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페르디난트 푸홀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 지역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경력을 쌓으며 음악 평론가, 작곡가, 작가로서의 삶을 살았다.
1.1. 출생 및 초기 생애
페르디난트 푸홀은 1862년 10월 12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의 엘보겐(Elbogen엘보겐독일어, 현재 체코 로케트(Loket로케트독일어))에서 태어났다.
1.2. 교육
푸홀은 프라하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이후 라이프치히로 옮겨 오스카 파울의 개인 지도를 받으며 음악을 심도 있게 배웠으며, 동시에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철학 과정을 수강하며 학문적 지평을 넓혔다.
1.3. 초기 경력
라이프치히에서 학업을 마친 후, 푸홀은 1892년 10월까지 라이프치히거 타게블라트(Leipziger Tageblatt라이프치거 타게블라트독일어)와 쾨니히리히-라이프치거 차이퉁(Königlich-Leipziger Zeitung쾨니히리히-라이프치거 차이퉁독일어) 등의 지역 신문에서 음악 평론가로 활동하며 경력의 초기 단계를 시작했다.
1.4. 주요 경력
1892년 11월부터 1931년 12월까지 그는 함부르크로 거점을 옮겨 함부르거 나흐리히텐(Hamburger Nachrichten함부르거 나흐리히텐독일어)의 음악 편집자로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독일 음악계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또한 1913년부터 1934년까지 함부르크의 포크트 음악원(Vogt Conservatory포크트 음악원독일어)에서 교사 및 부원장으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기여했다. 그는 명예 교수(Prof. h.c.명예 교수독일어), 명예 철학 박사(Dr. phil. h.c.명예 철학 박사독일어) 학위를 받았다.
2. 음악 활동 및 업적
페르디난트 푸홀은 독일 음악계에서 존경받는 음악 평론가이자 활발한 작곡가 및 음악 작가로 폭넓은 활동을 펼쳤다.
2.1. 음악 비평
푸홀은 독일 내에서 가장 존경받는 음악 평론가 중 한 명으로 손꼽혔으며, 그의 비평은 상당한 비중과 영향력을 지녔다. 그는 특히 음악 저널리스트이자 음악 평론가로서 독일의 광범위한 음악 애호가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다. 리하르트 바그너와 아르투르 니키슈에 대한 그의 기사는 많은 음악 평론의 모범적인 저작으로 평가된다.
2.2. 작곡
푸홀의 작곡 작품들은 그의 생전에 활발히 연주되었고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는 후기 낭만주의 음악 양식을 따랐으며, 특히 리하르트 바그너를 비롯한 신독일악파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2.2.1. 관현악곡
- 《아프사라세》(Die Apsarase디 아프사라세독일어)
- 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적 환상곡 《바다》(Das Meer, Symphonische Phantasie다스 메어, 심포니셰 판타지독일어, 작품번호 8)
- 대 오케스트라를 위한 《발레의 정경》(Eine Ballettszene아이네 발레트체네독일어, 작품번호 12)
2.2.2. 실내악곡
- (정보 없음)
2.2.3. 피아노곡
- 12개의 초기 피아노곡(Zwölf frühe Stücke für Klavier츠뵐프 프뤼에 슈튀케 퓌어 클라피어독일어) (작곡 연대 미상)
- 《숨바꼭질》(Nachlaufen나흐라우펜독일어)
- 《벌칙 놀이》(Pfänderspiel프팬더슈필독일어)
- 《왈츠》(Walzer발처독일어)
- 《경구》(Epigramm에피그람독일어)
- 《왈츠》(Walzer발처독일어)
- 《스케르초》(Scherzo스케르초독일어)
- 《소네트》(Sonett조네트독일어)
- 《세레나데》(Serenade제레나데독일어)
- 《녹턴》(Notturno노투르노독일어)
- 《백파이프》(Der Dudelsack데어 두델자크독일어)
- 《법률집》(Die Pandekten디 판덱텐독일어)
- 《로망스》(Romanze로만체독일어)
- 초기 피아노곡(Frühe Klavierkompositionen프뤼에 클라피어콤포지치오넨독일어) (작곡 연대 미상)
- 《카프리치오》(Capriccio카프리치오독일어)
- 《춤곡》(Tanz탄츠독일어)
- 에드바르 그리그의 주제에 의한 피아노를 위한 북유럽풍 랩소디 《하그바르트》(Hagbart, Nordische Rhapsodie (Klavier)하그바르트, 노르디셰 랍소디 (클라피어)독일어) (1882년)
- 《물가의 풍경》(Strandbilder슈트란트빌더독일어, 피아노를 위한, 작품번호 8)
- 비가 모음곡(Suite Élégiaque주이트 엘레기아크독일어, 피아노를 위한, 작품번호 11) (1894년)
2.2.4. 합창곡 및 중창곡
- 대 오케스트라와 남성 합창, 메조소프라노 독창(또는 여성 합창)을 위한 랩소디 《트바르도프스키》(Twardowsky트바르도프스키독일어, 작품번호 10) (1894년, 원시: 오토 카이저)
2.2.5. 독창곡
- 4개의 리트(Vier Lieder피어 리더독일어)
- 중성부와 피아노를 위한 2개의 노래(Zwei Gesänge츠바이 게장게독일어)
- 가수(테너)와 피아노를 위한 《달의 론델》(Mondrondels몬트로델스독일어, 알베르 지로의 《피에로 뤼네르》 중 환상적인 정경, 작품번호 4)
- 고성부와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리트(Drei Lieder드라이 리더독일어, 작품번호 5)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시)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4개의 리트(Vier Lieder피어 리더독일어, 작품번호 6)
- 《귀환》(Rückkehr뤽케어독일어, 작품번호 7-1) (1892년, 자작시)
- 메조소프라노(또는 알토)와 피아노를 위한 《세이렌의 노래》(Sirenenlieder지레넨리더독일어, 막스 하우스호퍼의 《추방자들》 중 시, 작품번호 9)
- 고성부와 피아노를 위한 《탑의 발라드》(Turmballaden투름발라덴독일어, 막스 하우스호퍼의 《추방자들》 중 5개의 시, 작품번호 14) (1901년)
- 《취한 노래》(Das trunkene Lied다스 트룽케네 리트독일어) (1915년, 원시: 프리드리히 니체)
- 중성부를 위한 리트 《한밤중》(Mitternacht미터나흐트독일어) (원시: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자필 악보)
- 저성부를 위한 리트 《사랑의 성배》(Der Kelch der Liebe데어 켈히 데어 리베독일어) (원시: 게오르크 야코비)
- 중성부를 위한 리트 《숲의 그늘 속에서》(Im Waldesschatten임 발데스샤텐독일어) (원시: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1942년)
- 저성부를 위한 리트 《숲 호숫가에서》(Am Waldsee암 발트제독일어) (원시: 알프레트 로트, 1942년, 자필 악보)
- 피아노 반주가 있는 가곡 《사랑의 인사》(Grüße der Liebe그뤼세 데어 리베독일어) (원시: 빌헬름 라베, 1944년, 자필 악보)
- 저성부를 위한 리트 《달콤한 평화》(Süßer Friede쥐서 프리데독일어) (원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자필 악보)
- 중성부(또는 고성부)를 위한 리트 《모든 덧없는 것은 비유일 뿐》(Alles Vergängliche ist nur ein Gleichnis알레스 페어겡글리헤 이스트 누어 아인 글라이히니스독일어) (원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944년 12월 14일, 자필 악보)
- 피아노 반주가 있는 가곡 《모든 산봉우리 위에는 고요가 있다》(Über allen Gipfeln ist Ruh위버 알렌 기펠른 이스트 루독일어) (원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자필 악보)
- 중성부와 교향적 피아노 반주를 위한 《갈대의 노래》(Schilflieder실프리더독일어) (원시: 니콜라우스 레나우, 1947년 8월 21일부터, 자필 악보)
- 중성부(또는 고성부)와 피아노 반주를 위한 리트 《자작나무 전설》(Birkenlegendchen비르켄레겐트헨독일어) (원시: 뵈리스 폰 뮌히하우젠, 1949년 7월 28일 작곡된 절필작, 자필 악보)
2.3. 저술 및 출판물
푸홀은 음악 평론가이자 작가로서 다양한 음악 관련 서적과 논문을 저술했다.
- 《아르투르 니키슈》(Arthur Nikisch아르투르 니키슈독일어) (하인리히 슈발리 저 《아르투르 니키슈, 삶과 활동》 중, 베를린, 1922년, 1-126쪽)
- 《아르투르 니키슈. 그의 삶, 그의 예술, 그의 활동.》(Arthur Nikisch. Sein Leben, seine Kunst, sein Wirken.아르투르 니키슈. 자인 레벤, 자이네 쿤스트, 자인 비르켄.독일어) (함부르크, 1925년, 196쪽)
- 《프리드리히 크리산더》(Friedrich Chrysander프리드리히 크리잔더독일어) (베르게도르프, 1926년)
- 《리하르트 바그너 - 그의 삶과 창작.》(Richard Wagner - Sein Leben und Schaffen.리하르트 바그너 - 자인 레벤 운트 샤펜.독일어) (베를린-빈, 1911년, 398쪽)
- 《페루초 부소니 - 인간, 예술가, 친구에 대한 개인적인 회상》(Busoni - persoenliche Erinnerungen an den Menschen, den Kuenstler und Freund부조니 - 페르쇤리헤 에린네룽엔 안 덴 멘셴, 덴 퀸스틀러 운트 프로인트독일어) (《디 무지크벨트》, 1925년, 156쪽)
- 《구스타프 말러, 함부르크 시절의 인상과 회상》(Gustav Mahler, Eindrücke und Erinnerungen aus den Hamburger Jahren구스타프 말러, 아인드뤼케 운트 에린네룽엔 아우스 덴 함부르거 야렌독일어) (크누트 마르트너 편집, 함부르크, 1973년, 86쪽)
3. 개인사
페르디난트 푸홀의 결혼이나 가족, 취미 등 개인적인 삶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4. 사망
페르디난트 푸홀은 1949년 12월 16일 함부르크-베르게도르프에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평가 및 유산
페르디난트 푸홀은 독일에서 가장 높이 평가받는 음악 평론가 중 한 명으로, 그의 견해는 음악계에서 큰 영향력을 가졌다. 그는 특히 작가이자 작곡가로서 음악계에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의 작곡 작품들은 생전에 활발히 연주되었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푸홀의 음악적, 문학적 유산을 보존하고 대중에게 알리는 것을 목표로 1993년에 함부르크에 푸홀-보이어슈 협회(Pfohl-Woyrsch-Gesellschaft e.V. Hamburg프폴-보이어슈 게젤샤프트 에.파우. 함부르크독일어)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그의 작품을 재조명하고 그의 음악적, 문학적 업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