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노르웨이의 저명한 경제학자 핀 키들랜드(Finn Erling Kydland핀 에를링 키들란노르웨이어)는 경기변동 이론과 경제 정책의 시간 일관성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1943년 12월 1일 노르웨이 로갈란주 예스달의 올고르드에서 태어나,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와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한 학술 활동을 펼쳤습니다.
특히 키들랜드는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함께 실물 경기변동 이론(RBC)을 공동 개발하여 거시경제학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과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이 이론은 경기 변동의 주요 원인을 실물 충격에서 찾으며, 경제 정책 결정에 있어 정책 신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적 비일관성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여를 인정받아 그는 2004년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이후 거시경제학 모델링 및 경제 정책 수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 안정과 성장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 생애
2.1. 어린 시절 및 배경
핀 키들랜드는 1943년 12월 1일 노르웨이 남서부 로갈란주의 예스달에 위치한 예렌 농업 지역의 쉬욀란(Søyland)에 있는 가족 농장에서 6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나 성장했습니다. 그는 부모님이 자녀들에게 많은 제한을 두지 않는 자유로운 양육 환경에서 자랐다고 회고했습니다. 어린 시절 친구의 밍크 농장에서 부기 일을 하면서 수학과 경제학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2.2. 교육
이론 경제학에 대한 새로이 깨어난 관심으로 키들랜드는 1968년 노르웨이 경제대학(NHH)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1973년에는 미국의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분산형 거시경제 계획'(Decentralized Macroeconomic Planning영어)이었으며, 이 논문은 에드워드 프레스콧의 지도를 받았습니다.
2.3. 초기 경력 및 학술 활동 시작
박사 학위 취득 후 키들랜드는 모교인 노르웨이 경제대학(NHH)으로 돌아와 조교수로 재직했습니다. 1978년에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카네기 멜런 대학교의 부교수로 자리를 옮겼고, 이후 계속해서 미국에 거주하며 학술 연구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3. 주요 활동 및 업적
3.1. 학술 연구 및 저술
핀 키들랜드의 전문 분야는 일반 경제학과 정치경제학입니다. 그의 주요 교육 및 연구 관심 분야는 경기변동, 통화 정책, 재정 정책, 그리고 노동경제학입니다. 그는 또한 국제 거시경제학의 주요 난제 중 하나인 바커스-키호-키들랜드 역설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키들랜드는 수많은 중요한 학술 논문을 저술했으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Endogenous Money, Inflation, and Welfare영어, (공동 저자: Espen Henriksen), 《Review of Economic Dynamics》, 2010년 4월.
- Monetary Policy, Taxes, and the Business Cycle영어, (공동 저자: William Gavin, M. Pakko),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4(6), 2007년 9월; 1587-1611쪽.
- The Welfare Cost of Inflation in the Presence of Inside Money영어, (공동 저자: Scott Freeman, Espen Henriksen), 《Monteary Policy in Low-Inflation Econom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년.
- Quantitative Aggregate Theory영어, 《American Economic Review》, 2006년 (노벨상 수상 강연).
- Home Production Meets Time to Build영어, (공동 저자: Paul Gomme, Peter Ruper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2001년.
- Monetary Aggregate and Output영어, (공동 저자: Scott Freeman), 《American Economic Review》, 2000년.
- Endogenous Money Supply and the Business Cycle영어, (공동 저자: William Gavin), 《Review of Economic Dynamics》, 1999년.
- The Gold Standard as a Rule: An Essay in Exploration영어, (공동 저자: M. Bordo),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 1995년.
- Dynamics of the Trade Balance and the Terms of Trade: The J-Curve?영어, (공동 저자: D. Backus, P. Kehoe), 《American Economic Review》, 1994년.
- Intertemporal Preferences and Labor Supply영어, (공동 저자: V. Hotz, G. Sedlacek), 《이코노메트리카》, 1988년.
- Time to Build and Aggregate Fluctuations영어, (공동 저자: E. Prescott), 《Econometrica》 50, 1345-1371쪽, 1982년.
- Rules rather than discretion: The inconsistency of optimal plans영어, (공동 저자: E. Prescot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5, 473-490쪽, 1977년.
3.2. 실물 경기변동 이론 (RBC)
핀 키들랜드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함께 실물 경기변동 이론(Real Business Cycle Theory)을 창시한 것입니다. 이 이론은 1982년 키들랜드와 프레스콧이 공동으로 집필한 논문 '건설 기간과 총계 변동'(Time to Build and Aggregate Fluctuations영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1개 부문 최적 성장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경제에 가해지는 실물적 충격(예: 기술 충격)에 의해 경기가 변동할 때 대표적인 경제 주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키들랜드와 프레스콧은 기존에 화폐적 요인을 강조하던 경기변동 이론과 달리, 실물적 측면을 더욱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들은 경기 변동이 본질적으로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펼쳤는데, 이는 당시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그들이 사용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영어)이라는 수치 시뮬레이션 기법 또한 초기에 많은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부터는 케인스 학파의 논문에서도 유사한 기법이 사용될 정도로 널리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정태적인 분석 기법이 연립 방정식을 풀어 해의 거동을 분석하는 반면, 동태적인 분석 기법은 연립 미분 방정식을 풀어 해의 거동을 분석합니다. 그러나 동태적인 기법으로는 명시적인 해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실의 수치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분석 기법은 키들랜드와 프레스콧의 논문 이후 확고한 학술적 지위를 얻게 되었습니다.
3.3. 경제 정책의 시간 일관성
핀 키들랜드와 에드워드 프레스콧은 최적 경제 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dynamic inconsistency)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1977년 공동 논문 '재량보다는 규칙: 최적 계획의 비일관성'(Rules rather than discretion: The inconsistency of optimal plans영어)에서 그들은 정부가 단기적인 이익을 위해 장기적인 약속을 어길 유인이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이는 정책 입안자들이 현재 시점에서 최적이라고 판단한 정책이 미래 시점에서는 더 이상 최적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발견은 정책 신뢰성과 효과성에 중요한 함의를 가집니다. 정부가 정책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면, 민간 경제 주체들은 정부의 약속을 신뢰하지 않게 되고, 이는 정책의 예측 불가능성을 높여 경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키들랜드와 프레스콧의 연구는 정책 입안에 있어 '재량'보다는 '규칙'에 기반한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의 투명성과 장기적인 신뢰성 확보가 경제 안정에 필수적임을 역설했습니다.
3.4. 노벨 경제학상 수상
2004년 핀 키들랜드는 스웨덴 왕립 과학원이 수여하는 노벨 경제학상을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공동 수상했습니다. 수상 이유는 "동태적 거시경제학에 대한 기여: 경제 정책의 시간 일관성과 경기 순환의 원동력"이었습니다.
이 수상은 그들의 연구가 거시경제학 분야에 미친 혁신적인 영향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입니다. 특히 그들의 연구는 경제 정책 수립의 기본 틀을 재정립하고, 경기 변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새로운 분석 도구를 제공했습니다. 키들랜드는 2004년 12월 8일 '정량적 총계 이론'(Quantitative Aggregate Theory영어)이라는 제목으로 노벨상 수상 강연을 했습니다.
4. 교수직 및 연구 활동
핀 키들랜드는 1977년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진에 합류하여 2004년까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리처드 P. 시먼스 석좌교수'(Richard P. Simmons Distinguished Professorship영어) 직위를 역임했습니다. 2004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의 교수진으로 옮겨 '헨리 경제학 교수'(Henley Professor of Economics영어)가 되었고, 같은 기관에 '총계 경제 및 금융 연구소'(Laboratory for Aggregate Economics and Finance영어, LAEF)를 설립했습니다.
그는 또한 모교인 노르웨이 경제대학(NHH)의 겸임 교수직을 맡고 있으며,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그리고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IC² Institute영어 연구원이며, 후버 연구소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토르콰토 디 텔라 대학교 등에서 방문 학자 및 교수직을 역임했습니다.
5. 개인사
5.1. 가족 관계
핀 키들랜드는 1968년 리브 셸레볼(Liv Kjellevold)과 결혼하여 존 마틴(Jon Martin), 에이리크(Eirik), 카밀라(Camilla), 카리(Kari) 등 네 자녀를 두었습니다. 현재는 토냐 스쿨러(Tonya Schooler)와 결혼했습니다.
5.2. 취미 및 관심사
키들랜드는 스포츠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축구를 자주 플레이했으며, 아르헨티나의 유명 축구 클럽인 보카 주니어스의 열렬한 팬이었습니다. 또한 마라톤 대회에도 참가하여 완주한 경험이 있습니다. 스포츠 외에도 그는 음악, 특히 블루스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두카티 오토바이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6. 수상 및 영예
핀 키들랜드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요 수상 및 영예를 받았습니다.
- 노벨 경제학상 (2004년)
- 계량경제학회 펠로우 (1992년-현재)
- 존 스타우퍼 국립 펠로우십 (John Stauffer National Fellowship), 후버 연구소 (1982년-1983년)
- 알렉산더 헨더슨 상 (Alexander Henderson Award), 카네기 멜런 대학교 (1973년)
-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
- 국제 상공 회의소 오슬로 평화를 위한 비즈니스 상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Oslo Business for Peace Award) (2017년)
7. 영향 및 평가
7.1. 학계에 미친 영향
핀 키들랜드와 에드워드 프레스콧이 창시한 실물 경기변동 이론(RBC)은 거시경제학 연구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들의 이론과 방법론은 이후의 거시경제학 연구 및 모델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경기 변동의 주요 원인을 실물적 충격에서 찾고, 동태적 일반균형 모델을 사용하여 경제 주체의 최적화 행동을 분석하는 접근 방식은 현대 거시경제학의 주류를 이루는 '동태적 확률 일반균형'(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영어, DSGE) 모델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그들이 도입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영어)이라는 수치 시뮬레이션 기법은 초기에는 논란이 있었으나, 이후 경제학 연구에서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심지어 케인스 학파의 논문에서도 유사한 기법이 사용될 정도로 보편화되었습니다. 또한, 연립 미분 방정식을 푸는 동태적 기법을 통해 명시적인 해를 구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현실 수치 기반의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하는 방식은 경제학 연구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이처럼 키들랜드의 연구는 거시경제학의 분석 도구와 방법론을 혁신하며 학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7.2. 사회 및 정책적 영향
핀 키들랜드의 연구는 경제 정책 결정과 경기변동에 대한 이해에 광범위한 함의를 가집니다. 특히 그와 에드워드 프레스콧이 제시한 '경제 정책의 시간 일관성'(time consistency영어) 개념은 정책 신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가 단기적인 유인에 따라 정책을 변경할 경우 장기적인 효과를 저해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이는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이나 정부의 재정 정책 수립 시 정책의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했습니다.
실물 경기변동 이론(RBC)은 경기 변동이 주로 기술 충격과 같은 실물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화폐적 정책만으로는 경기 변동을 완화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경제 공동체와 사회 전반이 경기 변동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이론은 경제 안정과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탐구하며, 경제학자들이 실제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