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호사카 쓰카사(保坂 司호사카 쓰카사일본어, 1937년 3월 3일 ~ 2018년 1월 21일)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 그리고 정치인이었다. 그는 선수 시절 후루카와 전기(현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에서 활약하며 천황배 우승에 기여했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FIFA 월드컵 예선, 아시안 게임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특히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는 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부상으로 출전이 좌절되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일본 축구 협회 기술지도위원과 고후 SC 감독을 역임하며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고향인 야마나시현에서 정치인으로 변모하여 야마나시현 의회 의원과 의장을 지냈으며, 참의원 선거에도 출마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2. 생애 초년 및 교육
호사카 쓰카사는 1937년 3월 3일 야마나시현 고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고후시 세키스이지 온천에 위치한 전통 료칸 '고유보 자보안'(古湯坊 坐忘庵)을 22대째 이어온 유서 깊은 집안이었다. 축구는 야마나시현립 고후 제일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시작했다. 처음에는 윙 포지션에서 뛰었으나, 이후 골키퍼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포지션 변경 후 같은 해에 열린 제9회 국민체육대회에서 준우승을 경험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메이지 대학으로 진학하여 메이지 대학 체육회 축구부에 소속되었고, 1학년 때부터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팀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키는 175 cm, 몸무게는 68 kg였다.
3. 선수 경력
호사카 쓰카사는 후루카와 전기에서 천황배 우승을 이끌며 클럽 경력을 쌓았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서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3.1. 클럽 경력
메이지 대학을 졸업한 후, 1959년 후루카와 전기(현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에 입단했다. 그는 후루카와 전기 소속으로 1960년, 1961년, 1964년에 걸쳐 세 차례 천황배 우승을 차지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실업팀으로서는 최초의 천황배 우승 기록이었다. 1965년에는 후루카와 전기가 새롭게 창설된 일본 축구 리그(JSL)에 참여하면서 그도 JSL 무대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그는 1968년에 현역에서 은퇴할 때까지 JSL에서 총 47경기에 출전했다. 또한 그는 고후 SC에서도 선수로 활약했다.
3.2. 국제 경력
1960년 11월, 호사카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1960년 11월 6일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1962년에는 아시안 게임에도 출전했다. 그는 1960년대 초반 일본 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64년에는 도쿄에서 열리는 하계 올림픽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어 주전으로 유력하게 거론되었다. 그러나 올림픽 직전 해외 원정에서 손을 골절하는 부상을 입어 결국 올림픽 출전이 좌절되었다. 대신 요코야마 겐조가 그의 자리를 대체했으며, 호사카는 팀의 예비 골키퍼로 남았다. 그는 1964년까지 일본 국가대표팀에서 총 19번의 국제 A매치에 출전하여 0골을 기록했다.
4. 선수 은퇴 후 경력
선수 은퇴 후 호사카 쓰카사는 축구 감독으로서 고향 팀을 이끌었으며, 지역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야마나시현 의회 의장까지 역임했습니다.
4.1.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 호사카는 일본 축구 협회의 기술지도위원으로 활동하며 일본 축구의 발전에 기여했다. 1973년부터 1977년까지는 자신의 고향 팀인 고후 SC(현 반포레 고후)의 감독을 맡았다. 그가 감독으로 재임하던 기간 동안 고후 SC의 리그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소속 리그 | 클럽 | 리그전 | 컵대회 | ||||||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JSL컵 | 천황배 | |||
1973 | JSL 2부 | 고후 SC | 준우승 | 18 | 26 | 12 | 2 | 4 | - | 예선 탈락 |
1974 | 5위 | 18 | 20 | 8 | 4 | 6 | - | |||
1975 | 7위 | 18 | 14 | 5 | 4 | 9 | - | |||
1976 | 8위 | 18 | 12 | 4 | 4 | 10 | 예선 탈락 | |||
1977 | 5위 | 18 | 32 | 6 | 2PK승 4PK패 | 6 | 예선 탈락 |
4.2. 정치 경력
축구계 활동 외에도 호사카는 정치 분야에 뛰어들어 야마나시현 지역 사회에 봉사했다. 그는 야마나시현 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이후에는 의장직까지 맡아 지역 정치의 중요한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1998년에 실시된 제18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 공천을 받아 야마나시현 선거구에 출마했다. 이 선거에서 그는 총 169,633표를 얻었으나, 183,721표를 얻은 민주당 소속의 오이시 아즈마에게 아쉽게 패배했다.
5. 개인사 및 사망
호사카 쓰카사는 전통 료칸의 후계자라는 독특한 개인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2018년 고향에서 폐렴으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5.1. 개인사
호사카 쓰카사는 가족의 가업인 고후시 세키스이지 온천의 전통 료칸 '고유보 자보안'의 22대 후계자였다. 정치 활동을 마친 후에는 이 료칸의 회장직을 맡아 운영에 참여하기도 했다.
5.2. 사망
2018년 1월 21일, 호사카 쓰카사는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위치한 야마나시현립 중앙병원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향년 80세였다.
6. 유산
호사카 쓰카사는 일본 축구 역사와 지역 정치에 걸쳐 다각적인 기여를 남겼다. 선수로서 그는 일본 축구 리그의 출범과 함께 실업 축구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주요 선수 중 한 명이었으며, 특히 천황배에서의 우승 기여는 일본 축구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비록 1964년 도쿄 올림픽 출전이 부상으로 무산되었지만, 당시 일본 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서 그의 존재감은 상당했다. 은퇴 후에는 일본 축구 협회 기술지도위원과 고후 SC 감독을 역임하며 후배 양성과 지역 축구 발전에 힘썼다. 또한 그는 야마나시현 의회 의원 및 의장으로서 지역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그의 삶은 스포츠와 공공 서비스라는 두 가지 다른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활동하며 일본 사회에 기여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7. 경력 통계
호사카 쓰카사의 선수 경력은 후루카와 전기에서의 클럽 활동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의 국제 경기 출전을 통해 기록되었으며, 이후 감독으로서도 고향 팀을 이끌었습니다.
7.1. 클럽 통계
일본 | 리그전 | - | 천황배 | 기간 통산 | |||||||
---|---|---|---|---|---|---|---|---|---|---|---|
연도 | 소속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1965 | 후루카와 | JSL | 47 | 0 | - | - | 47 | 0 | |||
1966 | - | - | |||||||||
1967 | - | - | |||||||||
1968 | - | - | |||||||||
총 통산 | 47 | 0 | - | - | 47 | 0 |
7.2. 국제 통계
호사카 쓰카사의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A매치 및 기타 경기 출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일본 국가대표팀 | ||||||
---|---|---|---|---|---|---|
연도 | 국제 A매치 출전 | 국제 A매치 득점 | 기타 경기 출전 | 기타 경기 득점 | 총 출전 | 총 득점 |
1960 | 1 | 0 | 2 | 0 | 3 | 0 |
1961 | 6 | 0 | 3 | 0 | 9 | 0 |
1962 | 6 | 0 | 5 | 0 | 11 | 0 |
1963 | 5 | 0 | 7 | 0 | 12 | 0 |
1964 | 1 | 0 | 6 | 0 | 7 | 0 |
1965 | 0 | 0 | 2 | 0 | 2 | 0 |
1966 | 0 | 0 | 0 | 0 | 0 | 0 |
1967 | 0 | 0 | 2 | 0 | 2 | 0 |
총계 | 19 | 0 | 27 | 0 | 46 | 0 |
그의 국제 A매치 경기별 출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60년 11월 6일 | 서울 | 대한민국 | 패 1-2 | 데트마르 크라머 (코치) | 월드컵 예선 | |
2. | 1961년 5월 2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말라야 | 승 3-2 | 다카하시 에이타쓰 | 국제 친선 경기 |
3. | 1961년 6월 11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대한민국 | 패 0-2 | 월드컵 예선 | |
4. | 1961년 8월 2일 | 쿠알라룸푸르 | 말라야 | 패 2-3 | 메르데카 대회 | ||
5. | 1961년 8월 6일 | 쿠알라룸푸르 | 인도 | 승 3-1 | 메르데카 대회 | ||
6. | 1961년 8월 10일 | 쿠알라룸푸르 | 남베트남 | 패 2-3 | 메르데카 대회 | ||
7. | 1961년 11월 2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유고슬라비아 | 패 0-1 | 국제 친선 경기 | |
8. | 1962년 8월 25일 | 인도네시아 | 태국 | 승 3-1 | 아시안 게임 | ||
9. | 1962년 8월 29일 | 인도네시아 | 인도 | 패 0-2 | 아시안 게임 | ||
10. | 1962년 8월 30일 | 인도네시아 | 대한민국 | 패 0-1 | 아시안 게임 | ||
11. | 1962년 9월 8일 | 쿠알라룸푸르 | 말라야 | 무 2-2 | 메르데카 대회 | ||
12. | 1962년 9월 15일 | 쿠알라룸푸르 | 버마 | 패 1-3 | 메르데카 대회 | ||
13. | 1962년 9월 21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패 1-2 | 국제 친선 경기 | ||
14. | 1963년 8월 8일 | 쿠알라룸푸르 | 말라야 | 승 4-3 | 나가누마 겐 | 메르데카 대회 | |
15. | 1963년 8월 10일 | 쿠알라룸푸르 | 태국 | 승 4-1 | 메르데카 대회 | ||
16. | 1963년 8월 12일 | 쿠알라룸푸르 | 남베트남 | 승 5-1 | 메르데카 대회 | ||
17. | 1963년 8월 13일 | 쿠알라룸푸르 | 대한민국 | 무 1-1 | 메르데카 대회 | ||
18. | 1963년 8월 15일 | 쿠알라룸푸르 | 중화 타이베이 | 패 0-2 | 메르데카 대회 | ||
19. | 1964년 3월 3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승 2-1 | 국제 친선 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