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플라비우 다 실바 아마두(Flávio da Silva Amado플라비우 다 실바 아마두포르투갈어, 1979년 12월 30일 ~ )는 앙골라 루안다 출신의 전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공격수로 활약했다. 흔히 플라비우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앙골라 축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앙골라의 유일한 월드컵 득점을 기록한 선수로 이름을 남겼다. 클럽 경력에서는 이집트 프리미어리그의 알아흘리 SC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여러 차례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과 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IFFHS가 선정한 21세기 세계 최다 득점자 순위 8위에 오르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친정팀인 아틀레티코 페트로레오스 데 루안다의 코치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초기 경력 및 배경
플라비우는 1979년 12월 30일 앙골라의 수도 루안다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축구에 대한 재능을 보였으며, 1996년 앙골라의 명문 클럽인 페트로 아틀레티코의 유스팀에 입단하여 1999년까지 성장했다. 페트로 아틀레티코 유스팀에서의 활동은 그의 프로 경력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3. 클럽 경력
플라비우는 1999년 아틀레티코 페트로레오스 데 루안다에서 프로 데뷔한 이후, 알아흘리 SC, 알 샤바브 FC, 리르서 SK 등 다양한 클럽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득점력과 리더십을 선보였다.
3.1. 아틀레티코 페트로레오스 데 루안다
플라비우는 1999년 페트로 아틀레티코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2005년까지 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며 클럽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팀은 앙골라 1부 리그에서 2000년과 2001년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앙골라컵에서도 2000년과 2002년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또한 2002년에는 앙골라 슈퍼컵 우승에도 기여했다. 개인적으로는 2001년과 2002년에 지라볼라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2001년 CAF 챔피언스리그에서는 득점왕과 최우수 선수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12년에는 친정팀인 페트로 아틀레티코로 복귀하여 2013년 앙골라컵 우승을 추가한 뒤 2014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3.2. 알 아흘리 SC
2005년, 플라비우는 이집트의 명문 클럽인 알아흘리 SC로 이적하며 선수 경력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는 2009년까지 알 아흘리에서 활약하며 수많은 국내외 타이틀을 획득했다. 알 아흘리는 그가 활약한 4시즌 동안 이집트 프리미어리그에서 2005-06, 2006-07, 2007-08, 2008-09 시즌까지 4연패를 달성했다. 또한 이집트컵에서 2006년과 2007년, 이집트 슈퍼컵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대륙 대회에서는 2005년, 2006년, 2008년 세 차례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하는 CAF 슈퍼컵에서도 2006년, 2007년, 2009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플라비우는 알 아흘리가 2005년과 2006년 두 차례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2006년 대회에서는 오클랜드 시티 FC와의 개막전에서 팀의 첫 골을 기록하며 2-0 승리를 이끌었다. 준결승전에서는 SC 인테르나시오나우를 상대로 헤딩 동점골을 넣었으나, 팀은 1-2로 패배했다. 이 대회에서 알 아흘리는 3위를 기록했다.
알 아흘리에서의 첫 시즌에는 리그에서 단 1골에 그치고 자말렉 SC와의 CAF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페널티킥을 실축하는 등 팬들의 야유를 받기도 했으나, 2006-07 시즌에는 리그 17골로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득점왕에 오르며 성공적으로 부활했다. 2008-09 시즌에도 이스마일리 SC와의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알 아흘리의 유일한 골을 기록하여 팀의 5연속 리그 우승을 확정 짓고 두 번째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득점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는 특히 정확한 헤더 능력으로 유명했으며, 동료 질베르투의 측면 롱볼을 받아 헤딩 골을 성공시키는 전술로 알 아흘리의 국내외 대회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3.3. 알 샤바브 FC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플라비우는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 샤바브 FC에서 활약했다. 그는 알 샤바브 소속으로 2009년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팀을 4강으로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4. 리르서 SK
알 샤바브 FC를 떠난 후, 플라비우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벨기에 프로 리그의 리르서 SK에서 짧은 기간 동안 선수 생활을 했다.
4. 국가대표팀 경력
플라비우는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오랜 기간 활약하며 팀의 역사적인 순간들을 함께했다.
4.1.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 및 활동
플라비우는 2000년 앙골라 A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다. 그는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부룬디와의 최종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후 2001년과 2004년 COSAFA컵에서 총 3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4.2. FIFA 월드컵 참가
플라비우는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2골을 터뜨려 앙골라의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이란과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팀의 유일한 득점이자 선취골을 헤더로 성공시키며 1-1 무승부를 이끌었다. 이 골은 앙골라 축구 역사상 월드컵 본선에서 기록된 유일한 득점이며, 플라비우는 현재까지 월드컵에서 득점한 유일한 앙골라 선수로 남아있다. 그는 이 대회에서 총 39분만을 뛰었음에도 이러한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4.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플라비우는 세 차례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참가했다. 2006년 이집트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카메룬과 토고를 상대로 총 3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아쉽게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08년 가나에서 열린 대회와 자국 앙골라에서 개최된 2010년 대회에서는 각각 1골과 4골을 터뜨리며 팀의 2회 연속 8강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통산 11경기에서 7골을 기록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과시했다.
4.4. 국가대표팀 기록 및 업적
플라비우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앙골라 국가대표팀에서 총 91경기에 출전하여 34골을 기록했다. 그는 앙골라 대표팀 역사상 최다 A매치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콰에 이어 역대 A매치 득점 2위에 올라 있다.
5. 플레이 스타일
플라비우는 강력한 슈팅 능력과 뛰어난 헤더 능력을 겸비한 스트라이커였다. 특히 그의 헤더는 매우 정확하고 강력하여, 알 아흘리 시절에는 동료 질베르투의 측면 롱볼을 받아 헤딩골을 성공시키는 전술이 팀의 주요 공격 패턴 중 하나였다. 이러한 헤더 능력은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앙골라의 유일한 득점을 기록할 때도 빛을 발했다. 그는 중요한 순간에 결정적인 골을 넣는 능력이 탁월했으며, 경기장 안팎에서 항상 낮은 자세를 유지하고 언론 노출을 자제하는 겸손한 태도로 클럽과 팬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6. 통계
6.1. 클럽
클럽 | 시즌 | 리그 | 리그컵 |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페트로 아틀레티코 | 1999 | 지라볼라 | 12 | 5 | - | - | 0 | 0 | 17 | 10 | ||||||||
2000 | 22 | 14 | - | - | 0 | 0 | 28 | 20 | ||||||||||
2001 | 25 | 23 | - | 7 | 0 | 0 | 0 | 30 | 21 | |||||||||
2002 | 24 | 11 | - | 3 | 1 | 0 | 0 | 41 | 20 | |||||||||
2003 | 20 | 10 | 1 | - | 0 | 0 | 42 | 19 | ||||||||||
2004 | 24 | 10 | 4 | 3 | 43 | 32 | ||||||||||||
2005 | 21 | 13 | - | - | 0 | 0 | ||||||||||||
2013 | 15 | 7 | - | - | - | 16 | 7 | |||||||||||
2014 | 13 | 3 | 1 | 2 | - | - | 16 | 6 | ||||||||||
합계 | 176 | 96 | 7 | 11 | 0 | 0 | ||||||||||||
알 아흘리 | 2005-06 | EPL | 20 | 1 | - | 1 | 0 | 9 | 3 | 0 | 0 | 33 | 1 | |||||
2006-07 | 24 | 17 | - | 4 | 2 | 14 | 6 | 4 | 2 | 46 | 27 | |||||||
2007-08 | 23 | 5 | - | 0 | 0 | 9 | 3 | 1 | 0 | 33 | 8 | |||||||
2008-09 | 29 | 12 | 2 | 0 | 2 | 0 | 13 | 7 | 4 | 3 | 50 | 22 | ||||||
합계 | 96 | 35 | 2 | 0 | 7 | 2 | 45 | 19 | 9 | 5 | 159 | 61 | ||||||
알 샤바브 | 2009-10 | SPL | 16 | 8 | - | 3 | 2 | 7 | 5 | - | 26 | 15 | ||||||
리르서 | 2011-12 | BPL | 5 | 1 | - | 2 | 0 | - | - | 7 | 1 |
6.2. 국가대표팀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앙골라 | 2000 | 1 | 0 |
2001 | 10 | 2 | |
2002 | 5 | 0 | |
2003 | 7 | 2 | |
2004 | 7 | 3 | |
2005 | 8 | 3 | |
2006 | 8 | 6 | |
2007 | 7 | 5 | |
2008 | 13 | 6 | |
2009 | 8 | 2 | |
2010 | 4 | 3 | |
2011 | 2 | 1 | |
2012 | 4 | 1 | |
합계 | 84 | 34 |
No. | 날짜 | 장소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2001년 6월 17일 | 에스타디오 무니시팔 두 타페, 카빈다, 앙골라 | 부룬디 | 2-1 | 2-1 | 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 | 2001년 9월 30일 | 내셔널 스포츠 스타디움, 하라레, 짐바브웨 | 짐바브웨 | 1-0 | 1-0 | 2001 COSAFA컵 |
3 | 2003년 7월 6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말라위 | 3-0 | 5-1 | 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4 | 2003년 9월 7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나미비아 | 2-0 | 2-0 | 친선 경기 |
5 | 2004년 7월 18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보츠와나 | 1-1 | 1-1 (5-3 PK) | 2004 COSAFA컵 |
6 | 2004년 9월 19일 | 에스타디오 다 마차바, 마푸투, 모잠비크 | 모잠비크 | 1-0 | 1-0 | 2004 COSAFA컵 |
7 | 2004년 10월 10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짐바브웨 | 1-0 | 1-0 | 2006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8 | 2005년 2월 23일 | 스타드 알퐁스 마셈바-데바, 브라자빌, 콩고 | 콩고 | 1-0 | 2-0 | 친선 경기 |
9 | 2005년 5월 27일 | 스타드 올랭피크 드 라데스, 라데스, 튀니지 | 튀니지 | 1-3 | 1-4 | 친선 경기 |
10 | 2005년 6월 5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알제리 | 1-0 | 2-1 | 2006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11 | 2006년 1월 21일 | 카이로 육군사관학교 경기장, 카이로, 이집트 | 카메룬 | 1-1 | 1-3 |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2 | 2006년 1월 29일 | 카이로 국제경기장, 카이로, 이집트 | 토고 | 1-0 | 3-2 |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3 | 2-1 | |||||
14 | 2006년 6월 21일 | 첸트랄슈타디온, 라이프치히, 독일 | 이란 | 1-0 | 1-1 | 2006 FIFA 월드컵 |
15 | 2006년 10월 8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케냐 | 1-0 | 3-1 |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16 | 2-0 | |||||
17 | 2007년 3월 25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에리트레아 | 1-0 | 6-1 |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18 | 5-1 | |||||
19 | 2007년 6월 17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스와질란드 | 3-0 | 3-0 |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 | 2007년 8월 22일 | 스타드 데 마르티르, 킨샤사, 콩고 민주 공화국 | 콩고 민주 공화국 | 1-1 | 1-3 | 친선 경기 |
21 | 2007년 11월 17일 | 스타드 드 멜룅, 멜룅, 프랑스 | 코트디부아르 | 2-0 | 2-1 | 친선 경기 |
22 | 2008년 1월 13일 | 콤플렉소 데스포르티보 FC 알베르카, 알베르카 두 히바테주, 포르투갈 | 이집트 | 2-2 | 3-3 | 친선 경기 |
23 | 2008년 1월 16일 | 프린스 물라이 압델라 스타디움, 라바트, 모로코 | 모로코 | 1-0 | 1-2 | 친선 경기 |
24 | 2008년 1월 27일 | 타말레 스타디움, 타말레, 가나 | 세네갈 | 3-1 | 3-1 |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5 | 2008년 6월 1일 | 에스타디오 두스 코케이루스, 루안다, 앙골라 | 베냉 | 1-0 | 3-0 | 2010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6 | 2008년 6월 8일 | 스타드 제네랄-세이니-쿤체, 니아메, 니제르 | 니제르 | 1-1 | 2-1 | 2010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7 | 2008년 9월 7일 | 스타드 드 라미티에, 코토누, 베냉 | 베냉 | 1-1 | 2-3 | 2010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8 | 2009년 8월 12일 | 에스타디오 두 헤스텔루, 리스본, 포르투갈 | 토고 | 1-0 | 2-0 | 친선 경기 |
29 | 2009년 11월 14일 | 에스타디오 다 시다델라, 루안다, 앙골라 | 콩고 | 1-0 | 1-1 | 친선 경기 |
30 | 2010년 1월 10일 | 에스타디오 11 데 노벰브루, 루안다, 앙골라 | 말리 | 1-0 | 4-4 |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31 | 2-0 | |||||
32 | 2010년 1월 14일 | 에스타디오 11 데 노벰브루, 루안다, 앙골라 | 말라위 | 1-0 | 2-0 |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33 | 2011년 9월 4일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두 치아지, 카빈다, 앙골라 | 우간다 | 2-0 | 2-0 | 201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34 | 2012년 1월 14일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두 치아지, 카빈다, 앙골라 | 시에라리온 | 3-1 | 3-1 | 친선 경기 |
7. 수상 경력
플라비우는 선수 경력 동안 소속팀과 개인적으로 수많은 트로피와 상을 수상하며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7.1. 클럽 수상
- 페트로 아틀레티코
- 지라볼라: 2000, 2001
- 앙골라컵: 2000, 2002, 2013
- 앙골라 슈퍼컵: 2002
- 알 아흘리
-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2005-06, 2006-07, 2007-08, 2008-09
- 이집트컵: 2006, 2007
- 이집트 슈퍼컵: 2005, 2006, 2007, 2008
- CAF 챔피언스리그: 2005, 2006, 2008
- CAF 슈퍼컵: 2006, 2007, 2009
- FIFA 클럽 월드컵: 3위 (2006)
- 알 샤바브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컵: 2009
7.2. 국가대표팀 수상
- COSAFA컵: 2001, 2004
7.3. 개인 수상
- CAF 챔피언스리그 최우수 선수: 2001
- CAF 챔피언스리그 득점왕: 2001
-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득점왕: 2006-07, 2008-09
- 지라볼라 득점왕: 2001, 2002
- IFFHS 21세기 세계 최다 득점자 8위 (2012년 발표)
8. 은퇴 이후 활동
2014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플라비우는 축구계에 남아 자신의 경험을 후배들에게 전수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프로 데뷔했던 친정팀인 페트로 아틀레티코의 수석 코치로 활동하며 팀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