 팀의 선두 타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2021년 12월 16일, 피렐라는 2022년 시즌을 위해 삼성 라이온즈와 총 80.00 만 USD (연봉 및 계약금)에 재계약했으며, 인센티브로 최대 40.00 만 USD를 추가로 받을 수 있었다.
2022년 시즌에는 KBO 올스타로 선정되었고, 팀 최다인 28홈런과 109타점을 기록했다. 2022년 12월 7일, 그는 2023년 시즌을 위해 170.00 만 USD에 1년 재계약을 맺었다. 2023년에는 두 번째로 KBO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139경기에서 타율 .286, 출루율 .339, 장타율 .426, 16홈런, 80타점을 기록했으나, 시즌 종료 후 삼성 라이온즈와의 재계약에는 실패했다.
2.4. 멕시칸 리그
2024년 1월 26일, 피렐라는 멕시칸 리그의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와 계약을 맺었다. 그는 23경기에서 타율 .333, 출루율 .414, 장타율 .480, 2홈런, 11타점, 3도루를 기록했다. 팀과 함께 그는 세리에 델 레이 우승을 차지했다.
2.5. 베네수엘라 프로야구 리그
피렐라는 고국인 베네수엘라 프로야구 리그에서도 활약했다. 그는 2010년 아길라스 델 술리아에 입단했으며, 2013년 시즌 이후에도 이 팀에서 뛰었다. 2023년에는 아길라스 델 술리아로 복귀하여 활동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및 개인적 특성
피렐라는 주루, 타격, 수비 세 박자를 고루 갖춘 선수로 평가받는다.
3.1. 플레이 스타일
타격에서는 삼진율이 낮고 콘택트 능력이 우수한 중거리 타자로, 메이저 리그 시절 볼넷 비율 6.4%, 삼진율 19.9%를 기록했다. 수비에서는 1루수, 2루수, 3루수, 그리고 좌익수와 우익수 등 다양한 외야수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만능성을 가지고 있다. 주루에서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항상 전력 질주에 전념하는 특징이 있다.
3.2. 개인적 특성 및 평가
피렐라는 밝고 사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소속 당시 스프링 캠프에서부터 팀 동료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빠르게 친해졌다. 또한 타격 부진에 빠졌을 때 스스로 스즈키 세이야에게 조언을 구하는 등 향상심이 높다.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이 결정되었을 때, 히로시마 시절 팀 동료였던 나가노 히사요시는 삼성 라이온즈의 OB 선수인 이승엽에게 연락하여 피렐라를 "인간성도 실력도 훌륭한 선수"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의 별명은 스페인어로 검은 독수리를 뜻하는 아길라 네그라(Aguila Negra스페인어)이다. 그는 "항상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행복하게 지내는 것"을 좌우명으로 삼는다. 불리한 상황에서도 전력 플레이를 게을리하지 않는 등 투지 넘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히로시마 시절 시즌 종료 후 미국으로 돌아갈 때 히로세 준 코치와 주력 선수들이 히로시마역까지 배웅을 나올 정도로 동료들과의 관계가 좋았으며, "히로시마로 돌아오고 싶다. 그것이 가장 큰 희망이다"라고 말하기도 했으나, 결국 이루어지지 않았다.
4. 상세 정보
4.1.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구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2014 | NYY | 7 | 25 | 24 | 6 | 8 | 1 | 2 | 0 | 13 | 3 | 0 | 0 | 0 | 0 | 1 | 0 | 0 | 4 | 1 | .333 | .360 | .542 | .902 |
2015 | 37 | 78 | 74 | 7 | 17 | 3 | 0 | 1 | 23 | 5 | 1 | 0 | 1 | 1 | 2 | 0 | 0 | 16 | 4 | .230 | .247 | .311 | .588 | |
2016 | SD | 15 | 41 | 39 | 2 | 6 | 2 | 0 | 0 | 8 | 0 | 0 | 1 | 1 | 0 | 1 | 0 | 0 | 9 | 0 | .154 | .175 | .205 | .380 |
2017 | 83 | 344 | 312 | 43 | 90 | 25 | 4 | 10 | 153 | 40 | 4 | 3 | 1 | 2 | 27 | 0 | 2 | 71 | 8 | .288 | .347 | .490 | .837 | |
2018 | 146 | 473 | 438 | 54 | 109 | 23 | 2 | 5 | 151 | 32 | 6 | 3 | 0 | 2 | 30 | 1 | 3 | 89 | 10 | .249 | .300 | .345 | .645 | |
2019 | 2 | 5 | 5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3 | 1 | .000 | .000 | .000 | .000 | |
PHI | 12 | 19 | 17 | 1 | 4 | 1 | 0 | 1 | 8 | 2 | 0 | 0 | 0 | 0 | 2 | 0 | 0 | 4 | 0 | .235 | .316 | .481 | .786 | |
'19 총계 | 14 | 24 | 22 | 1 | 4 | 1 | 0 | 1 | 8 | 2 | 0 | 0 | 0 | 0 | 2 | 0 | 0 | 7 | 1 | .182 | .250 | .364 | .614 | |
2020 | 히로시마 | 99 | 337 | 316 | 47 | 84 | 9 | 2 | 11 | 130 | 34 | 2 | 3 | 0 | 0 | 19 | 2 | 2 | 53 | 4 | .266 | .312 | .411 | .723 |
2021 | 삼성 | 140 | 621 | 553 | 102 | 158 | 25 | 2 | 29 | 274 | 97 | 9 | 6 | 0 | 3 | 57 | 2 | 8 | 89 | 8 | .286 | .359 | .495 | .854 |
2022 | 141 | 630 | 561 | 102 | 192 | 33 | 4 | 28 | 317 | 109 | 15 | 5 | 0 | 2 | 55 | 12 | 12 | 81 | 19 | .342 | .411 | .565 | .976 | |
2023 | 139 | 605 | 557 | 66 | 159 | 28 | 1 | 16 | 237 | 80 | 6 | 4 | 0 | 2 | 42 | 5 | 4 | 69 | 20 | .285 | .339 | .425 | .764 | |
MLB 총계 (6년) | 302 | 985 | 909 | 113 | 234 | 55 | 8 | 17 | 356 | 82 | 11 | 7 | 3 | 5 | 63 | 1 | 5 | 196 | 24 | .257 | .308 | .392 | .699 | |
NPB 총계 (1년) | 99 | 337 | 316 | 47 | 84 | 9 | 2 | 11 | 130 | 34 | 2 | 3 | 0 | 0 | 19 | 2 | 2 | 53 | 4 | .266 | .312 | .411 | .723 | |
KBO 총계 (3년) | 420 | 1856 | 1671 | 270 | 509 | 86 | 7 | 73 | 828 | 286 | 30 | 15 | 0 | 7 | 154 | 19 | 24 | 239 | 7 | .305 | .370 | .496 | .866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 볼드체는 리그 최다 기록
4.2. 연도별 수비 성적
; 내야수비
연도 | 구단 | 1루수 | 2루수 | 3루수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4 | NYY | - | 4 | 4 | 7 | 1 | 2 | .917 | - | ||||||||||
2015 | - | 27 | 36 | 44 | 4 | 12 | .952 | - | |||||||||||
2016 | SD | - | 12 | 10 | 16 | 1 | 4 | .963 | - | ||||||||||
2017 | 5 | 29 | 0 | 1 | 6 | .967 | 7 | 2 | 9 | 0 | 1 | 1.000 | 1 | 0 | 2 | 0 | 0 | 1.000 | |
2018 | 9 | 22 | 2 | 0 | 0 | 1.000 | 77 | 99 | 158 | 7 | 34 | .973 | - | ||||||
2020 | 히로시마 | 9 | 70 | 2 | 1 | 4 | .986 | - | 2 | 1 | 3 | 1 | 1 | .800 | |||||
MLB 총계 | 14 | 51 | 2 | 1 | 6 | .981 | 127 | 151 | 234 | 13 | 53 | .967 | 1 | 0 | 2 | 0 | 0 | 1.000 | |
NPB 총계 | 9 | 70 | 2 | 1 | 4 | .986 | - | 2 | 1 | 3 | 1 | 1 | .800 |
; 외야수비
연도 | 구단 | 좌익수 | 우익수 | 외야수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5 | NYY | 2 | 1 | 1 | 0 | 0 | 1.000 | 1 | 1 | 0 | 0 | 0 | 1.000 | - | |||||
2016 | SD | - | 1 | 0 | 0 | 0 | 0 | .--- | - | ||||||||||
2017 | 68 | 117 | 5 | 3 | 2 | .976 | 4 | 3 | 0 | 0 | 0 | 1.000 | - | ||||||
2018 | 31 | 34 | 3 | 2 | 1 | .949 | 5 | 10 | 0 | 0 | 0 | 1.000 | - | ||||||
2019 | 1 | 1 | 0 | 0 | 0 | 1.000 | - | - | |||||||||||
PHI | 4 | 4 | 0 | 0 | 0 | 1.000 | - | - | |||||||||||
'19 총계 | 5 | 5 | 0 | 0 | 0 | 1.000 | - | - | |||||||||||
2020 | 히로시마 | - | - | 69 | 93 | 3 | 1 | 0 | .990 | ||||||||||
2021 | 삼성 | 38 | 61 | 2 | 0 | 1 | 1.000 | - | - | ||||||||||
2022 | 121 | 228 | 7 | 5 | 1 | .979 | 3 | 0 | 0 | 0 | 0 | - | |||||||
2023 | 99 | 171 | 6 | 1 | 0 | .994 | 19 | 32 | 0 | 1 | 0 | .970 | - | ||||||
MLB 총계 | 105 | 157 | 9 | 5 | 3 | .971 | 11 | 14 | 0 | 0 | 0 | 1.000 | - | ||||||
NPB 총계 | - | - | 69 | 93 | 3 | 1 | 0 | .990 |
- 2020년 시즌 종료 기준
4.3. 주요 기록
- 2014년 인터내셔널 리그 득점 1위 (87득점)
- 2014년 인터내셔널 리그 3루타 1위 (11개)
- 2017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행크 애런상 후보 지명
- 2020년 6월 19일: NPB 첫 출장, 첫 선발 출장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회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1번 타자 좌익수 선발)
- 2020년 6월 19일: NPB 첫 타석, 첫 안타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회전, 1회 초 이마나가 쇼타 상대 우전 안타)
- 2020년 6월 19일: NPB 첫 홈런, 첫 타점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회전, 9회 초 쿠니요시 유키 상대 중월 솔로 홈런)
- 2020년 9월 30일: NPB 첫 도루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7회전,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6회 말 2루 도루)
- 2022년 KBO 올스타전 선정
- 2023년 KBO 올스타전 선정
- 2024년 세리에 델 레이 우승 (소속팀: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4.4. 등번호
- 67 (2014년, 2019년 9월 6일 ~ )
- 38 (2015년 ~ 2015년 중반)
- 63 (2015년 중반 ~ 2015년 종료, 2021년 ~ 2023년)
- 17 (2016년)
- 2 (2017년 ~ 2019년 7월 21일)
- 10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