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폭시 케테보아마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도 방기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향의 DFC 8ème 아롱디스망이라는 지역 클럽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해외로 진출하여 프로 축구 선수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q=Bangui, Central African Republic|position=right
2. 클럽 경력
폭시 케테보아마의 클럽 경력은 헝가리 리그에서 시작하여 카자흐스탄 리그에서 성공적인 전성기를 보낸 후 튀르키예 리그로 이어졌다. 그는 각 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리그와 컵 대회에 참여했다.
2.1. 초기 클럽 경력 (2006-2010)
케테보아마는 2006년 헝가리 넴제티 버이녹샤그 I 소속의 디오슈죄르 VTK에서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그는 2007년까지 디오슈죄르에서 리그 23경기에 출전하여 8골을 기록했다. 2007년에는 같은 리그의 우이페슈트 FC로 이적하여 2010년까지 3시즌 동안 리그 73경기에 출전하며 13골을 기록했다. 2010년에는 다시 헝가리 리그의 또 다른 팀인 케치케메트 TE로 이적하여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2. 케치케메트 TE (2010-2012)
케치케메트 TE에서의 첫 시즌인 2010-11 시즌은 케테보아마에게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는 이 시즌에 헝가리 컵에서 6골을 기록하며 버여이 LSE의 라슬로 코르모스와 함께 대회 득점왕에 올랐고, 팀의 헝가리 컵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결승전에서는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이 우승을 통해 케치케메트 TE는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그는 2011-12 시즌까지 케치케메트 TE에서 총 60경기에 출전하여 18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2.3. FC 아스타나 (2012-2015)
2012년 2월, 케테보아마는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명문 클럽인 FC 아스타나로 1년간 임대 이적하며 새로운 리그에 도전했다. 임대 기간 동안 그는 29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으며, 팀의 2012년 카자흐스탄컵 우승에 일조했다. 임대 계약이 종료된 후, 2013년 1월 그는 FC 아스타나로 완전 이적했다.
아스타나에서 그는 선수 경력의 가장 빛나는 순간들을 보냈다. 2013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달성했으며, 2014 시즌과 2015 시즌에는 팀의 리그 2연패를 이끌었다. 특히 2014 시즌에는 리그에서 16골을 기록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아스타나 소속으로 케테보아마는 2014-15년 UEFA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 진출과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을 경험하며 유럽 클럽 대항전 무대에서도 활약했다. 또한 2015년 카자흐스탄 슈퍼컵 우승에도 기여했으나, 같은 해 카자흐스탄 컵 결승에서는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FC 아스타나에서의 총 기록은 117경기 31골이었다.
2.4. 이후 경력 (2015-2022)
FC 아스타나에서의 성공적인 시기를 마친 후, 케테보아마는 2015-16 시즌을 앞두고 튀르키예의 TTF 퍼스트 리그 소속 가지안테프 FK로 이적했다. 가지안테프에서 그는 리그 10경기에 출전하여 5골을 기록했다.
2016년 7월 26일, 그는 같은 리그의 발리케시르스포르와 2년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발리케시르스포르에서 그는 2021-22 시즌까지 팀의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나, 2021-22 시즌 팀이 TFF 세컨드 리그로 강등되면서 계약이 해지되었고 팀을 떠났다.
3. 국가대표팀 경력
폭시 케테보아마는 2010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A대표팀에 처음으로 합류하여 국가대표팀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2012년 6월 2일 보츠와나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A조 첫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에서 그는 멀티골을 터뜨리며 팀의 2-0 완승을 이끌었고, 이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역사상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의 첫 승리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하지만 보츠와나전 승리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예선에서 5연패를 당하며 A조 최하위로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케테보아마는 이후에도 꾸준히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으며, 2019년 12월 2일 기준으로 A매치 44경기 8골을 기록했다. 2021년까지는 총 48경기 8골을 기록하며 국가대표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경력 통계
4.1. 클럽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케치케메트 TE | 2010-11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 26 | 6 | 6 | 6 | 5 | 0 | - | - | 37 | 12 | ||
2011-12 | 16 | 5 | 3 | 1 | 1 | 0 | 2 | 0 | 1 | 0 | 23 | 6 | ||
합계 | 42 | 11 | 9 | 7 | 6 | 0 | 2 | 0 | 1 | 0 | 60 | 18 | ||
아스타나 (임대) | 2012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23 | 1 | 6 | 2 | - | - | - | 29 | 3 | |||
아스타나 | 2013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30 | 5 | 1 | 1 | - | 2 | 0 | 1 | 1 | 34 | 7 | |
2014 | 25 | 16 | 2 | 2 | - | 8 | 2 | - | 35 | 20 | ||||
2015 | 31 | 4 | 4 | 0 | - | 12 | 0 | 1 | 0 | 48 | 4 | |||
합계 | 86 | 25 | 7 | 3 | - | - | 22 | 2 | 2 | 1 | 117 | 31 | ||
가지안테프 B.B. | 2015-16 | TFF 퍼스트 리그 | 10 | 5 | 0 | 0 | - | - | - | 10 | 5 | |||
발리케시르스포르 | 2016-17 | TFF 퍼스트 리그 | 28 | 6 | 2 | 1 | - | - | - | 30 | 7 | |||
2017-18 | 18 | 1 | 0 | 0 | - | - | - | 18 | 1 | |||||
합계 | 46 | 7 | 2 | 1 | - | - | - | - | - | - | 48 | 8 | ||
커리어 총합 | 207 | 49 | 24 | 13 | 6 | 0 | 24 | 2 | 3 | 1 | 264 | 65 |
4.2. 국가대표팀 통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2002 | 1 | 0 |
2003 | 0 | 0 |
2004 | 0 | 0 |
2005 | 1 | 0 |
2006 | 0 | 0 |
2007 | 0 | 0 |
2008 | 0 | 0 |
2009 | 0 | 0 |
2010 | 2 | 0 |
2011 | 4 | 0 |
2012 | 6 | 3 |
2013 | 4 | 0 |
2014 | 3 | 0 |
2015 | 4 | 0 |
2016 | 4 | 1 |
2017 | 3 | 0 |
2018 | 7 | 3 |
2019 | 5 | 1 |
총합 | 44 | 8 |
통계는 2019년 12월 2일 경기 기준이다.
4.3. 국가대표팀 득점
스코어 및 결과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득점을 먼저 나열한다.
# | 일자 | 장소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명 |
---|---|---|---|---|---|---|
1. | 2012년 6월 2일 | 바르텔레미 보간다 경기장,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보츠와나 | 1-0 | 2-0 |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
2. | 2-0 | |||||
3. | 2012년 6월 30일 | 이집트 | 1-0 | 1-1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4. | 2016년 9월 4일 | 순교자 경기장, 킨샤사, 콩고 민주 공화국 | 콩고 민주 공화국 | 1-2 | 1-4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B조 |
5. | 2018년 3월 23일 | 인디펜던스 스타디움, 바카우, 감비아 | 감비아 | 1-1 | 1-1 | 친선 경기 |
6. | 2018년 3월 27일 | 마라케시 경기장, 마라케시, 모로코 | 케냐 | 1-0 | 3-2 | |
7. | 2018년 5월 27일 | 스타드 제네랄 세이니 쿤체, 니아메, 니제르 | 니제르 | 2-1 | 3-3 | |
8. | 2019년 10월 13일 | 2-0 | 2-0 |
5. 수상 및 업적
5.1. 클럽 수상
- 케치케메트 TE
- 헝가리 컵: 우승 (2010-11)
- FC 아스타나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우승 (2014, 2015), 준우승 (2013)
- 카자흐스탄 컵: 우승 (2012), 준우승 (2015)
- 카자흐스탄 슈퍼컵: 우승 (2015)
5.2. 개인 수상
- 헝가리 컵 득점왕: 2010-11
6. 유산 및 영향
폭시 케테보아마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상 국제 A매치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한 선수로서, 자국 축구계에 큰 영향력을 남겼다. 그의 꾸준한 활약과 리더십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대표팀의 성장에 기여했으며, 특히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보츠와나를 상대로 월드컵 예선 첫 승리를 이끌어낸 것은 역사적인 순간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카자흐스탄 리그에서 이룬 성공을 통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들이 해외 리그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후배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7. 같이 보기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FC 아스타나
- 케치케메트 TE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