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프란시스코 알베르토 가르시아 구티에레스(Francisco Alberto García Gutiérrez스페인어, 1981년 12월 31일~)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전 프로 농구 선수이다. 그는 새크라멘토 킹스와 휴스턴 로키츠에서 10시즌 동안 NBA 선수로 활약했다. 또한 푸에르토리코와 도미니카 공화국 리그에서도 뛰었으며, 도미니카 공화국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국제 대회에 출전하여 2003년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포지션은 슈팅 가드와 스몰 포워드였다. 그의 별명은 'Latin Assassin'이다.
2. 어린 시절과 대학 경력
2.1. 어린 시절과 배경
프란시스코 가르시아는 1981년 12월 31일,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수도 지구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프란시스코 알베르토 가르시아 구티에레스이다. 키는 201 cm, 몸무게는 88.5 kg이다. 그는 'Latin Assassin'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2.2. 대학 경력
가르시아는 고등학교 2학년 때 미국으로 이주하여 더 윈첸던 스쿨을 졸업했다. 이후 루이빌 대학교에 진학하여 릭 피티노 감독의 지휘 아래 리스 게인스, 타콴 딘과 같은 미래의 NBA 선수들과 함께 큰 성공을 거두었다.
1학년 때인 2002-03 시즌부터 뛰어난 3점 슈터로 활약하며 평균 11.2득점, 3점슛 성공률 42.5%를 기록했고, 컨퍼런스 USA 신인상을 수상했다. 또한 컨퍼런스 토너먼트에서는 평균 14.7득점을 기록하여 팀 내 최다 득점자가 되었고, 올-토너먼트 팀에 선정되었다. 2003년 오프시즌에는 도미니카 공화국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2003년 팬아메리칸 게임에 참가하여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대학 2학년 때는 주전으로 자리 잡아 평균 16.4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선두 득점자가 되었고, 컨퍼런스 올-퍼스트 팀에 선정되었다. 3학년 때는 팀을 이끌고 2005년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에서 파이널 포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루이빌 대학교는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전국 준결승전에서 1위 팀인 일리노이에 패했다. 그는 같은 해 존 우든 상 후보로도 선정되었다. 2005년 오프시즌에는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FIBA 아메리카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평균 18.9득점, 4.1리바운드를 기록했으나, 팀은 6위에 그쳤다. 2005년 4월, 그는 남은 1년의 대학 자격을 포기하고 2005년 NBA 드래프트에 참가할 것을 선언했다.
3. 프로 경력
3.1. NBA 경력
3.1.1. 새크라멘토 킹스
가르시아는 2005년 NBA 드래프트에서 새크라멘토 킹스에 전체 23순위로 지명되며 NBA에 입성했다. 킹스에서의 신인 시즌인 2005-06시즌에는 67경기에 출전하여 평균 5.6득점을 기록했다. 처음 두 시즌 동안은 경기당 평균 출전 시간이 20분 미만으로 제한적인 역할에 머물렀다. 그러나 3년차인 2007-08시즌에는 주전 선수들의 부상으로 인해 많은 출전 기회를 얻게 되었고, 슈터로서 팀에 크게 기여하기 시작했다. 2008년 9월, 그는 킹스와 5년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3.1.2. 휴스턴 로키츠
2013년 2월 20일, 가르시아는 토머스 로빈슨, 타일러 허니컷과 함께 휴스턴 로키츠로 트레이드되었으며, 그 대가로 패트릭 패터슨, 토니 더글러스, 콜 올드리치가 킹스로 이적했다. 2013년 8월 5일, 가르시아는 로키츠와 재계약했고, 이듬해인 2014년 8월 22일에도 다시 로키츠와 재계약했다. 그러나 2014년 12월 19일, 로키츠가 코리 브루어와 알렉세이 슈베드를 영입하는 삼각 트레이드를 단행하면서, 로스터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가르시아는 로키츠에서 방출되었다.
3.2. 기타 프로 리그
NBA를 떠난 후, 가르시아는 푸에르토리코의 프로 농구 리그인 발론세스토 수페리오르 나시오날 (BSN)에서 활약했다. 2016년 1월 14일, 그는 바케로스 데 바야몬과 계약을 맺었으나, 2016년 5월 12일 바야몬에서 방출되었다. 2017년에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리가 나시오날 데 발론세스토 소속 팀인 인디오스 데 산프란시스코에서 뛰었다.
4. 국가대표팀 경력
가르시아는 도미니카 공화국 농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2003년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팀의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05년에는 FIBA 아메리카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평균 18.9득점, 4.1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팀의 6위 달성에 일조했다. 또한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에도 도미니카 공화국 대표로 출전했다.

5. 경력 통계
5.1. NBA
5.1.1. 정규 시즌
시즌 | 팀 | 경기 출장 | 선발 출장 | 경기당 출장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
2005-06 | 새크라멘토 킹스 | 67 | 11 | 19.4 | .400 | .285 | .772 | 2.8 | 1.4 | .6 | .7 | 5.6 |
2006-07 | 새크라멘토 | 79 | 5 | 17.8 | .429 | .356 | .833 | 2.6 | 1.1 | .6 | .5 | 6.0 |
2007-08 | 새크라멘토 | 79 | 20 | 26.5 | .463 | .391 | .779 | 3.3 | 1.6 | 1.2 | .6 | 12.3 |
2008-09 | 새크라멘토 | 65 | 36 | 30.4 | .444 | .398 | .820 | 3.4 | 2.3 | 1.2 | 1.0 | 12.7 |
2009-10 | 새크라멘토 | 25 | 4 | 23.0 | .466 | .390 | .882 | 2.6 | 1.8 | .4 | .8 | 8.1 |
2010-11 | 새크라멘토 | 58 | 34 | 23.9 | .436 | .362 | .855 | 2.3 | 1.2 | .9 | .8 | 9.7 |
2011-12 | 새크라멘토 | 49 | 3 | 16.3 | .376 | .290 | .800 | 2.0 | .6 | .7 | .8 | 4.8 |
2012-13 | 새크라멘토 | 40 | 15 | 17.8 | .376 | .367 | .857 | 1.7 | 1.1 | .8 | .8 | 5.2 |
2012-13 | 휴스턴 로키츠 | 18 | 5 | 17.7 | .432 | .386 | .857 | 1.3 | 1.1 | .8 | .4 | 6.4 |
2013-14 | 휴스턴 | 55 | 4 | 19.7 | .401 | .358 | .526 | 2.2 | 1.1 | .5 | .6 | 5.7 |
2014-15 | 휴스턴 | 14 | 0 | 14.3 | .270 | .222 | .250 | 1.2 | 1.1 | .6 | .4 | 3.2 |
경력 | 549 | 137 | 21.6 | .427 | .357 | .799 | 2.6 | 1.4 | .8 | .7 | 7.9 |
5.1.2. 플레이오프
시즌 | 팀 | 경기 출장 | 선발 출장 | 경기당 출장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
2006 | 새크라멘토 킹스 | 6 | 0 | 6.8 | .455 | .250 | 1.000 | .3 | .2 | .3 | .3 | 2.2 |
2013 | 휴스턴 로키츠 | 6 | 3 | 27.3 | .440 | .459 | .600 | 3.3 | 1.5 | .7 | .8 | 10.7 |
2014 | 휴스턴 | 2 | 0 | 11.0 | .333 | .000 | .705 | 1.0 | .0 | .0 | .0 | 3.5 |
경력 | 14 | 3 | 16.2 | .433 | .409 | .727 | 1.7 | .7 | .4 | .5 | 6.0 |
6. 업적 및 수상
- 2003년 컨퍼런스 USA 신인상
- 2003년 컨퍼런스 USA 토너먼트 올-토너먼트 팀
- 2003년 팬아메리칸 게임 은메달 (도미니카 공화국 국가대표)
- 2004년 컨퍼런스 USA 올-퍼스트 팀
- 2005년 NCAA 파이널 포 진출 (루이빌 대학교)
- 2005년 존 우든 상 후보
7. 개인 생활
프란시스코 가르시아의 결혼, 가족 관계, 취미 등 대중에게 알려진 개인적인 측면은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가 거의 없다.
8. 유산과 평가
선수로서의 프란시스코 가르시아가 농구계에 미친 영향, 그의 플레이 스타일, 팀 기여도 등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나 유산에 대한 정보는 현재까지 크게 알려져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