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프리드리히 헤르만 훈트(Friedrich Hermann Hund독일어, 1896년 2월 4일 ~ 1997년 3월 31일)는 독일의 저명한 물리학자로, 원자와 분자 구조에 대한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의 과학적 업적은 양자역학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특히 전자 배치를 예측하는 훈트의 규칙, 이원자 분자의 각운동량 커플링을 설명하는 훈트의 분류, 그리고 로버트 멀리컨과의 협력을 통해 발전시킨 훈트-멀리컨 분자궤도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훈트는 1926년에 양자 터널링 효과를 최초로 발견한 인물로도 평가받는다. 그는 막스 플랑크 메달, 코테니우스 메달, 오토 한 물리학 및 화학상 등 수많은 영예를 안았으며, 10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과학 연구에 헌신했다. 그의 연구는 현대 분광학과 양자화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며, 그의 이름은 여러 학술 개념과 기관에 남아 그의 유산을 기리고 있다.
2. 생애
프리드리히 헤르만 훈트의 생애는 20세기 독일의 격동적인 역사 속에서 탁월한 학문적 업적을 쌓은 한 물리학자의 여정을 보여준다. 그는 유년 시절부터 뛰어난 학업적 재능을 보였으며, 당대 최고의 지성들과 교류하며 양자 이론의 황금기를 함께했다.
2.1. 어린 시절과 교육
프리드리히 헤르만 훈트는 1896년 2월 4일 독일 카를스루에에서 태어났다. 그는 마르부르크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 수학, 물리학, 지리학을 전공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특히 괴팅겐 대학교는 당대 양자역학 연구의 중심지였으며, 이곳에서의 교육은 훈트의 이후 연구 방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23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매우 느린 전자들에 대한 일부 비활성 기체의 높은 투과성에 대한 해석 시도(Versuch einer Deutung der großen Durchlässigkeit einiger Edelgase für sehr langsame Elektronen독일어)"라는 주제로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했다.
2.2. 학술 경력
훈트는 1925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 사강사로 학술 경력을 시작했다. 당시 그는 막스 보른의 조교로 일하며 이원자 분자의 띠 스펙트럼에 대한 양자론적 해석을 연구했다. 이 시기에 그는 에르빈 슈뢰딩거, 폴 디랙,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발터 보테와 같은 당대의 저명한 물리학자들과 함께 연구하고 교류했다.

이후 그의 학술 경력은 여러 주요 대학의 교수를 역임하며 이어졌다.
- 1927년: 로스토크 대학교 이론 물리학 교수
- 1929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수리 물리학 교수
- 1946년: 프리드리히 실러 대학교 예나 이론 물리학 교수
- 1951년: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이론 물리학 교수
- 1957년: 다시 괴팅겐 대학교 이론 물리학 교수로 복귀
그는 학위 과정 중이던 1926년 닐스 보어와 함께 코펜하겐에 머물며 연구했고, 1928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원자에 대한 객원 강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훈트는 평생 동안 총 250편이 넘는 논문과 에세이를 발표하며 양자론, 특히 원자와 분자의 스펙트럼 구조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특히 로버트 멀리컨은 1966년 분자궤도론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을 때, 훈트의 연구가 자신의 연구에 미친 지대한 영향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며 훈트와 노벨상을 기꺼이 공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훈트의 기여를 인정하여 분자궤도론은 종종 훈트-멀리컨 분자궤도론이라고 불린다. 훈트는 또한 1926년에 양자 터널링 효과를 발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2.3. 개인 생활
훈트는 수학자 잉게보르크 자인셰(Ingeborg Seynsche독일어, 1905년 ~ 1994년)와 1931년 3월 17일 바르멘에서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체스 선수이자 수학자인 게르하르트 훈트(Gerhard Hund독일어, 1932년 ~ 2024년), 디트리히(Dietrich독일어, 1933년 ~ 1939년), 이름가르트(Irmgard독일어, 1934년생), 마르틴(Martin독일어, 1937년 ~ 2018년), 안드레아스(Andreas독일어, 1940년생), 에르빈(Erwin독일어, 1941년 ~ 2022년). 유명한 여자 체스 그랜드마스터인 바바라 훈트(Barbara Hund독일어, 1959년생)와 체스 선수인 이사벨 훈트(Isabel Hund독일어, 1962년생)는 그의 손녀들이다.
훈트는 1997년 3월 31일 향년 101세로 사망했으며, 뮌헨 발트프리트호프(Munich Waldfriedhof독일어)에 안장되었다.

3. 주요 과학적 기여
프리드리히 훈트의 과학적 기여는 양자역학과 양자화학 분야에서 근본적인 개념들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연구는 원자와 분자의 미시적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들을 제공했다.
3.1. 훈트의 규칙과 분류
훈트는 원자의 전자 배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규칙들을 제안했으며, 특히 훈트의 규칙 중 최대 다중도의 규칙(Hund's rule of maximum multiplicity영어)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규칙은 원자 내 전자가 배치될 때, 가능한 한 많은 수의 홀전자가 같은 스핀 방향을 가지도록 궤도함수에 채워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는 분광학과 양자화학에서 원자의 안정적인 전자 구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화학 분야에서는 이 규칙을 단순히 '훈트의 규칙'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훈트는 이원자 분자의 각운동량 커플링에 대한 훈트의 분류(Hund's cases영어)를 제안했다. 이 분류는 분자의 전자 각운동량과 핵 회전 각운동량 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여러 '경우'를 구분한다. 훈트의 분류는 분자의 스펙트럼을 해석하고 분자 구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3.2. 분자궤도론 (훈트-멀리컨 이론)
훈트는 로버트 멀리컨과의 협력을 통해 분자 구조를 이해하는 데 혁명적인 기여를 한 분자궤도론(molecular orbital theory영어)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 이론은 분자 내 전자가 특정 원자에 국한되지 않고 분자 전체에 걸쳐 있는 분자 궤도를 차지한다고 설명한다. 이 접근 방식은 원자가 결합 이론과 함께 현대 화학 결합 이론의 두 가지 주요 기둥을 이룬다.
훈트와 멀리컨의 공동 연구는 분자 궤도가 개별 원자 궤도의 선형 결합으로 형성된다는 개념을 확립했다. 멀리컨은 이 공로로 196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훈트의 기여를 높이 평가하며 분자궤도론이 종종 훈트-멀리컨 분자궤도론(Hund-Mulliken MO theory영어)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훈트-멀리컨 이론은 분자의 성질을 예측하는 데 강력한 도구였지만, 그 복잡성 때문에 초기에는 계산에 많은 노력이 필요했고, 이후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널리 활용되었다.
3.3. 양자 터널링
훈트는 1926년에 양자 터널링(quantum tunnelling영어) 효과를 최초로 발견한 인물로 기록된다. 양자 터널링은 양자역학적 현상으로, 입자가 고전 역학적으로는 통과할 수 없는 에너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는 입자가 파동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한 현상이다. 훈트의 이 발견은 양자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이후 알파 붕괴, 주사 터널링 현미경, 핵융합 등 다양한 물리 및 화학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그는 양자 역학적 장벽 투과 개념을 처음으로 활용한 과학자였다.
4. 저서 및 논문
프리드리히 훈트는 방대한 양의 학술 저서와 논문을 저술하며 물리학 분야, 특히 양자론과 그 역사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했다. 그는 평생 동안 250편이 넘는 논문과 에세이를 발표했으며, 그의 저술 활동은 70년 이상 지속되었다.
그의 주요 저서 및 논문은 다음과 같다:
- 박사 학위 논문: 매우 느린 전자들에 대한 일부 비활성 기체의 높은 투과성에 대한 해석 시도(Versuch einer Deutung der großen Durchlässigkeit einiger Edelgase für sehr langsame Elektronen독일어), 괴팅겐 대학교, 1923년
- 교수 자격 논문: 선 스펙트럼과 원소의 주기율표(Linienspektren und periodisches System der Elemente독일어), 괴팅겐 대학교, 슈프링어, 1927년
- 원자 및 분자 구조의 일반 양자역학(Allgemeine Quantenmechanik des Atom- und Molekelbaues독일어), Handbuch der Physik, 24/1권, 제2판, 561-694쪽, 1933년
- 장으로서의 물질(Materie als Feld독일어), 베를린, 슈프링어, 1954년
- 이론 물리학 입문(Einführung in die Theoretische Physik독일어), 5권, 1944년~1951년, Meyers Kleine Handbücher, 라이프치히, Bibliographisches Institut, 1945년, 1950년/1951년 (1권: 역학, 2권: 전기 및 자기 이론, 3권: 광학, 4권: 열 이론, 5권: 원자 및 양자 이론)
- 이론 물리학(Theoretische Physik독일어), 3권, 슈투트가르트 Teubner, 초판 1956년~1957년 (1권: 역학, 5판 1962년, 2권: 전기 및 빛 이론, 상대성 이론, 4판 1963년, 3권: 열역학 및 양자 이론, 3판 1966년)
- 물질 구조 이론(Theorie des Aufbaues der Materie독일어), 슈투트가르트, Teubner, 1961년
- 물리학의 기본 개념(Grundbegriffe der Physik독일어), 만하임, Bibliographisches Institut, 1969년, 제2판 1979년
- 양자 이론의 역사(Geschichte der Quantentheorie독일어), 1967년, 제2판 만하임, Bibliographisches Institut, 1975년, 제3판 1984년; 영어 번역판 1974년
- 원자의 양자역학(Quantenmechanik der Atome독일어), Handbuch der Physik/Encyclopedia of Physics, XXXVI권, 베를린, 슈프링어, 1956년
- 괴팅겐 물리학의 역사(Die Geschichte der Göttinger Physik독일어), Vandenhoeck und Ruprecht, 1987년 (Göttinger Universitätsreden)
- 물리 개념의 역사(Geschichte der physikalischen Begriffe독일어), 1968년, 제2판 (2권), 만하임, Bibliographisches Institut, 1978년 (1권: 역학적 자연관의 탄생, 2권: 오늘날 자연관으로의 길), Spektrum Verlag, 1996년
- 회고 속의 괴팅겐, 코펜하겐, 라이프치히(Göttingen, Kopenhagen, Leipzig im Rückblick독일어), 프리츠 보프(Fritz Bopp독일어) (편집)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우리 시대의 물리학(Werner Heisenberg und die Physik unserer Zeit독일어), 브라운슈바이크, 1961년
또한, 훈트의 저술 목록은 약 300개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5. 수상 및 영예
프리드리히 훈트는 그의 탁월한 과학적 업적을 인정받아 수많은 상을 수상하고 여러 영예를 얻었다. 이는 그의 공헌이 물리학계에 미친 지대한 영향을 반영한다.
그가 받은 주요 상과 영예는 다음과 같다:
- 막스 플랑크 메달(Max Planck Medal독일어): 1943년, 독일 물리 학회가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상 중 하나.
- 코테니우스 메달(Cothenius Medal독일어): 1971년, 독일 자연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가 수여하는 상.
- 오토 한 물리학 및 화학상(Otto Hahn Physics and Chemistry Prize독일어): 1974년, 독일 화학회와 독일 물리학회가 공동으로 수여하는 상.
이 외에도 훈트는 학술 단체 회원 자격을 통해 그의 국제적인 명성을 확인받았다:
- 국제 양자 분자 과학 아카데미(International Academy of Quantum Molecular Science영어) 회원.
그를 기리기 위한 명예로운 명명 또한 이루어졌다:
- 예나의 명예 시민으로 추대되었다.
- 예나 시의 한 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 훈트 거리로 명명되었다.
- 2004년 6월, 괴팅겐 대학교 물리학부의 신축 건물 일부 주소가 프리드리히-훈트-플라츠 1(Friedrich-Hund-Platz 1독일어)로 명명되었다.
- 괴팅겐 대학교 이론 물리학 연구소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유산 및 영향
프리드리히 훈트의 과학적 업적은 20세기 물리학과 화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현대 양자론의 기본 개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그의 연구는 단순한 학문적 기여를 넘어 후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학문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의 10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Friedrich Hund: Geschichte der physikalischen Begriffe독일어 (프리드리히 훈트: 물리 개념의 역사)라는 기념 도서가 출판되었다. 이 책은 훈트의 과학 개념 역사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하며, 베르너 쿠첼니히(Werner Kutzelnigg독일어)는 이 책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기도 했다.
훈트는 과학의 역사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클라우스 헨트셸(Klaus Hentschel독일어)과 레나테 토비에스(Renate Tobies독일어)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이러한 관심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그의 이러한 활동은 과학이 단순히 현재의 발견에만 머무르지 않고, 과거의 사상과 개념의 발전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더 깊이 탐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훈트의 이름은 훈트의 규칙, 훈트의 분류, 그리고 훈트-멀리컨 분자궤도론과 같이 중요한 과학적 개념에 영구히 새겨져 있다. 또한, 그가 1926년에 발견한 양자 터널링 효과는 현대 물리화학과 나노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핵심적인 원리로 활용된다. 예나의 명예 시민이자 그의 이름을 딴 거리, 괴팅겐 대학교 물리학 건물의 주소 및 이론 물리학 연구소 명칭은 훈트의 학문적 유산이 단순한 이론을 넘어 실제 기관과 장소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의 업적은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학계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인용되며, 후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중요한 기준점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